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 Oriented Psycholog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객체지향 시스템 모델링 차원 : 이론 및 탐색적 평가 (A Study on the Dimensions of Object-oriented Systems Modeling : Theory and an Exploratory Evaluation)

  • 안준모
    • 정보기술과데이타베이스저널
    • /
    • 제8권1호
    • /
    • pp.41-65
    • /
    • 2001
  • This study proposes evaluation dimensions of object-oriented systems modelling tools and activities available in object-oriented systems development practices. The dimensions al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information systems modeling study, and object-oriented systems analysis arid design areas. The proposed dimension is composed of two dimensions. The one dimension includes abstraction levels of modelling and the other includes process and representation in modeling activities. Experts on object-oriented modeling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practical validity of the proposed dimensions and applications of major object-oriented modeling tools during systems development project. Most of the tools were observed to be used for representing objects rather than for modeling the process of related objects. The proposed modeling dimension will be evaluated for acquiring general validity in future empirical research.

  • PDF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 매개효과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 김선민;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2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원의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6개월 이상 동일한 상사와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377명분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Hayes의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와 혁신행동 간 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바로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상사의 코칭리더십 발휘로 이어지고,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더 많은 혁신행동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이는 조직문화와 상사의 리더십인 환경적 변인이 어떻게 개인의 동기적 변인인 욕구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행동적 변인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외에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웨딩드레스점포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dding Dress Store Choice Process)

  • 이주은;임숙자;양윤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6-276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consumers' fashion store choice process based on the wedding dress stores, and also to find the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attributes affects to store choice process. This study adapted a survey method. Each 48 wedding dress stores in Ahyun-dong and Kangnam were selected, and 325 women who got married within 2 years ago were recruited, convenient sampled as the subjects and the survey methodology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dding dress buyers wear classified into four subdivisions by shopping orientation; reputation-oriented group, utility-oriented group, fashion-oriented group, and time-oriented grou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ore choice type between shopping orientation group. Third, in case of important ranks on store attributes, evaluation of store attributes for each step-consideration step, visit step and choice step-was revealed to be coherent. Fourth, there was differences in important ranks among each group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for all the groups was design, but reputation-oriented group raid importance to reputation of store, utility-oriented group and time-oriented group to economy, and fashion-oriented group to variety than other groups. Fi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for wedding dress stores by shopping orientation group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PDF

빅뱅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과정지향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BigBang Group Counseling Program- Focusing on the Process Oriented Psychology)

  • 양명숙;전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43-5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지향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대학 신입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절차는 프로그램 개발절차와 프로그램 효과검증 절차로 이루어졌고, 세부적으로 6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구안하여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신입생 116명이었고, 총 15개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집단원 자체 사전사후 평가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과 정신건강 점수의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였고, 경험보고서 분석을 통해 구성된 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 신입생이 경험하는 다양한 역경과 스트레스를 프로그램의 하위목표인 자기이해, 역경과 도전의 상대성에 대한 알아차림, 그리고 자기반영의 우주로의 확장을 통하여 심리적 안녕감 증진과 정신건강을 향상을 돕는데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신입생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이나 교육정책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용자 행태 특성에 의한 공용공간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design process for public space by us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 김개천;김범중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89-98
    • /
    • 2004
  • 행태 중심적 공간디자인은 인간의 심리를 기반으로 한 행동의 시스템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인간과 환경은 상보성(相補性)을 지닌 전체로서의 인식을 필요로 하며, 인간과 공간 역시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 총체적 현상으로 파악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행태 지향적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은 단지 물리적 실체를 형상화하고 조정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심리적, 행위적 현상들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간개인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인간집단의 상호작용에 관한 이해이다. 또한 공간인식에 있어서 물질의 이동이 아닌, 에너지의 순환과 변화요인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 이것은 이용자의 행태와 심리에 대한 파악이 단순히 편리함을 위한 합리적 목적을 지향하는 것이 아님을 뜻한다. 즉, 인간과 공간에 대한 구조를 물리적 요소로 분해하고 정형화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디자인하는 것과 달리, 공간과 인간 사이에 발생하는 행동패턴과 심리적 현상을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행태가 일어나는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인간 중심적인 공간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 중심의 또 다른 관점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인간, 공간, 환경의 총체적 어메니티, 즉 보다 나은 환경 질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활동, 즉 행위체계에 대한 자각이 선행되어져야 하며, 디자인을 위한 접근이 예측적 관념이 아닌, 준 과학적 체계 속에서 프로세스로 구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기초로 인간의 행태를 기본으로 한 디자인 언어로 도출되는 프로세스를 모색한다. 즉, 이용자의 관찰을 통해 공간 행태의 본질과 행위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공간디자인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조형언어로 발전된다면 인간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가 나타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용자의 행위와 심리를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물리적 데이터에 근거한 기존의 공공공간 디자인과는 달리, 인간 삶의 질적 향상을 지향하고 보다 인간 중심적인 디자인이 창출될 수 있다.

  • PDF

ICT-oriented Training of Future HEI Teachers: a Forecast of Educational Trends 2022-2024

  • Olena, Politova;Dariia, Pustovoichenko;Hrechanyk, Nataliia;Kateryna, Yaroshchuk;Serhii, Nenk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387-393
    • /
    • 2022
  • The article reflects short-term perspectives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higher education.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conservatism, so aspects of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re relevant to this cluster of social activity. Therefore, forecasting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elements of ICT training is in demand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ecasting educational trends are most relevant exactly in the issues of training future teachers of higher education because these specialists are actually the first to implement the acquired professional skills in pedagogical activities. The article aims to consider the existing potential of ICT-based learning, its implementation in the coming years, and promising innovative educational elements that may become relevant for the educational space in the future. The tasks of scientific exploration are to show the optimal formats of synergy between traditional and innovative models of learning. Based on already existing experience, extrapolation of conditions of educational process organization with modeling realities of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various learning dimensions should be carried out. Educational trends for the next 3 years are a rather tentative forecast because, as demonstrated by the events associated with the COVID-19 pandemic, the socio-cultural space is very changeable. Consequently, the dynamism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ictates the need for a value-based awareness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practical use of technological advances. Th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a manifestation of innovative educational strategies of today and become an important component along with traditional aspects of educational process organization. Future higher education teachers should develop a training strategy taking into account the expediency of the ICT component.

기업 팀장이 인식하는 팀원과의 의사소통 과정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process with team members perceived by team leader in corporation)

  • 백은정;신효정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2호
    • /
    • pp.25-51
    • /
    • 2021
  • 본 연구는 기업 팀장이 인식하는 팀원과의 의사소통 과정을 깊이 있게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대기업, 중견 기업, 외국계 기업의 팀장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총 51개의 개념과 1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조직에 필요한 소통을 고민하고 재해석함'이 개념으로 도출되었고, 이에 따른 중심현상은 '업무대화와 사적대화 병행방식으로 의도적인 노력을 함'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환경변화에 대한 대처 필요성을 인식함', 중재적 조건은 '스스로 성찰하고 셀프코칭 시간을 가짐'이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업무중심 대처, 갈등해결 대처, 관계증진 대처를 의사소통 과정으로 개념화되었고, 중심현상 상호작용 결과로서 '조직 내 선순환 소통을 인식함'으로 확인되었다. 팀장의 의사소통 과정분석 결과는 노력단계, 접근단계, 대처단계, 순환단계로 나타났고, 그 유형 분석 결과로써 업무중심 대처는 촉진자, 갈등해결 대처는 조력자, 관계증진 대처는 배려자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 팀장이 팀원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을 어떻게 인식하고 표현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 기업에서의 리더십 코칭과 리더 대상 상담에 차별적인 개입전략을 세우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마음그램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기초적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using Maumgrarm)

  • 안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93-401
    • /
    • 2017
  • 이 연구는 마음그램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틀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마음그램'이란 기존의 분석심리학 및 유식학의 마음구조를 기반으로 인간의 마음을 네 가지 마음자리(탐닉형, 분노형, 경쟁형, 이기심형)로 유형화하고, 이를 위한 인성교육의 단계적 구조를 알기 쉽게 도식화한 것을 말한다. 마음유형별 프로그램의 설계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관찰을 통해 자아의식의 원인을 자각하는 '발견'의 단계이며, 두 번째는 부정적인 욕구를 긍정적인 욕구로 조절하는 학습과정인 '전환'단계, 세 번째는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타자와의 '관계'지향의 단계이다.

완벽주의 성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Multicultural Attitude)

  • 이현미;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875-5887
    • /
    • 2015
  • 본 연구는 완벽주의의 하위차원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와의 관련성을 전제로 하여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 있어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의 조절효과를 발견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258명을 그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완벽주의의 하위변인과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 간에 부분적으로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며, 완벽주의 하위변인들 각각의 영향력이 통제된 상황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다문화 태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인 차이인식간의 관계는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졌다. 아울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인 차이인식, 개방과 수용 간의 관계 또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에 따라서 유의하게 달라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중요성이 더해가는 다문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완벽주의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조절변인으로 고려함으로써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 간 관계에 대해 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제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을 접할 때,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을 높히는 개입이 도움이 되지 않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Practices for Readiness of Future Specialists for Professional Self-Determin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 Olena Kochubei;Mykola Dubinka;Inna Knysh;Ihor Poliakov;Olga Tsokur;Vasyl Tiahur;Oleksandr Kucha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2호
    • /
    • pp.129-136
    • /
    • 2023
  • Professional self-determination of the individual is a complex and lengthy process of finding and realizing yourself in the profession. The main goal of professional self-determination is clarified. The basic concepts of readiness for professional self-determination of future specialists in the modern information society are revealed. The following approaches to the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readiness are defined: functional-psychological, personal, activity-bas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readiness identified by the researchers, it can be assumed that the structure of professional self-determination of the future specialist contains motivational, cognitive and activity components. Self-determination is defined as a multidimensional process that can be considered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as a series of tasks, that society sets for the emerging individual, and which the individual must solve in a certain period. As a process of step-by-step decision-making, with the help of which the individual forms a balance between his desires and inclinations, on the one hand, and the needs of society, on the other; as a process of forming an individual lifestyle, part of which is professional activity. A number of tasks of professional self-determination of a future specialist in the information society are formulated. Diagnostic practices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readiness of future specialists for future professional success are characterized. Practices are developed as a basis for creating an individually oriented correctional and development program to promote the formation of future specialists' focus on future professional success. Their task is to ensure control over the dynamics of this process,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is career guidance work. Practices are aimed at identifying the degree of thorough knowledge of the conditions for achieving professional success in the chosen field of activity among future special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