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based Education

검색결과 2,991건 처리시간 0.025초

문제기반학습모형에 근거한 공학회계의 웹기반 실습시스템 개발 (A Web-based Practice System for Engineering Accounting by Problem-based Learning Model)

  • 김문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55-63
    • /
    • 2011
  • 본 논문은 문제기반학습모형(Problem-based learning model)접근방법을 공학회계라는 다분히 학제 간 성격(공학과 회계학)을 갖는 교과에 어떻게 적용할 지를 다룬다. PBL 접근방법은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서 공학회계와 관련한 기업 문제를 제기하고 다룰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를 시스템적 관점해서 해결하려는 공학 측면에서도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PBL모형의 현실적인 적용을 위해서 학생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생성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실습 시스템을 개발, 제안한다.

문제중심학습에서 내재적 동기와 학습 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problem-based learning)

  • 김혜령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8-2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took the Fundamentals of nursing as a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we identified the intrinsic motivations of 114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problem-based learning using the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The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intrinsic motiv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Results: The group with higher intrinsic motivation showed higher scores in all domains of self-assessed learning outcomes than the lower group. It was the 'Relatedness with an instructor'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learning outcomes in the domains of intrinsic motivation. Conclusion: Problem-based learning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cultivating the competencies needed for nurses. The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problem-based learning. For the efficiency of problem-based learning,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nd apply autonomy-supportive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와 학생의 역할 (Role of tutor and stud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 정복례;이가언;김경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07-213
    • /
    • 1997
  • Basic science teaching and clinical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whenever appropriate, and the development of skills, values, and attitudes which are emphasized to the same extent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nursing. Problem-based learning provides a students-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and encourages an inquisitive style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comment the role of tutors and students on problem-based learning. The use of problem-based learning places a high demand on faculty members' time and support. The role of tutors in Problem-based learning focuses primarily on issues of developing and teaching the curriculum and on organizational 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Tutors are an integral part of course planning. Tutors serve as a constant source of feedback on student needs and concerns to the course director and constitute an informal steering committee while the course is in progress. Tutors write cases, develop student evaluation methods, recommend resources, suggest modifications in lectures and laboratories. Students have a limited amount of time available to study what is traditionally defined as the core content of nursing. But, the role of students in Problem-based learning would be active, independent learners and problem-solvers rather than passive recipients of information. Students using a deep level approach attempt to integrate what they learn with what they already know, to understand the meaning underlying the material to be learned, and to look for explanations rather than facts. Students are encouraged, with appropriate guidance, to define their own learning goals, to select appropriate experiences to achieve these goals, and to be responsible for assessing their own learning progress. Problem-based learning is more flexible and meaningful, by encouraging student interaction, and by having a better emotional climate than the conventional learning.

  • PDF

자기주도학습 능력 개발을 위한 설계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Educ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한지영;이민영;정보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15-125
    • /
    • 2009
  •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 개념 및 구성요인과 자기주도학습 능력개발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을 살펴보고, 문제기반학습과 프로젝트기반학습 방법이 적용되는 설계교육의 절차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기주도학습 능력개발을 위한 설계교육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 능력개발, 설계교육을 주요어(key word)로 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설계교육 절차 및 문제기반학습과 프로젝트기반학습의 공통되는 항목을 추출하여 5단계 를 도출하였고,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수준 차이를 전제로 하는 Grow(1991)의 수업 모형을 연결시켜 총 9단계의 설계교육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는 첫째, 선수학습 준비, 둘째, 문제정의 및 필요성 인식, 셋째, 팀 구성, 넷째, 관련자료 수집, 다섯째, 교사와 함께 실질적인 문제에 대한 팀학습, 여섯째, 최적의 해결책 선택, 일곱째, 학생 중심 토의, 여덟째, 모형 및 제품 제작, 아홉째, 시험 및 평가, 보완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모형을 적용시킨 설계교육을 통해 교수자는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정도 및 학업성취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는 이전보다 높은 수준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가지게 될 것이고, 이는 다른 학습상황에도 전이되어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공학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mart Senso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Service Plug-In in MQTT-Based IIoT Applications

  • Lee, Young-Ran;Kim, Sung-Ki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3호
    • /
    • pp.209-218
    • /
    • 2022
  • Industrial IoT applications, including smart factories, require two problem-solving to build data monitoring systems required by services from distributed IoT sensors (smart sensors). One is to overcome proprietary protocols, data formats, and hardware differences and to uniquely identify and connect IoT sensors, and the other is to overcome the problem of changing the server-side data storage structure and sensor data transmission format according to the addition or change of service or IoT sensors. The IEEE 1451.4 standard-based or IPMI specification-based smart sensor technology supports the development of plug-and-play sensors that solve the first problem.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requires a second problem-solving, which requires support for the plug-in of IoT sensors into remote services. To propose a solution for the integration of these two problem-solving, we present a IoT sensor platform, a service system architecture, and a service plugin protocol for the MQTT-based IIoT application environment.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육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 of software education applying problem-solving learning)

  • 이영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95-100
    • /
    • 2018
  • 다양한 문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은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컴퓨팅 사고력과 함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미래 인재 양성이 대학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문제 해결 학습 기반으로 실시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의 흥미와 배운 정도,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 동기와 학습 방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 수준에 적합한 실생활에 관련된 문제 해결학습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한다면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고, 학습 효과가 높아져서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기반으로 (Development of Regional Problem Solv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 최용석;박종석;백보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187-203
    • /
    • 2022
  • 지역사회의 경제, 사회, 환경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자, 우리 사회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지역문제에서 기회를 발견하고 창의적 도전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청년 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은 대체로 상업성에 방점을 두고 있어 지역문제 해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역량 중심 교육과정 모형(Competency based Curriculum)을 적용하였으며, 총 10인의 전문가 자문을 거쳐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역량 모형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자 델파이 방법론을 추가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총 23개의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이 확정되었으며, 역량별 지식(K)-기술(S)-태도(A)는 각각 5개, 9개, 9개로 구성되었다. 이를 Dunham의 문제해결 6단계 모형에 적용하여 Phase 1 문제 발굴, Phase 2 문제 분석, Phase 3 계획, Phase 4 조치, Phase 5 평가 순으로 모듈식 학습지원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에서 자안된 이론적 모형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및 학습지원책을 개발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컴퓨팅 사고력을 토대로 한 융합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Computing ThinkingAbil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est)

  • 이승범;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179-187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적용한 융합교육이 문제해결력 및 관심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3명과 6학년 학생 15명을 총 38명을 대상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설문지를 통한 문제해결력과 관심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를 보기 위해 T-검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컴퓨팅 사고력을 적용한 융합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요인을 보면 문제 발견 요인, 문제 해결 고안 요인, 문제 해결 실행 요인, 문제 해결 검토 요인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문제 정의 요인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컴퓨팅 사고력을 적용한 융합교육이 과목별 관심도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소프트웨어 교육과 체육활동에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식습관 활동에 대한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컴퓨팅 사고력을 토대로 한 융합교육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관심도, 흥미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YMLOG 다이어그램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문제 해결 팀과 비효율적인 문제 해결 팀의 특징 비교 연구 (Compare of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and Inefficient Problem-Solving Teams Using SYMLOG Diagram Analysis)

  • 조한진;이학석;신경섭;김태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3-1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problem-solving teams and inefficient problem-solving teams using SYMLOG. In this study, 35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education at C university were organized into 7 teams and carried out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projects over one semes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am project, the top 2 teams were defined as 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s and the bottom 2 teams were defined as in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m using SYMLO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SYMLOG from 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s and in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elf-awareness and others' perception in terms of U(Upward)-D(Downward) dimension. Second, in the in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awareness and others' in the F(Forward)-B(Backward) dimension.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lf-awareness and others' in both efficient and inefficient teams at the P (Positive)-N(Negative) dimension. Fourth, an efficient problem-solving team had a clear leader, and there was a team member who supported the leader. On the other hand, the inefficient problem-solving team did not have a clear leader, or one person played the role of leader and there were no team members supporting the leader.

웹기반 학습을 위한 사회과 지역화 학습자료 개발과 활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Materials about the Regional Autonomy in the Social Studies For Web Based Instruction)

  • 박현순;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57-71
    • /
    • 2000
  • 일반적으로 웹기반 수업이 전 교과에 걸쳐 전개되고 있는 바, 다양한 WBI 자료를 교과특질에 맞게 특성화하는 일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수업현장의 과제이다. 따라서 웹기반 지역화 학습자료 개발이라는 당면과제를 사회과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써 본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전국 각 지역마다 '사회탐구'라는 별책교재를 개발하여 Text위주의 지역화 학습을 지도하고 있는데 이를 개선하는 노력으로 WBI 지역화 자료개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고장의 생활모습 등의 다양한 내용을 WBI 자료화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올려 활용 지도하였다. 그 결과 Text위주의 교재감각에서 벗어나 역동적인 멀티미디어 환경인 지역화 웹페이지를 만남으로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이 신장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