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undamental Study about eCRM Solution Embodiment for Design Development - focused on the off-line research about preference, image, design elements of refrigerator-

디자인개발을 위한 eCRM솔루션구현에 관한 기초연구 - 냉장고의 선호도, 이미지, 디자인요소에 대한 off-line조사를 중심으로 -

  • 홍정표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양종열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이유리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오민권 (전주대학교 정보기술학부) ;
  • 나광진 (전북대학교 디자인가치혁신센터)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The success of a product is only possible on the basis of user preference for products and the user preference for product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design. Designers have to understand user preference and convert it into the combination of specified design attribute, and after that they should design products which have the image that they want to get. Then the product will be sure to be a hit. Therefore, on the point of view of design, it is necessary to find oui definitely the consumer preference frame : the relationship among design preference - design images - design attribute. This study will give you guidelines on which designers can select and design some more objective and reliable design factors, finding out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y which they can know what kind of product designs their consumers like and how the popular image which that products offer is composed of.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we developed the consumer response framework which is proposed by Bloch(1995) : distinct relationship model among preference - design image adjective - design factor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preference-design image adjective - design factors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es. And then we give the way of design.

제품성공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선호를 바탕으로 해서만 가능하며 제품에 대한 소비자선호는 그 디자인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디자이너는 소비자선호에 대해 이해하고 그 선호를 특정 디자인요소들의 조합으로 전환하여 그들이 원하는 이미지의 제품을 디자인해야만 제품을 성공시킬 수 있다. 즉, 디자인 측면에서는 소비자선호구조 즉, 디자인선호도-디자인 이미지-디자인요소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이 간과했던 소비와 디자인간의 상호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자인 선호도-디자인 이미지-디자인 요소들간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디자인 계획시 체계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반응 프레임웍인 선호정도-이미지-디자인 요소들간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Bloch(1995)의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반응이론을 고찰하여 연구모델을 구축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디자인 선호도-디자인 이미지-디자인 요소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디자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