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atic concept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6초

Needs for Changing Accident Investigation from Blaming to Systems Approach

  • Kee, Dohyu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43-153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needs for changing accident investigation from blaming to systems approach and to briefly summarize systems-based accident analysis techniques. Background: In modern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s, accidents are caused by a variety of contributing factors including human, technical, organizational, social factors, not by just a single violation or error of a specific actor, but accidents investigation used to be focused on the incorrect action of individuals. A new approach investigating causes of accidents as a symptom of a deficient system is required. Method: This study was mainly based on survey of literatures related to accidents, accidents investigation, which included academic journals, newspapers, etc.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accidents investigation of Korea focusing on blaming is problematic. This was confirmed by two concepts of migration and hindsight bias frequently found in accident causation studies, and an attribute of accidents having varying causes. This was illustrated with an example of Sewol ferry capsizing accident. Representative systems-based accident analysis models including Swiss cheese model, AcciMap, HFACS, FRAM and STAMP were briefly introduced, which can be used in systematic accidents investigation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of accidents, which was composed of two steps: public inquiry and devising preventive measures. Conclusion: A new approach considering how safety-critical components such as technical and social elements, and their interactions lead to accidents is needed for preventing reoccurrence of similar accidents in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s. Application: The results would be used as a reference or guideline when the safety relevant governmental organizations investigate accidents.

근대건축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소고 -기능(술)주의, 형식주의, 예술주의와 전망- (Mapping the Concept of Modernism in Architecture -Functionalism, Formalism and Artistic Avantgardism-)

  • 이상헌
    • 건축역사연구
    • /
    • 제8권1호
    • /
    • pp.53-62
    • /
    • 1999
  • Modernism in architecture is a very complex and contradictory phenomena. So much so that it has been defin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history, depending on one's position i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It is thus necessary to map out the various concepts of modernism and their relationships in order to hav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odern architecture.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the various positions as functionalism, formalism and artistic avant-gardism, and to trace their history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o the present.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modernism from functionalism to artistic avant-gardism seems a logical process in the history of western modem culture.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o be more abstract and self referential artistic practice reflects the fragmentation of modern culture and the separation of art and technology. The validity of this position, of course, depends on how one evaluates the role of modern art in the situation of modern culture. It could be viewed either negatively or positively. However, this position is problematic in that it disregard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architecture and other arts and distanced architecture farther from its material base. Given this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modernism, modernism in Korea should not viewed simply identical to the western modernism, nor should western modernism be imported uncri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her modernization and their differences from the west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different status and role of architecture in korean modern society.

  • PDF

대학(大學) 수학(修學) 용력(龍力) 의험(議驗)의 자연과학(自然科學) 탐구(探究) 능력(能力) 평가(評價)를 위(爲)한 행동(行動) 요소(要素)의 추출(抽出)과 평가(評價) 목표(目標)의 상세화(詳細化) 연구(硏究) II (The Specification of Evaluative Objectives and Selection of Behavioral Elements for Measuring Science Inquiry Skills of University Competency Tests)

  • 우종옥;이항로;이경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95
    • /
    • 199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pecify the evaluative objective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to serve as an evaluative criterion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ompetency tes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l) Five steps a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science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inquiry skills. (2) Three dimensional taxomony was presented to evaluate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university competency test. (3) Sixteen behavioral elements were selected from the science process model and defined operationally. (4) 146 evaluative objectives were specified according to each behavioral element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above, the science inquiry model and the evaluative objectives wilt be contributed to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including basic concepts and contents, and problematic situation in science.

  • PDF

집적과 클러스터: 개념과 유형 그리고 관련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Reconsidering the Concept, Typology and Theories of Agglomeration and Cluster in Economic Geography)

  • 이종호;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2-318
    • /
    • 2008
  • 1990년대 이후 산업 집적 혹은 지역혁신 관련 연구들은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고, 그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논의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지리학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 분야의 하나인 산업 집적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들의 구체성은 오히려 결여되고 있어, 새로운 학문적 조류와 환경 변화에 대응한 이론 체계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식기반경제 혹은 학습경제로의 전환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경제활동의 공간적 실체인 집적 및 클러스터와 관련된 용어와 개념 그리고 이론들을 주요 연구 문헌들의 고갈을 토대로 검토하였는바, 그 핵심적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적과 클러스터의 용어 및 개념적 구분이 명확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클러스터는 집적의 다양한 존재 형태 가운데 일부를 나타내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됨으로써 개념적 불명료성과 혼동을 가중시키고 있다. 둘째, 집적지, 혹은 클러스터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명확하게 하지 앓은 결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집적지의 유형을 구분하는데 있어서도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다수의 연구에서 그들이 사용한 집적지 관련 용어에 대한 개념정의를 명확하게 하지 않고 유형 구분을 함으로써 집적지 유형 구분에 대한 의의를 반감시키거나 해석상의 오류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셋째, 산업 집적지 혹은 클러스터 관련 이론들 간의 수렴 현상이 나타나면서 이론들 간의 차별성과 정체성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 PDF

칠정상(七情傷)의 기전에 대한 고찰 - 감정적 요인을 중심으로 - (Emotional factors in the mechanism of Chiljeongsang(七情傷))

  • 윤은경;백유상;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7-142
    • /
    • 2011
  • This paper is about the emotional factors in Chiljeongsang(七情傷). To specify the collective term into specific categories, an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emotion of the East and West was primarily undertaken. The importance of emotion lies in the fact that it provides a link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outside world. Emotion was perceived as reflections of the human nature and mental activity by philosophers and psychiatrists throughout history. In the views of psychologists, the focus was on not emotion itself, but rather the emotional experience in human, and it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 In Traditional Medicine, problematic emotion is called Chiljeong(七情). The term Chiljeongsang(七情傷), which is a compound word of 'Chiljeong(七情)' and 'Sang(傷)' meaning 'damage', is used in referring to illness related to unhealthy emotions. It is used to describe illness caused by Chiljeong(七情) and mental disorders that result in emotional symptoms. It also refers to illness where Chiljeong(七情) plays a role in creating a more direct cause of illness in the larger pathogenic process. In the contents of Chiljeongsang(七情傷) in Traditional Medicine, emotion as causation of Gi(氣) disorder could be found the most, while explanation on the psychological process related to the creation of Chiljeong(七情) was insufficient. This tendency is related to the philosophical basis of Traditional Medicine. Out of the two patterns suggested, the mind-based Chiljeongsang(七情傷) pattern includes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damage, in which key focus is on the cause that arouses problematic emotion, its process and the meaning this emotion entails. To explain this, concepts from psychiatry, especially Jung's theory on neurosis was adopted. In treating a Chiljeongsang(七情傷) patient, mere knowledge of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body in terms of Gi(氣) is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mental factors play a large role in Chiljeongsang(七情傷), and the more a condition is 'mental', the more complex it becomes and the more it influences life as whole. Therefore, the doctor must approach the patient with not only medical knowledge, but also overall knowledge on all aspects of human life.

세월호 참사 보도에 나타난 언론의 가상성 (The Virtuality Shown in the Media Coverag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 이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66-779
    • /
    • 2016
  •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보도에 드러난 '가상성'을 중심으로 매개된 현실과 실제 현실의 간극을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방송기자연합회 저널리즘 특별위원회는 한국 언론의 세월호 보도 양상을 가리켜 저널리즘의 침몰이라고 명명할 만큼 세월호 보도는 현실 반영에 커다란 문제점을 드러냈다. 언론 보도의 가상성이 문제가 되는 것은 실제 현실보다 보도된 현실, 즉 매개 표상들을 더욱 많이 접촉하고 경험할 때, 수용자는 '실제 현실'에 근거하여 행동하기보다는 '매개된 현실'로부터 받아들인 것을 실제 상황이라 여기고 이에 근거해 반응한다는데 있다. 많은 연구에서 매체의 수용자들은 매개현실을 실제 외부세계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관찰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사상사에서 다루어진 '가상' 개념에 대한 중요 담론을 검토하여 매개현실의 문제와 한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매개현실의 가상성은 여론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권력의 사회화, 사회 통제, 사회주도권 개념들과도 쉽게 연결 지을 수 있었다.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물질 개념에 대한 고찰 (Examining the Concept of Matter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홍미영;전경문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5-7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7차 과학과 교육과정(화학 영역)에서 물질의 의미, 입자 개념, 물질의 상태등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물질'이라는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 material, matter, substance 등 서로 다른 의미로 혼용하고 있어 학생들이 순물질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물질의 입자성에 대해서는 9학년에서 원자 개념, 10학년에서 이온 개념을 도입하기 이전에, 7학년에서 물질의 기본 단위로 분자 개념을 도입한다. 학생들이 물질의 구조에 대해 통합적으로 일관성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입자 개념의 제시 순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상태 변화에서는 물질 보존이나 가역성 등 주요 개념들을 교육 과정에서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다양한 입자적 관점에서의 설명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 물질 개념은 화학에서 기본이 되므로, 이를 명확히 가르칠 것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그래프 이론 기반의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 시야 내의 출입 영역 검출 (Detection of Entry/Exit Zones for Visual Surveillance System using Graph Theoretic Clustering)

  • 우하용;김경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6호
    • /
    • pp.1-8
    • /
    • 2009
  •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카메라 시야 간의 연결 관계를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 카메라들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카메라 시야 내의 출입 영역을 검출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시야에서 객체의 등장 및 퇴장으로부터 얻은 데이터에 그래프 이론 기반의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적용하여 시야 내의 출입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데이터 포인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여 최소신장트리를 구성하고, 트리의 에지들 중 일관성을 갖지 않는 것들을 삭제하여 well-formed 클러스터를 얻는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의 형태를 설명하는 두 가지 특징을 정의하고 이를 클러스터의 분할 조건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데이터 포인트의 분포가 조밀하지 않은 경우 expectation maximization(EM)에 기반을 둔 방법에 비하여 치안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EM 기반 방법들에 비하여 안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포인트의 개수가 적으므로 출입영역에 대한 학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수학 내러티브의 교육적 활용 (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Mathematics Narrative)

  • 이기돈;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443-465
    • /
    • 2014
  • 수학 교수학습은 수리 논리적인 수학적 사고의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그러나 최근 '서사적 방향 전환'과 함께 수학교육의 분야에서도 이야기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사학, Bruner의 논의, 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에 대한 논의 등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이야기 또는 다른 사람이 겪은 이야기로서의 '이야기'와 저자 또는 화자가 경험한 수학적 사실들의 스토리 형식을 갖춘 재현으로서의 '수학 내러티브'를 구분하고, 수학 내러티브와 수학적 사실들에 대한 내러티브 사고 양식의 적용을 통해 인지적 의미와 정서적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 내러티브의 활용이 이야기 활용의 제한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의미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수학 내러티브의 활용이 수학 교과와 학습자의 통합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수학 교수학습을 재음미하였다.

  • PDF

김수영 시의 '언어-문자' 이미지와 '에크리튀르'의 정치학 (A Study on 'Language-Letter' images and politics of 'écriture' in Kim, Soo-Yung's poems)

  • 이찬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173-200
    • /
    • 2012
  • 이 논문은 김수영 시에 나타난 "말", "언어", "활자", "글자", "책", "서책", "서적" 등과 같은 '언어-문자' 이미지에 주목하여, 그것들의 배경을 이루는 '에크리튀르'의 의미소와 정치학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의제의 초점은 김수영 시를 언어학적이거나 수사학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대부분의 논문들이 지니는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과정 속에서 마련되었다. 그것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지엽적이고 세부적인 언어 용법으로 김수영 시의 분석과 해석을 제한하고 있는 데서 발생한다. 곧 그의 시에서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언어-문자' 이미지에 대한 총체적인 해석의 틀을 제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철학적이고 이론적인 해명이나 사회 정치적 담론 분석의 차원에서도 난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김수영 시에 드러난 "말"과 "언어" 이미지에 대해서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사유'에 입각하여 해명하려 했으며, "활자", "글자", "붓"에 대해서는 데리다가 제시했던 '원초적 글쓰기' 개념을 통해 새롭게 해석하고자 했다. 나아가 "책", "서책", "서적" 등과 같은 이미지에 대해서는 바이우의 '진리의 윤리학'과 데리다의 '에크리튀르'라는 문제틀을 함께 도입하여 김수영의 시를 '에크리튀르의 정치학'이라는 말로 새롭게 명명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