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ity Differences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35초

다른 지역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종자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the Seed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in Different Regions)

  • 변지은;이홍주;황선구;류종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428-434
    • /
    • 2021
  • 본 연구는 중북부 지방인 강원지역 중 춘천, 원주, 강릉에서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인 코윈어리의 종자 생산량 및 기상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재배 시험을 실시하였다. 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코윈어리 품종의 출수기는 1년차(2018~2019), 2년차(2019~2020) 모두 강릉이 파종 후 221일로 춘천(파종 후 226일['19], 파종 후 234일['20])과 원주(파종 후 230일['19], 파종 후 236일['20])보다 빨랐으나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의 일부 지역보다는 세 지역 모두 출수기가 늦었다. 2. 등숙율은 1년차(2018~2019)에는 강릉이 93.1%로 가장 높았으나 2년차(2019~2020)에는 춘천, 원주, 강릉 모두 80% 이상의 등숙율을 보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천립중은 1년차(2018~2019), 2년차(2019~2020) 모두 강릉(2.82 g['19], 3.12 g['20])이 춘천(2.06 g['19], 2.58 g['20]), 원주(2.21 g['19], 2.52 g['20])보다 무거웠다. 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코윈어리 품종의 종자생산량은 춘천(55.8 kg/10a['19], 157.1 kg/10a['20])과 원주(68.9 kg/10a['19], 178.2 kg/10a['20])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강릉(171.7 kg/10a['19], 250.6 kg/10a['20])은 춘천과 원주보다 종자생산량이 많았다. 4. 상관관계 분석에서 이삭길이, 이삭당 소수, 이삭당 립수는 4월의 최저기온, 등숙율, 천립중, 종자 생산량은 5월 최저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4월과 5월의 최저기온 상승에 의하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종자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춘천, 원주, 강릉 모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가 가능하지만 춘천과 원주의 경우 재배 최적지로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춘천과 원주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종자 생산량이 증가하여 재배가 최적인 지역으로 될 것으로 보인다.

코이어 배지의 포수 및 정식 방법에 따른 수경재배 오이의 생육 및 과실 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illing and Planting Methods of Coir Medium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 이흥수;배효준;배종향;고바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7-44
    • /
    • 2024
  • 본 연구는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오이 수경재배에서 배지 포수액의 종류와 정식 방법에 따른 생육 및 생산성을 검증하여 가장 효율성이 높은 재배 방법의 선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포수액은 배양액(S)과 원수(W), 육묘는 암면큐브 육묘(RC), 암면 플러그묘(RP), 슬라브 직파(DS)로 하였다. 재배 기간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기준일은 파종일로 하였다. 초기 생육량은 S 처리에 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생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처리 간 차이가 감소하였다. 정식 방법과 생육량 간에는 관계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포수 방법에 따라 동일한 정식방법 간에도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생산성도 동일한 경향으로 초기 수확기인 파종 후 6-8주까지는 S 처리에서 수확과의 수가 유의하게많았으며, 이후 동일한 기간 수량의 격차가 해소되었다. 누적 수량은 초기 수확량의 차이로 인하여 S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식물체의 생육과 과실 생산성은 유사한 경향으로 선형적인 관계성을 나타내었다. 정식 방법 간에는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S의 DS 처리가 초기 근권부 안정적인 양·수분 공급으로 초기 생육 및 수량이 가장 많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S 처리한 배지에 DS 방식이 식물체의 생육 및 생산성에 가장 유리할 뿐만 아니라 재배단계 간소화를 통한 노동력 및 생산 원가 절감으로 경제성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위별(部位別) 녹용(鹿茸)이 흑색종(黑色腫) 유발(誘發) 생쥐의 종양억제(腫瘍抑制)와 면역기능(免疫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artial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on Antitumoral Immune Response in Melanoma-induced Mice)

  • 오하석;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78
    • /
    • 2000
  • Introd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al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on antitumoral immunological, a group of mice are melanoma-induced and observed reponses in terms of the number of lymphocyte, CD4+ count, CD8+ count, CD4+/CD8+ ratio in blood and spleen, change in body weight, melanoma weight, spleen index, NK cell activity and productivity of IL-2 in each mouse Methodology: Male C57BL/6 mice were chosen as an experimental object and were divided into 5 groups randomly selection. The normal group did not receive any induction.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normal saline in melanoma-induced' mice. Sample I group induced the upper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 melanoma-induced mice. Sample II group was induced the middle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 melanoma-induced mice. Sample III group was induced the lower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 melanoma-induced mice. The dosage of medication was 0.2cc daily for 14days. Result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ymphocyte in spleen in the sample I (upper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duced) and the sample II (middle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sample III (lower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duced).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lymphocyte in blood in the control group and all sample groups. 2. In the CD4+ T cell ratio in blood, all three sample groups showed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 groups. In the CD4+ T cell ratio in splee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 I and the control group, while the sample II and the sample III had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control group. And also, it has been observe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 I and the other samples. 3. In the CD8+ T cell ratio in spleen, all three sampl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ratio in blood. 4. In the CD4+/CD8+ T cell ratio in blood, the sample 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sample 1I and sample III showed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CD4+/CD8+ T cell ratio in spleen, all three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n the sample I had a difference to the other sample groups. 5. The spleen index of the sample I and the sample I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sample III and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 groups, the sample I and the sample I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sample III. 6. In terms of the change in body weight and melanoma weight, all three sampl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 groups showed the sample and the sample II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sample Ⅲ. 7. In comparison of NK cell activity, the sample I had a differenc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when the effector to target cell ratio was 2.5:1. With the ratio of 5:1, the sample I and sample I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sample Ⅲ showed a difference. When the effector to target cell ratio was 1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8. In the productivity of IL-2, all three sampl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between sampl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sample groups in order of the sample I , the sample II and the sample Ⅲ. Conclusion: As one can witness from the above results, administration of partial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played important role in antitumoral immune response in melanoma-induced mice, and it could be suggested that sample I and sample II groups have prominent antitumoral immune effect.

  • PDF

육성 암컷 흑염소 방목 야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Feed Value, Forage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at Native Pasture Grazed by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Capra hircus coreanae))

  • 윤영식;성혜진;장치만;정상욱;이가을;박재현;장세영;이진욱;김관우;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0-125
    • /
    • 2018
  •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흑염소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야초지의 이용성을 평가하고 흑염소 방목 사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평균체중 14kg 전후의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로 방목실험을 실시하였다. 방목 시 보충사료는 체중의 1.5%로 추가 급여 하였으며, 물은 자유 급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야초지의 건물함량은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보고와 비슷하게 6월과 9월에 각각 $24.9{\pm}0.56%$, $24.4{\pm}0.8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함량 11%~12%를 유지하여 처리구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야초지의 사료가치는 일정수준으로 영양소 함량이 유지되었으나 계절별로 생산되는 야초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방목 시 사초생산성은 야초의 경우 대부분 C-4형 식물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 생산성의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8월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p<0.05). 8월 이후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봄철과 가을철에 급격하게 생산성이 저하되는 야초지의 특성을 보였다.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월별 방목 강도를 설정하였다. 계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이를 기준으로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염소 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증체량이 80.2 g/d 이었다. 방목구에서 안정적인 증체의 결과는 방목 후 추가로 농후사료를 보충급여 함으로써 흑염소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켰기 때문이며,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에 적절한 방목강도 조절과 필요 영양수준에 맞춘 보충사료를 급여 한다면 가축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야초지의 효율적인 활용기술 및 흑염소 방목기술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기축산 및 산지생태축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야간온도에 따른 토마토 생육 및 생산성 변화 (Changes in Tomato Growth and Productivity under Different Night Air Temperatures)

  • 강윤임;권준국;박경섭;최경이;노미영;조명환;김대영;강남준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25-31
    • /
    • 2012
  • 이 연구는 야간기온이 토마토의 생산성, 생육, 과실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토마토의 적정 야간기온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Mill. cv. Superdoterang and cv. Rapito)는 야간기온 5, 10, 15, $20^{\circ}C$에서 재배되었으며 주간환기점은 $27^{\circ}C$으로 설정하였다. 야간기온에 따라 토마토의 초장,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이 달라졌다. '슈퍼도태랑'과 '라피토' 품종 모두에서 야간온도가 높아질수록 토마토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나 '슈퍼도태랑'의 경우 $20^{\circ}C$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 생산성에 있어 '라피토' 품종이 '슈퍼도태랑'에 비하여 고온에서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통해 추정한 결과, '슈퍼도태랑'의 경우 $13.32^{\circ}C$, '라피토'의 경우 $14.25^{\circ}C$에서 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그 이상의 온도에서 총 수량은 감소하였으나 일일생산량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슈퍼도태랑'은 $14.45^{\circ}C$, '라피토'는 $16.46^{\circ}C$에서 최고 일일생산량을 보였다. 과실 특성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과실 무게가 감소하였고 당도는 야간기온 $15^{\circ}C$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 야간기온은 토마토의 생산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토마토의 생육속도 및 생산성을 좌우하는 온도 수준은 품종에 따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학회지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 김규환;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17-239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의 학회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발표된 학회지 논문으로부터 주제영역과 연구배경 정보(연구시기와 학회지)와 연구자특성 정보(소속 및 전공)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배경 및 연구자특성에 따른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주제영역의 분포와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과 대응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의 주제영역은 최근 10년동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제영역이 출현하고 쇠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사대상 학회지마다 특정적인 주제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구자 소속기관마다 특정적인 주제영역을 가지고 있었으나 연구자 전공별로 그렇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Evaluation of Physically Effective Fiber for Distributing Total Mixed Rations in Korea

  • Jeon, Byong Tae;Kim, Kyoung Hoon;Kim, Myeong Hwa;Oh, Mi Rae;Li, Hongliang;Moon, Sang H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3-196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otal mixed rations (TMR) prepared in Korea for improving productive effectiveness of dairy and beef cattle. The 40 samples of commercial TMR for dairy and beef cattle in 6 municip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There we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p<0.05) in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TMR for dairy and beef cattle. In roughage value index (RVI),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 and physically effective NDF (peNDF)$_{1.18}$ content, there were no regional differences in TMR for dairy cattle, but there we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p<0.05) in TMR for beef cattle. Thu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pport that because RVI, NDF content, and peNDF content in TMR for dairy and beef cattle exceeded recommended ranges, a little adjustment in TMR for dairy cattle will be necessary to obtain optimal productivity.

우리나라 종합소매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백화점, TV홈쇼핑, 온라인쇼핑몰 업태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General Retail Companies in Korea: For Department store, TV home­shopping, Internet & Mobile shopping)

  • 구경모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0
    • /
    • 2019
  • 우리나라 종합소매업은 과거 10여년 동안 소매시장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경영활동에 힘을 쏟아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종합소매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판매채널의 시장, 소매업태, 그리고 사업기간이라는 요인의 영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경영성과지표는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5가지 지표(안정성, 수익성, 성장성, 활동성, 생산성)를 사용하였다. 사용하는 연구 변수는 판매채널시장 요인, 소매업태 요인, 사업기간 요인이고 이들 변수가 소매기업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분산분석(ANOVA, MANOVA)를 이용하였다. 더불어 소매기업전략의 의사결정에 참고하기 위해 업태 요인과 사업기간 요인의 상호작용효과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시장 요인과 업태 요인은 경영성과 지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온라인 시장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소매업이 성장성, 활동성이 오프라인 시장의 소매업에 비해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융복합 시대에서 테크노 스트레스의 개인별 차이에 대한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n Individual Differences of Technostress: In Convergence Age)

  • 임명성;박민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137-153
    • /
    • 2015
  • Brod에 의해 처음 소개된 테크노스트레스는 적절한 방법으로 새로운 기술에 대한 대처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유발되는 적응과 관련된 현대적 질병을 말한다. 스트레스란 개인에게 주어진 지나친 심리적 혹은 육체적 부담이 존재한 상황적 자극에 대한 개인의 적응 반응이기 때문에 조직 안에서 발생하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생산성 저하, 새로운 기술에 대한 거부감 등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요인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성별, 연령, 컴퓨터 활용 능력 수준, 산업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테크노스트레스 유발요인과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5가지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 요인들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 인해 앞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테크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하는 조직의 경우 개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맞춤화된 교육을 만들어 제공함으로써 테크노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ariability of laying hen behaviour depending on the breed

  • Kozak, Agnieszka;Kasperek, Kornel;Zieba, Grzegorz;Rozempolska-Rucinska, Iwon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1062-1068
    • /
    • 2019
  • Objective: For many generations, most species of farm animals have been subjected to intense and strictly targeted selection for improvement of their performance traits. This has led to substantial changes in animal anatomy and physiology, which resulted in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animal breeds and their wild ancestor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breed-specific variability in behaviour as well as differences in emotional reactivity and preferences of laying hens. Methods: The investigations involved 50 Green-legged Partridge, 50 Polbar, and 50 Leghorn hens. All birds were kept in the same conditions, and the behavioural tests were carried out at 30 weeks of age. We used the tonic immobility test and a modified open-field test including such objects as water, commercial feed, feed enriched with cereal grains, finely cut straw, and insect larvae, a sandpit, a mirror, and a shelter imitating a hen nest.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birds of the analysed breeds differ not only in the excitability and emotional reactivity but, importantly, also in the preferences for environment-enriching elements. Ensuring hens' well-being should therefore be based on environmental modifications that will facilitate acquisition of essential elements of chickens' behaviour. The greatest emotional reactivity was found in the Leghorn breed, which may be a result of correlated selection aimed at an increase in chicken productivity.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the behaviour of the birds from the analysed breeds indicate that laying hens cannot be regarded as one group of animals with the same environmental requir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