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Belief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Influencing Factors in High vs. Low Share Brand Choice

  • Kang, Yong-Soon;Moon, Sang-Kil;Suh, Jae-Beom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3권1호
    • /
    • pp.73-91
    • /
    • 2007
  • We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high-share brands(HSBs) vs. low-share brands(LSBs) among various product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brand-share perceptions. Specifically, using 8 product categories varying in terms of purchase decision involvement, we show how the influencing factors vary across the categories. At the general level that cover all the 8 categories, our hierarchical Bayesian regressions analysis shows that factors that favor high-share brands are purchase decision involvement, search goods, experience goods, price-quality relationship, positive network externalities, and price-prestige beliefs. Conversely, consumers who value variety seeking and need for uniqueness favor low-share brands.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however, vary across product categories. The identific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can help brand managers establish a more effective brand-share strategy in such areas as setting an optimal market share goal, extending a brand, and developing ad copy. Furthermore, our consumer segmentation analysis demonstrates the general market has two distinct segments - (1) a segment composed of HSB buyers(86%) and (2) a segment composed of LSB buyers(14%). The two segments are also shown to have different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 their brand choice. Our segmentation analysis can help marketers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targets a specific segment of intere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olness, Perceived Value and Value Creation: An Empirical Study of Fashion Distribution

  • Truong, Nguyen Xuan;Ngoc, Bui Hoang;Phuong, Pham Thi Lan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9호
    • /
    • pp.101-11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discusses and discovers the important role of fashion product coolness in affecting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consumers' value creation behavior. Accordingly, fashion product coolness exerts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value while perceived value has a direct impact on value creation. Besides, fashion product coolness has an indirect effect on value creation through perceived valu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adopts the quantitative research approach by cross-sectional technical on a sample of 319 respondents in Vietnam. PLS-SEM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Result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pos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re significant. Specifically, utilitarian "coolness" and hedonic "coolness" have positive impacts on perceived value. The perceived value poses an impact on consumers' value creation behavior, including customer lifetime value and influencer value. Finally, the perceived value links utilitarian "coolness", hedonic "coolness" with customer lifetime value and influencer value. Conclusions: Fashion distribution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retail sector of the economy. Fashion distribution activitie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The findings are supposed to strengthen the beliefs of fashion brands and retailers in the promotion of value creation and consumers' perceived value in the field of fashion distribution.

국내 의류제품 고객은 가격할인을 기다리며 구매를 늦추는가? (Do Consumers, Buying Apparel Product Postpone Purchase in the Belief of Price Break?)

  • 이윤경;황선진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81-103
    • /
    • 2005
  • 이 연구는 빈번한 가격할인을 하고 있는 국내 의류시장에서 소비자들이 가격이 떨어질 것을 기대하여 제품의 구입을 늦추는 '가격기대효과'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지금까지의 가격연구에서는 규범적 행태적 서술적 연구 등 각 분야의 영역을 접목시킨 통합적 접근이 미진하여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을 가격책정에 반영한 시도가 드물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 하는 가격과 판매량의 관계를 살피는 동태적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규범적 연구와 행태적 연구를 접목시켜 의류제품의 가격기대효과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의류제품에 적합한 동태적인 가격기대효과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백화점의 여성복 판매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의류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에게 가격기대효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제품의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들의 독특한 구매행동을 반영한 것으로 기존의 동태적 가격연구의 범위를 넓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사용자의 False belief를 이용한 새로운 기능 선택방식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a feature selection technique on users' false beliefs)

  • 이장선;최경현;김지은;류호경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40
    • /
    • 2014
  • 신제품/서비스를 설계함에 있어 해당 제품 혹은 서비스가 제공하여야 할 기능을 선정하는 것(feature selection)은 디자이너의 매우 어려운 의사결정 문제이지만, 기존 방법론들은 특정 제품-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선호도 서베이를 통한 방법은 사용자의 멘탈모델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지 않기에 기능과부화(feature creep) 현상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경우(혹은 제공된 기능을 제거해야 할 경우), 그 기능으로부터 추론되는 제품-서비스의 멘탈모델을 탐지하는 새로운 기법인 'False belief technique'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디자이너의 기능 선정(feature selection)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디자인개발을 위한 eCRM솔루션구현에 관한 기초연구 - 냉장고의 선호도, 이미지, 디자인요소에 대한 off-line조사를 중심으로 - (The Fundamental Study about eCRM Solution Embodiment for Design Development - focused on the off-line research about preference, image, design elements of refrigerator-)

  • 홍정표;양종열;이유리;오민권;나광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49-156
    • /
    • 2002
  • 제품성공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선호를 바탕으로 해서만 가능하며 제품에 대한 소비자선호는 그 디자인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디자이너는 소비자선호에 대해 이해하고 그 선호를 특정 디자인요소들의 조합으로 전환하여 그들이 원하는 이미지의 제품을 디자인해야만 제품을 성공시킬 수 있다. 즉, 디자인 측면에서는 소비자선호구조 즉, 디자인선호도-디자인 이미지-디자인요소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이 간과했던 소비와 디자인간의 상호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자인 선호도-디자인 이미지-디자인 요소들간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디자인 계획시 체계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반응 프레임웍인 선호정도-이미지-디자인 요소들간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Bloch(1995)의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반응이론을 고찰하여 연구모델을 구축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디자인 선호도-디자인 이미지-디자인 요소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디자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PDF

인지적 몰입이 개인의 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MP3 플레이어에 대한 실증 연구 (The Effect of Cognitive Absorption on the Individual Inten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An Empirical Study on the MP3 Player)

  • 김보연;이상근;강민철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45-69
    • /
    • 2006
  •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has been widely used to predict user's behavior to accept the technology. Prior research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innovation construct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individual mental beliefs in technology acceptance and imitation influence. This study integrate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Flow Theory (FT) and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DIT). This paper indicates that imitation context, cognitive absorption (CA) based Flow theory and innovation context are the thre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proposed model has been tested among 232 users of MP3 players. Results showed that innovation context and cognitive absorption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ntention to use technology. Not all factors of the imitation context have 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use. However, we found that imitation context has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technology through cognitive absorption.

고객만족모형의 기대 딜레마 : 확산과 기대불일치의 통합모형 (The Expectation Dilemma of Customer Satisfaction Model : A Unified Model of Expectancy Disconfirmation and Diffusion)

  • 박상준;김현철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74
    • /
    • 2003
  • Many firms try to enhance the customer satisfaction, because they believe that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leads to superior returns. According to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consumers judge the satisfaction in comparison with their expectations about the product performance. If the performance is above the expectations, increase in satisfaction is expected. If the performance is below the expectations, decrease in satisfaction is expected. This explanation contradicts our beliefs that higher expectation leads to consumer's choices. To address the contradiction, this paper present a unified model which combines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with the well-known diffusion model. The unified model shows that the expectation can increase the choices even if the expectation decreases the satisfaction.

패션과 기술의 융합 제품을 위한 TAM과 패션의 통합 모형 연구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ashion: Toward an integrated model for fashionable technology products)

  • 심수인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0권
    • /
    • pp.217-23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identifying how consumers accept a fashionable technology product. A systematic review of 39 influential TAM studies focusing on theory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information technology results in three tendencies, which become backbone of the model of fashionable technology acceptance. A subsequent review of the nature of fashion fleshes out the backbone with detailed propositions in the more specific context of fashionable technology. The model of fashionable technology acceptance includes key propositions of Theory of Reasoned Action, in which internal beliefs consist of functional, aesthetic and symbolic values, and other factors, such as technology features (i.e., hardware specification, software specification, brand, and price factors), environmental conditions (i.e., technical infrastructure and user occasion), individual differences (i.e., age, gender, experience, personality, aesthetic sense, fashion innovativeness, and income), and social influence (i.e., subjective norms, social reputation, and cultural differenc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Technology Readiness as Moderator for Satisfaction and Destination Loyalty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 Taehyee Um;Jingwen Jia;Tie Xiaorui;Namho Ch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1권2호
    • /
    • pp.220-235
    • /
    • 2021
  • Technology has been changing the travel experience of visitors. Particularly, augmented reality (AR) is one of the emerging technologies, which widely used in cultural heritage tourism sites. This study is based on a new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uture modified this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beliefs, consumer satisfaction with AR, and destination loyalty in cultural heritage sites. Moreover, this paper examined the role of technology readiness (TR) forming travellers' loyalty of destination with a kind of travel technology--AR.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AR towards the travellers' loyalty of destination. TR is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is model.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 김나림;권이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83-1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J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96명을 대상으로 Pang(2005)의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관점, Ponterotto와 동료들(1998)이 개발한 교사 다문화 태도 척도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TMAS)를 옥장흠(2009)이 수정 보완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척도, 최충옥과 모경환(2007)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은 '인간관계 강조'나 '배려중심'교육이 목표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교사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여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모두 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현직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결부하여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