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making Improvement Strategy for Fine Laboring Ability of Construction Works

건설현장 근로의 양질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

  • 윤태형 (부경대학교 대학원 건설관리공학) ;
  • 이수용 (부경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1.08.19
  • Accepted : 2011.11.30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Engaged numb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45 percentage level against to manufacturing industry. And Induction -factor of Production is much the same to mfg. field, Value added Induction-factor is more higher than manufacturing industry, therefore we research again about workers' inferior working & personal life condition in our society in order to they feel happiness their life with pride for the job construction occupation. So construction companies & government will be contribute to strengthen their phase & to achieve more higher level of construction working culture for elevate competitive power. We have to prepare the basis to turn to the qualitative construction businesses by break away from only the amount of work volume in company with the system of workers' self-conceit on the ground of professional education/training, qualification system, social insurance benefits, working condition improvement, stable job. Our nations does not feel well-being senses, only 25 class level in the 30 countries of OECD. We draw the questions at issue with slough off old customs in order to qualitative improvement for profession & self-contentment of construction workers, and present the useful plan to contribute to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th our construction firms in the globalize construction field under Government's & company's policy.

우리 건설 산업의 국가전체산업 대비 기여현황을 살펴보면 제조업 대비 45%정도의 종사인원이나 산업생산 유발계수가 제조업과 거의 대등하고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제조업보다 훨씬 높다. 이러한 건설 산업의 현장생산직 근로자들이 겪고 있는 열악한 근로실태와 개인 삶에 대한 현황을 조명하여 우리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동반자로서, 또 건설 직업인으로서 긍지를 갖고 직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함께 노력하여, 그들의 위상을 강화시킴으로서 한 차원 높은 건설생산문화가 유발될 수 있고 업계의 세계화에 따른 경쟁력 향상에도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건설생산직 근로자들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 훈련, 신분보장, 자격제도 확립, 사회보험혜택, 안정적 임금수령, 작업환경개선 등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제도화된 환경을 통하여 그동안의 실적위주 정량적 건설에서 정성적 건설로 변화하는 기틀을 마련하도록 하여야한다.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기준 67.8점으로 OECD 30개 국가 중 25위에 그친다. 건설현장 근로의 보다나은 양질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현장생산직 근로자들의 직업 및 사회적 자기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책으로서 기존관습에서 탈피하여 개선시켜야하는 문제요소들을 도출, 정부와 업계가 함께 노력하여 점차 세계화되고 있는 우리건설업계의 국제경쟁력에 이바지할 수 있는 차원 높은 건설생산인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7.05)." 건설기술관리법" 제8486호
  2. 건설교통부(2007.12). " 건기법시행령" 제20509호
  3. 김승권, 장영식, 조흥식, 차명숙(2008.12)." 한국인의 행복결정 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2008 - 13. pp. 302-340
  4. 강팔문 (2010.04). "건설근로자의 행복할 권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CERIK저널, 칼럼 pp. 1
  5. 김봉주, 정명호, 문현석, 현창택, 구교진 (2006.10). "건설인력자격 및 직급체계 구축방안 제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7권 제5호. pp. 107-113
  6. 박광배, 김혜원 (2008.05). "건설 기능 인력의 효율적인 경력관리 방안", 대한건설정책연구원.
  7. 손창백, 이동은 (2010.07). "건설경기 변화의 건설근로자 욕구수준 및 직업 만족도에 대한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v. 26n. 07(2010-07). pp. 156-160
  8. 유재상, 김대영 (2010.12). "건설현장 실무자들의 실태 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지회연합회, 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v. 2010n. 01. pp. 376-377
  9. 이재규 (2002.10). 피터 드러커 의"프로페셔널의 조건", 자기실현 편, pp.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