•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 Planning Phase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4초

A FRAMEWORK FOR ACTIVITY-BASED CONSTRUCTION MANAGEMENT SIMILATION

  • Boong Yeol Ryo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32-737
    • /
    • 2009
  • Due to various project delivery methods and the complexity of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ing the framework of construction management for critical, highly complex projec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come problematic. Currently, a set of construction manuals play a pivotal role in planning and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as subcontractors try to complete their scope of work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a general contractor. It is challenging for general contractors to write a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dure manual to cover various types of project delivery methods and construction projects. In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procedure manuals describe specific actions to be taken through the project. In reality a few contactors own such manuals and their construction schedules include more construction operation activities. Thus, it is hard to estimate the workload and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managers because the manual and the schedule do not present the amount of management efforts required to complete a project.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to present construction management tasks according to project delivery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projects. Actions for management tasks were mapped and were integrated with construction activities throughout the project life cycle. The framework can then be used to give specific instructions to project participants, collect management actions, and replicate management actions throughout the project life cycle. The framework can also be can used to visualize complete construction project to analyze and manage construction management activities in each phase of a project in order to enhanc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 studies of existing construction manual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construction managers' responsibiliti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CLIPS (C-Language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was used to search for appropriate actions for impending tasks from a set of predefined actions to be performed for a given situation. The framework would significantly help construction managers to understand interrelations among management tasks or actions within a project. Furthermore, the framework can be embedded in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or Facility Management Systems (FMS) so that designers and constructors would execute constructability review before construction begins.

  • PDF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oftware Development Cost of IT Projects in Public Sector)

  • 박찬규;구자환;김성희;신수정;송병선
    • 경영과학
    • /
    • 제19권2호
    • /
    • pp.191-204
    • /
    • 2002
  • As the portion of information systems (IS) budget to the total government budget becomes greater, the cost estimation of IS development and maintenance projects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o be resolved for scientif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IS budget. Since IS budget makes much effect on the delivery tim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IS projects, the exact cost estimation is also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IS projects. The primary concern in the cost estimation of IS projects is software cost estimation, which requires the measurement of the size of softwares. There are two methods for sizing software : line-of-code approach, function point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function-point-based model for estimating software cost. The proposed model is derived by collecting about fifty domestic IT projects in public sector and analyzing their relationship between cost drivers and development effort. Since the proposed model is developed by simplifying the function point model that can be used only when detailed user requirements are specified, it can be also applied at project planning and budgeting phase.

공론과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단계적 참여 설계 - 뉴욕 거버너스 아일랜드 공원 및 공공 공간을 중심으로 - (Step-by-step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through Construction of Public Discourse and Community Development - An Analysis of New York Governors Island Park and Public Spaces -)

  • 최혜영;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24
    • /
    • 2016
  • 본 연구는 뉴욕 거버너스 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사례로 삼아 오랜 시간 동안 대중과 단절되어 있던 공간이 공원이나 공공 공간으로 조성될 경우, 참여 설계를 어떠한 방식과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한지 프로젝트 단계별로 심층 고찰한다. 그 결과, 단계적 참여 설계의 방식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프로젝트 준비 단계에서는 넓은 의미에서 참여 설계의 일환으로 공론의 형성이 있었다. 다양한 사람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개발하기 위해 합의점을 찾는 시도가 여러 주체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둘째, 프로젝트 착수 단계 이전에 대상지를 공공에게 개방하고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치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커뮤니티를 형성해 나갔다. 셋째, 공모전 이후 프로젝트 마스터플랜 완성 단계 전까지, 다년간의 커뮤니티 형성 단계를 거치며 만들어진 커뮤니티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설계가 이루어졌다. 넷째, 프로젝트 세부 설계와 조성 단계에서는 공청회와 같은 전통적이고 소극적인 방식의 참여 설계를 시행함으로써 전문적인 설계 내용 및 전문가의 영역을 보전하였다. 공공의 참여는 공원의 큰 틀을 만드는 마스터플랜 단계에서 대부분 반영되고 구체적인 설계에서는 그 내용을 전문가가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시민과 전문가가 각자의 역할에 충실히 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결과를 낳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프로젝트 단계별로 참여 설계의 방식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즉, 단계별로 공론의 형성, 커뮤니티의 형성과 발전, 커뮤니티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참여 설계가 구상되어야 하며, 참여하는 시민과 전문가 각각의 영역을 보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공론과 커뮤니티의 형성 단계를 참여 설계의 한 과정으로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BIM을 활용한 학교시설 설계정보단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ing BIM Level of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for School Facilities)

  • 김명근;고인룡;김형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3-20
    • /
    • 2012
  • The recent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allow the use of BIM for integratively managing various information pertaining to an architectural structure. This can be the suitable tool for effectively utilizing the various requests of both the users and the administrators from the planning phase. In particular, planning and constructing a school facility can be challenging because it is an important learning facility where the students are required follow a set schedule. Accommodating to the various needs and requests of the users and the other related parties in the progress can be very difficult.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BIM with the basis of data to manage the lifetime of the school facil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pecialized BIM process customized to the school facilities. Using this as the base, the BIM process specifically for school facilities should be phased in, applied, and expand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to plan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BIM process specialized for school facilities, when conducting the project from planning phase to design development phase through the series of processes. Unlike the presently used enhancement of the visible minute details of the models, the methods to enhance the quality of information contained inside the model will be proposed. Also, the user will participate in the school facility construction. The realistic BIM application is aimed through the research for the processes for building models that will be utilized fo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BIM 기반 사장교의 개념설계 및 예가분석 시스템 개발 (BIM System Development for Conceptual Design and Pre-Feasibility Study of Cable-Stayed Bridge)

  • 천경식;박원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204-7210
    • /
    • 2015
  • 본 연구는 2주탑 3경간 사장교의 사업기획 단계에서 3차원 모델정보에 기반하여 신속한 개략 공사비 및 물량 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우선, 기 설계된 사장교 설계정보(구조계산서, 도면, 수량)를 분석하여 설계변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설계변수를 기반으로 매개변수적으로 사장교를 3차원 모델링하는 BIM Wizard를 개발하였다. BIM Wizard를 이용해 작성된 3차원 모델로부터 사장교의 주요 재료에 대한 수량을 직접 산출하며, 케이블 교량에 대한 단가 D/B와 산출된 수량을 연계하여 개략공사비를 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업 초기단계에서 m당 혹은 $m^2$당 실적 평균공사비를 산출하는 재래적인 방식보다 더 구체화된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로써, 우리는 사장교에 대해 입찰단계에서 가능한 신속하게 다양한 대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VE 기법에 의한 건물 지하구조의 공사원가 절감방안 (Construction Cost-Down of Building Substructure by VE Techniques)

  • 김선국;허성수;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25-132
    • /
    • 2005
  • 국내 건설기업들은 건설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건축공사에서 골조공사는 전체 공정 및 원가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주요 공정으로서 철저한 공사 계획과 관리가 요구되는 부분으로서 생산활동 및 공사방식 선정효과를 크게 볼 수 있는 항목이다. 따라서 공사계획 단계에서 설계도서와 현장조건을 면밀히 분석하여 품질, 안전을 확보하면서 공기단축, 원가절감, 시공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대안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지하 구조물의 원가절감을 창의적,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YE기법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이론적,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하 골조공사에 대한 VE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실제현장에 적용하여 원가절감 효과와 VE 활용성을 검토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물 지하 골조공사의 VE 활용모델로서 기술대안 선정방식 수립의 기초적 인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the Master Plan of Tonkin Gulf Coastal Economic Belt Development: Lesson Learnt

  • Le, Trinh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6호
    • /
    • pp.419-427
    • /
    • 2009
  • Methodology and application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for policies, plans, and programs are still new approach in Vietnam. With a support from Vietnam-Swedish Project (SEMLA) and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MONRE), SEA for the Tonkin Gulf Coastal Economic Belt Development Plan was conducted in 2008. Lessons obtained from this SEA may contribute to improving methods and practicing SEAs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main lessons summarized in this paper are: (i)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planning and environmental teams from the beginning phase of a master plan; (ii) SEA should focus not only on impacts to the natural environment but also on main issues of socio-economic aspects; (iii) approaches and methods used in SEA should be appropriate to properly predict the impacts at regional-levels and cumulative impacts; (iv) a good SEA study may be achieved when detailed data on the environment and socio-economy of the study area are available and have active engagement of stakeholders, including project affected sectors, ecologists, planners, policy makers, etc. This paper is useful for whom, those work in SEA in regional development.

SOA기반 EAI 프로젝트의 착수 및 계획 단계 관리 모델 제시 (A SOA-Driven EAI Project's Initial and Planning Phase Management Model)

  • 이윤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454-456
    • /
    • 2005
  • Web Services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Service-Oriented Architecture(SOA)에 기반을 둔 많은 프로젝트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SOA에 대한 개념의 부족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SOA 개념을 EAI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많은 연관된 작업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프로젝트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산업계 전반에 많이 소개되고 있는 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제안한 PMI 모델을 기반으로 SOA 프로젝트 착수 및 계획 단계의 특징 및 차이점을 살펴보고, 국내 현실에 맞는 착수 및 계획 단계의 산출물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착수 및 계획 단계의 관리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BIM을 활용한 리모델링계획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Remodeling Design through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민영기;이재국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25-132
    • /
    • 2012
  • In this study based on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pply for performing efficient remodeling project and utilized. And this study will examine a real project where a BIM based process was used in the remodeling of an single-family homes. In the remodeling design phase of the planning process was conducted for the BIM process modeling, BIM in the remodeling stage while performing the required range and level of the remodeling process were studied. Based on this, communication between client and remodeling designer, participants more expect that smooth and speeds up in remodeling. For client decision support, troubleshooting of remodeling of the design process to be effective in the BIM have been identified. The BIM model and deliverables data used for the remodeling design process of building remodeling is the most effective way, due to the increased efficiency gained in many areas.

학교교육공간 혁신을 위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 탐색 - 교육분야 사용자 참여 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n the Educational Planning Process Model for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User Participatory Design Practices -)

  • 홍선주;임지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3권2호
    • /
    • pp.1-10
    • /
    • 2024
  • 본 연구는 미래형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미래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육공간 혁신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설계 방법에 기반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공간 혁신, 교육기획 절차, 사용자 참여 설계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실천사례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초등학교 1개교의 개축 프로젝트의 교육기획 과정에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그 결과를 모형의 개선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사용자 참여 설계에 기반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은 총 4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사용자 참여를 위한 초기 탐색 단계로, 교육기획가와 사용자가 미래교육을 위한 공유된 관점을 형성하고, 교육기획가는 학교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초점을 둔다. 2단계는 미래교육으로 전환을 위한 구성원간 합의를 도출하는 단계로, 학교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방향성을 큰 틀에서 설정하고 중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 발산을 시작하는 데 초점을 둔다. 3단계는 미래학교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로, 학교의 교육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학습의 방향을 결정하며, 특색 교육공간에 대한 요구를 도출한다. 4단계는 교육기획을 마무리하는 단계이자 공간기획을 시작하는 단계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기획가와 공간기획가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기획 절차의 이점과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