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Purchase Behavior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6초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and Consumer Trust on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tention

  • SHIN, Myoung-Ho;LEE, Young-Min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6호
    • /
    • pp.93-101
    • /
    • 2020
  • Purpose: While crowdfunding functions as a purchasing behavior, it is different from other purchasing behavior. It derives from non-existed idea and leads to production and purchase through continuous idea development with 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support is a proxy for future sales. This study researches on consumption value, customer's trust and consumer's innovativeness to reveal which constructs of consumption value and customer's trust should be consider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tentions were examined using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trust of platform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sumer innovation as a control variable. A total of 175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The hypothesis was test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economic, epistemic value and ability, benevolence consumer trus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tent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 only economic value and benevolence. Conclusions: The economic and hedonic value of consumers should be emphasized, as well as the evaluation level of the project itself. Moreover, technology or system safety, competency, and product specific information, as well as user benefits for their ideas are core elements in attracting new participants.

Study on the Tasting of Distributors

  • LEE, Sung-Heun;HWANG, Hee-Joo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7-42
    • /
    • 2020
  • Purpose - Research on the mechanism by which tasting affects the purchase of related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good use of marketing practically how tasting affects taste and leads to consumption behavi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irst, we provide tasting sampling for people with different impulsive purchasing tendencies and check whether this leads to purchasing behavior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measure 'face (or notion of courtes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s,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the effect of sampling. Third, it is proposed to look at how the effect of sampling appears differently over time. Results - Firs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mpling effect in the product group that cannot produce a tasting situation such as general food or beverage. Second, research results may not apply to all actual marketing. Conclusions - This study is judged to have contributed to resolving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istribution store's tasting promotion is more effective and lasts longer than other promotions. It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f tasting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amount of tasting was limited or the subjects of tasting.

국가이미지: 한·미 소비자들에게 과연 그렇게 중요한가? (Country Image: Does It Really Matter to Consumers between Korea and the U.S.?)

  • 신건철;박용희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3호
    • /
    • pp.121-144
    • /
    • 2009
  • 대체로 소비자들은 어느 국가에서 제조된 제품인가에 관련하여 제각기 다른 국가이미지와 소비형태를 보인다. 소비자 행동의 본질은 제품의 특징에서 나오는 진실보다는 오히려 소비자 마음속에 있는 정신적 이미지인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이미지가 실제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선택할 때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가를 한국과 미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북미자유협정 체결 후 멕시코제품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멕시코산 제품 구입에 대한 한미 소비자들의 태도가 구조방정식 모형 테스트 결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소비자의 저탄소 인증 농산물 구매행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Perception of the Low-carbon Certificated Agricultural Products)

  • 이춘수;양훈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3-35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perception of the low-carbon certificated agricultural product. To this end, we surveyed 1,000 consumers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ven after six years of national certification,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low-carbon certification system due to insufficient awareness and purchase experience. Second, the certificated area is small at around 5% of the area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GAP certification, and certification is concentrated on fruit trees. Third, an appropriate level of high-priced strategy can be useful considering the cost of low-carbon certification, image management of low-carbon certifica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qua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onsumers to consider when purchasing fresh agricultural products. Fourth, consumers recognized that the contribution of low carbon certification i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preserving the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r GAP certification. Considering that, promotional activities linked to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GAP certification may be effective when promoting low-carbon certification. Finall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 implementing a carbon point system linked to Green Card to revitalize low carbon certification, but 25.7% of consumers are aware of it, and 8.4% have little experience in issuing it.

의류 상품 전시와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미국 온라인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arel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 Responses in U.S. Online Retailing)

  • 유정민;샤론레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51
    • /
    • 2014
  • 본 논문은 의류 상품 전시와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소비자의 인지, 감성적 반응,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의류 상품 전시의 세 가지 종류(모델 없이 펼쳐놓은 의류 상품 전시 vs. 모델, 얼굴이 없는 의류 상품 전시 vs. 모델, 얼굴을 포함한 의류 상품 전시)의 집단간 실험 설계를 하였으며 상품에 대한 관여도(관여도 높음 vs. 낮음)를 조절변수로 하였다. 4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델을 이용한 상품 전시의 효율성이 검증되었으며, 의류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관여도가 낮은 소비자들에 비하여 모든 상품전시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실험적인 증거를 통하여 이론적인 통찰력을 제시하였으며, 의류 소매 업체에 유용한 지식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쇼핑몰 품절 경험 후 인지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Response on Behavioral Response of Consumers to Sold Out Products On-line Shopping Malls)

  • 김주현;이진화
    • 복식
    • /
    • 제66권4호
    • /
    • pp.32-4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gnitive responses and the corresponding behavior responses of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s in not being able to buy a product in an online shopping mall due to it being sold-out. Responses were gathered from 526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to 40 years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Each person surveyed had experienced a situation in which a product that they wanted to purchase from an online shopping mall was sold-out. SPSS 18.0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rst set of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positive responses of quality, discernment, scarcity, but also negative cognitive responses of careless management, manipulation of shopping mall management, and common taste. In negative cognitive responses, sold-out situations caused consumers inconvenience. The second set of results revealed that quality, discernment, and careless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replacement (Substitute, S); likewise, factors such as quality, discernment, careless management, manipulation by shopping mall designers, and common tas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lay of purchasing decisions (Delay, D). Scarcity, careless management, manipulation by shopping mall designers, and common taste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complete leaving of stores (Incomplete Leave, L1), while discernment, scarcity, careless management, manipulation by shopping mall designers, and common tast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plete leaving of stores (Complete Leave, L2).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behavioral response topics of substitute, delay, and leave.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at product sellouts at online shopping malls did not have a solely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It actually had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discernment, scarcity, and the perception of quality of sold-out products. Furthermo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gnitive responses had various effects on behavioral responses.

신기술제품의 시장점유율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수요확산모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gent-based Model of Demand Diffusion for the Market Share of New Technology Product)

  • 원동규;임종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spc호
    • /
    • pp.1256-1284
    • /
    • 2011
  • 기존에 신기술제품 소비시장을 연구하기 위한 많은 모델이 있었으나, 소비자, 유통업자, 제조업자로 구성되는 가치사슬 단계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시장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연구는 미약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 유통업자, 제조업자로 구성되는 다중행위자와 소비자선택이론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기술상품의 구매에 대한 수요확산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본 연구는 신기술상품 구매 시의 소비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컨조인트 분석을 적용하여 선호도 계수를 추정하였으며 행위자기반모형을 통해 신기술 채택 및 인센티브 제공 여부에 따른 소비행태를 시뮬레이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제품의 시장점유율은 재고수준에 따른 인센티브의 제공과 신기술제품의 상품적용에 따른 소비자층의 제품수용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제품의 희소성과 구매행동과의 영향 (The Effect of Product Scarcity and Purchase Behavior in Location-Based Application Services)

  • 왕밍;권혁준;최재원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209-226
    • /
    • 2018
  • 위치기반 서비스는 데스크톱 기반에서 활용하던 과거의 온라인 커머스(Online Commerce)와는 차별적인 서비스 특성을 지닌다. 장소에 상관없이 이동 통신 기기를 활용하여 온라인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을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편하게 사용자의 편의를 보장해준다. 위치 별로 특정적인 쇼핑 정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위치에 따른 편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위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희소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증대 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희소성의 제공 단계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의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희소성의 단계는 첫째, 희소성이 없는 단계, 둘째, 시간제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셋째, 수량 제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넷째, 시간, 수량 제한을 제공하는 단계로 실험 설계하여 실험 자극물을 통한 4집단 분석을 진행하였다. 위치기반 서비스의 특성인 편재성과 상호작용성, 프라이버시 염려의 변수들을 추가하여 희소성의 단계에 따른 종속변수의 영향력 차이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시간제한과 수량 제한 희소성 자극물은 편재성, 상호작용성과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조절 효과를 나타냈으며, 해당 변수들도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프라이버시 염려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유산균 제품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Purchasing Behavior of Lactic acid Bacteria Products)

  • 오명철;양태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9-290
    • /
    • 2018
  • 본 연구는 유산균 발효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조사로 기존의 유산균 제품에 대한 구매 실태와 함께 평소 유산균 제품과 같은 건강 기능성 제품에 대한 구매 행동을 파악하고 구매 결정 간에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유산균 제품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의 지역적인 범주로는 시제품 개발을 위한 설문으로 서울, 경기 그리고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 11월 1일부터 2017년 1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유산균 제품에 대한 사용 실태조사결과 유산균 제품의 이용횟수는 월평균 5회 정도가 가장 많았으며, 액상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 제품의 구매목적으로는 자신의 건강을 위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선 요구사항으로는 천연성(6.087), 기능성(5.936) 그리고 저장성(5.856)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구매행동이 유산균 제품에 대한 구매결정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수준에서 성분에는 비교성(.468)이, 브랜드에는 비교성().188), 경험성(.281), 과시성(.370), 디자인에는 과시성(.598)이, 가격 또한 과시성(.345)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균 제품의 경우 구매결정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품성분은 타제품과 비교 시 기능성을 높이며, 제품생산은 인지도가 있는 회사에서 생산을 하며, 포장은 고급스러우면서 눈에 잘 띄는 디자인과 가격은 고가의 정책에 맞추어 제품을 생산하였을 때 구매결정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가치가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백화점 쇼핑행동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the Effect of Shopping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Actual Purchase Behavior)

  • 안광호;임병훈;정선태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99-123
    • /
    • 2008
  • 국내 주요 소매업체들은 정기적인 고객만족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고객만족경영을 추구해왔다. 그러나 고객만족조사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는 고객만족조사에 기반하여 추정된 고객만족지수가 고객들의 점포애고행위를 충분히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고객만족을 측정하는 항목들이 주로 가격이나 고객과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기능적 속성(attribute)들로 구성되며,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서적 측면의 고객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쇼핑가치를 Zeithaml(1988)이 제안한 지각된 편익(benefit)과 지불한 비용(cost)에 기초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평가로 정의내리고, 이를 모형화하여 측정한다. 기존의 소매점 고객만족조사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용적 가치를 반영하는 항목들과 쾌락적 가치를 반영하는 항목들을 지각된 편익에 반영함으로써 고객만족에 대한 설명력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투입되는 비용에 있어서도 금전적 비용 외에 쇼핑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지적/시간적 노력을 포함하는 비금전적 비용을 모형에 반영한다. 쇼핑가치에 대한 개념적 틀을 기반으로 쇼핑가치가 고객만족, 그리고 구매빈도나 구매금액과 같은 실제구매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서울 강남권 여성고객들의 백화점 이용실태에 대해 서베이조사를 실시하고, 이 자료에 근거해 쇼핑가치와 소비자의 구매행동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객들이 해당 백화점에 대한 쇼핑가치를 높게 평가할수록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객만족도는 구매빈도와 구매금액으로 측정된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의 가치차원 중 쾌락적 편익, 서비스, 그리고 비금전적 비용이 유의하게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전적 비용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