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oduction worker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8초

호박벌(Bombus ignitus)과 서양뒤영벌(B. terrestris)의 봉세발달 비교 (Comparison of the Colony Development in the Bumblebees, Bombus ignitus and B. terrestris)

  • 윤형주;김삼은;이상범;심하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7-121
    • /
    • 2004
  • 토종 호박벌(Bombusignitus)과 수입 서양뒤영벌(B. terrestris)의 냉장온도별 생존율과 실내사육에 의한 봉세발달을 비교 조사하였다. -2.5, 0, 2.5, 5$^{\circ}C$등 4종류 냉장온도 중 호박벌과 서양뒤영벌 모두 2.5$^{\circ}C$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았으며, 냉장 3개월까지는 호박벌이, 냉장 4개월째는 서양뒤영벌의 생존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한산가스처리로 휴면을 타파한 여왕별의 봉세발달을 조사한 결과, 산란율은 호박벌이 72.5%로 서양뒤명벌보다 6.1% 높았고, 산란전기간도 17.4일로 7.4일 빨랐다. 일벌이 50마리 될 때까지의 봉군형성소요일수, 수벌 및 여왕벌출현소요일수 또한 호박벌이 각각 62.8일, 66.4일, 63.0일로 서양뒤명벌보다 2.1-29.5일 빨리 출현하였다. 그러나 일벌출현소요일수는 28.6일과 28.4일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우수봉군의 지표가 되는 봉군형성률 및 신여왕벌출현봉군율은 서양뒤영벌이 각각 14.2%, 13.6%로서 호박벌보다 3.8-5.7배 높게 나타났다. 성충출현수 역시, 서양뒤영벌이 일벌 104.2 마리, 수벌 317.9 마리, 여왕벌 27.1 마리로 호박벌보다 1.1-1.8배 많아 봉세 발달은 서양뒤영벌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섬유 제조업 근로자의 피로자각 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Symptoms of Fatigue of the Workers in the Textile Industry)

  • 서인선;안옥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97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perieved symptoms of fatigue of the industrial workers, to examine the inter-relatisnship of the above factors with their general charactenstics and the environments of working area for the examination of their health status and the effective health management of them. This study was undertaken from December 1 to December 20, 1990. The subjets were 495 workers who had worked at the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Chonbuk Provi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worker's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were classified to the following seven factors; A) Musculo-Skeletal Symptoms, B) Neuro-Psychial Symptoms, C) Optical Symptoms, D) Heart Symptoms, E) Head Symptoms, F) Respiratory Symptoms, G) Genital Symptoms 2.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of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to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according to sexuality was significant; Female were higher than Male $(p{\leqq}0.001$, p<0.005) 2)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to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according to age was significant; Age group under 24 years of age were higher than the other's group (p<0.001). 3)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to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was significant; Workers who stand on a low intellectual were higher than workers on a high intellectual level. 4)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to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for a week was the highest when worked at sunday. 5)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to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for seasons was high at spring. 3.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of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with the environments of working area. 1)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of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according to the working department was significant; Production workers were higher than office workers. 2)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of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related with working posture was significant; Sitting: Musculo-Skeletal symptoms (p<0.05), Optical symptoms (p<0.005) 3) Th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s own duty they were, the higher became the distribution of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p<0.001. p<0.005, p<0.05) 4) Th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working condition they were, the higher became the degree of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p<0.001. P<0.05) 5)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of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according to kinds of job was significant: Workers who has handled heavy materials were higher than who had not handled $(p{\leqq}0.001$, p<0.05). Workers who has handled chemical materials: Optical, symptoms $(p{\leqq}0.001)$. Workers who has handled dusty materials: Respiratory symptoms (p<0.01) 6) The environment of working area was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distribution of their percieved symptoms of fatigue: Workers complains of a illumination problem; Optical symptoms (p<0.005), Heart symptoms (p<0.005) Workers complains of a ventilation problem: Heart symptoms (p<0.05), Optical symptoms, Heart symptoms (p<0.01) Musculo-skeletal symptoms ($p{\leqq}0.001$)

  • PDF

산업유형별 데이터융합과 데이터처리 모델의 설계 (Design of Data Fusion and Data Processing Model According to Industrial Types)

  • 정민승;진선아;조우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2호
    • /
    • pp.67-76
    • /
    • 2017
  • 다양한 분야의 산업 현장에서는 복합적으로 대용량의 데이터가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발생한다. 산업유형별 공정에서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으나, 각 프로세스 사이에서 서로 연관성 있게 통합하지 못하고 있다. 기존 산업유형별 데이터는 성형조건표 설정치 값과 작업공정에서 문제가 발생 했을 경우 작업자가 임의 값을 입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각 산업유형별로 수집되는 데이터의 융합 및 분석처리 모델의 설계를 하고, 예측 사례(자동차 커넥트)를 통해서 표준 성형 조건표를 통한 마스터 데이터와 제조공정 과정에서 수집된 생산이력파일을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불량요인과 예외사항에 대한 패턴분석과 재해석, 작업자에 대한 임의 값을 수치화를 통해 새로운 성형 조건표를 통한 불량률 감소, 생산성 증가, 공정 개선, 원가 절감 등의 기업 수익 향상과 제조 산업의 공정에 맞는 다양한 데이터분석과 검증 모델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검증된 표준 설정치에 의한 제조 공정의 최적화, 일관성,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패턴유형을 통한 산업유형별에 맞는 최적화(표준 설정치)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취급 작업자의 공기 중 입자상 물질 노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Workers' Exposure to Aerosolized Particles during the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enabled Composites)

  • 권지운;김성호;장미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assess workers' exposure to carbon nanotubes(CNTs) and characterize particles aerosolized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CNT-enabled polytetrafuoroethylene(PTFE) composites at a worksite in Korea. Methods: Personal breathing zone and area samples were collected for determining respirable concentrations of elemental carbon(EC) using NIOSH(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ethod 5040. Personal exposure to nano-sized particles was measured as the number concentration and mean diameter using personal ultrafine particle monitors. The number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was measured using optical particle sizers(OPS) and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s(SMP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rea samples were collected on TEM grids and analyzed to characterize the size, morphology, and chemistry of the particles. Results: Respirable EC concentrations ranged from 0.04 to 0.24 ㎍/㎥, which were below 23% of the exposure limit recommended by NIOSH and lower than background concentrations. Number concentrations by particle size measured using OPS and SMPS were not noticeably elevated during CNT-PTFE composite work. Instant increase of number concentrations of nano-sized particles was observed during manual sanding of CNT-PTFE composites. Both number concentrations and mean diameter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rkers handing CNT-added and not-added materials. TEM analyses revealed the emission of free-standing CNTs and CNT-PTFE aggregate particles from the powder supply task and composite particles embedded with CNTs from the computer numerical control(CNC) machining task with more than tens of micrometers in diameter. No free-standing CNT particles were observed from the CNC machining task. Conclusions: Significant worker exposure to respirable CNTs was not found, but the aerosolization of CNTs and CNT-embedded composite particles were observed during handing of CNT-PTFE powders and CNC machining of CNT-PTFE composites. Considering the limited knowledge on the toxicity of CNTs and CNT composite particles to date, it seems prudent to take a precautionary approach for the protection of workers' health.

건설현장 근로의 양질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 (Policymaking Improvement Strategy for Fine Laboring Ability of Construction Works)

  • 윤태형;이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37-47
    • /
    • 2012
  • 우리 건설 산업의 국가전체산업 대비 기여현황을 살펴보면 제조업 대비 45%정도의 종사인원이나 산업생산 유발계수가 제조업과 거의 대등하고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제조업보다 훨씬 높다. 이러한 건설 산업의 현장생산직 근로자들이 겪고 있는 열악한 근로실태와 개인 삶에 대한 현황을 조명하여 우리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동반자로서, 또 건설 직업인으로서 긍지를 갖고 직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함께 노력하여, 그들의 위상을 강화시킴으로서 한 차원 높은 건설생산문화가 유발될 수 있고 업계의 세계화에 따른 경쟁력 향상에도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건설생산직 근로자들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 훈련, 신분보장, 자격제도 확립, 사회보험혜택, 안정적 임금수령, 작업환경개선 등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제도화된 환경을 통하여 그동안의 실적위주 정량적 건설에서 정성적 건설로 변화하는 기틀을 마련하도록 하여야한다.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기준 67.8점으로 OECD 30개 국가 중 25위에 그친다. 건설현장 근로의 보다나은 양질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현장생산직 근로자들의 직업 및 사회적 자기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책으로서 기존관습에서 탈피하여 개선시켜야하는 문제요소들을 도출, 정부와 업계가 함께 노력하여 점차 세계화되고 있는 우리건설업계의 국제경쟁력에 이바지할 수 있는 차원 높은 건설생산인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 여성 주요 제조업 근로자들의 교대 작업에 대한 건강영향 평가 (Health Risks Related to Shift Work Among Female Workers of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 신의철;맹광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4권3호
    • /
    • pp.279-286
    • /
    • 1991
  • Much of the working popul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re engaged in shift work now and the number of shift workers is not expected to decrease in the future mostly because the need for continuity of production is increasing. Therefore, the possible effects of shift work on health are of particular interest, and in fact, there have been many epidemiological studies on shift work since the first world war. However, no studies on health effects of shift work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nd the existing studies in western world have arrived at quite different conclusions mainly because the conditions of work other than shift work, such as age and selection of workers, work environment, and labor conditions also influence the health of workers. This study was firstly carried out in Korea to investigate the health risks related to shift work with 2,093 female workers randomly selected from three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proportion to total number of female workers in those industries. Differences of work conditions other than shift work in this study were adjusted by multivariate analysis. Ma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hift and day workers in the distribution of age, type of industry, condition of noise and dust, regularity of mealtime, working position, and working duration. Shift workers tended to be younger, to have shorter working duration, to have more irregular mealtime, to work in standing position, and to work under more noisy and dusty environment than day workers. 2.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shift work increased the Todai Health Index (THI) scores of digestive tract, respiratory tract, and mental instability symptom categories. Shift work also increased days of sickness absence and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 per 100 workers per month. 3. Multivariate analysis that adjusted the differences of demographic, occupational and non-occupational health-related working conditions showed that digestive tract symptom and mental instability symptom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hift workers than those in day worker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shift work has significant effects on som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s of the workers and the effects are also influenced by several other personal and working conditions.

  • PDF

일부 산업장 근로자의 결손치에 관한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upon Missing Tooth of some Industrial Workers)

  • 문선정;이명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0-379
    • /
    • 2011
  •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향후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할 수 있는 구강 보건사업 및 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북 구미시에 소재하는 49개 산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7,185명을 대상으로 치과의사 4인이 산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인공조명하에서 치경과 핀셋, 탐침, 설압자를 이용하여 구강검사를 실시한 후 결손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한 결손치에 영향을 미치는 문항은 구강검진문진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회수된 구강검사결과통보서 7,185개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209개를 제외한 6,976개의 자료를 SPSS 12.0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층이 높은 경우, 치석제거를 받지 않은 경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과거에 흡연을 했거나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경우, 양치횟수가 적은 경우, 치아가 욱신한 경우, 잇몸에 통증 및 출혈과 혀 및 뺨이 욱신한 경우에 결손치율은 높았다.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결손치의 원인인 치면세균막과 치석을 제거할 수 있는 스켈링의 유효성을 인지시켜, 스켈링의 경험률을 높여주고, 금연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검진을 통한 충분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유지하는데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팜 교육 수요 분석: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Smart Farm: Focusing on SMEs in Jeon-nam Area)

  • 황두희;박금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49-655
    • /
    • 2020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기반 스마트팜 분야의 중소·중견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관련 교육 수요를 조사·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전략 도출을 위해 스마트팜 기술 분야 도출, 교육수요조사 실시, 교육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IPA 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수요조사에서는 생산시스템 분야와 지능형 농작업기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에서 병충해 방지 및 진단기술(8.03), 네트워크 및 분석SW 연계기술(7.83), 지능형 농작업기-농업동력 기계시스템-전기에너지 하이브리드 기술(7.4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스마트 식물 공장(4.09), 생육조절을 위한 조명기술(4.46), 구조물 건설기술(4.62)은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IPA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는 집중노력영역의 네트워크 및 분석SW연계기술, CAN기반 복합센터 활용 기술은 시급히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분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마트공장플랫폼개발, 생육조절조명기술, 구조물건설기술 등과 같이 이미 상용화된 기술에 대해서는 과잉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팜 분야의 수요를 반영하여 중소·중견기업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제시하고, 교육프로그램 운영방안의 제안이 가능하다.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현황과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National Economic Impact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Status and Input-output Analysis)

  • 이승창;정강옥;황진영;임응순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5호
    • /
    • pp.175-193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유통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한국의 유통산업은 GDP에서 8%내외의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이며 최대의 고용처로 전체 취업자수에서 15%대의 비중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 고용 비중은 유사하지만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 이를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유통산업을 도소매업으로 파악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유통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유통산업의 산출이 자신에게 미치는 효과를 제외하는 외생화기법을 사용하여, 경제내 타부문에 대한 기여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증자료를 기반으로 유통산업이 자체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와 타산업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로 구분한 총효과도 분석하였다. 산업연관분석 결과, 유통산업은 높은 생산유발효과, 높은 취업유발효과, 높은 고용유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통산업은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운수 및 보관 부문 산업에 높은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유발효과를 파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로 유통산업의 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는 1보다 크고 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는 1미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반부에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한계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산화알루미늄 섬유와 니켈분말 후처리공정에서 입자의 노출특성 (Exposure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during the After-treatment Processes of Aluminum Oxide Fibers and Nickel Powders)

  • 김종범;김경환;류성희;윤성택;배귀남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5-236
    • /
    • 2016
  • Objectives: Nanomaterial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As use of nanoproducts is increasing, workers dealing with nanomaterials are also gradually increasing. Exposure assessments for nanomaterials have been carried out for protection of worker's health in workplace. Exposure studies were mainly focused on manufacturing processes, but these studies on after-treatment processes such as refinement, weighing, and packing were insufficient. So, we investigated exposure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during after-treatment processes of $Al_2O_3$ fibers and Ni powders. Methods: Mass-production of Ni powder process was carried out in enclosed capture-type canopy hood. In a developing stage, $Al_2O_3$ was handled with a local ventilation unit. Exposure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were investigated for $Al_2O_3$ fiber and Ni powder processes during the periods of 10:00 to 16:00, 20 May 2014 and 13:00 to 16:00, 21 May 2014, respectively. Three real-time aerosol instruments were utilized in exposure assessment. A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SMPS, nanoscan, model 3910, TSI) and an optical particle counter(OPC, portable aerosol spectrometer, model 1.109, Grimm) were used to determin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e size range of 10-420 nm and $0.25-32{\mu}m$, respectively. In addition, a nanoparticle aerosol monitor(NAM, model 9000, TSI) was used to measure lung-deposited nanoparticle surface area. Membrane filters(isopore membrane filter, pore size of 100 nm) were also used for air sampling for the FE-SEM(model S-5000H, Hitachi) analysis using a personal sampling pump(model GilAir Plus by 2.5 L/min, Gilian). Conclusions: For Ni powder after-treatment process, only 27% increase in particle concentration was found during the process. However, for $Al_2O_3$ fiber after-treatment process, significant exposure(1.56-3.34 times) was observed during the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