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Calculus theor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온라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중계산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rivacy Decision Making on the Internet: Focus on Dual-Calculus Model)

  • 김상희;김종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3호
    • /
    • pp.197-21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cision making in relation to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with respect to the integration of the privacy calculus theory and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based on the dual-calculus model proposed by Li(2012).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privacy calculus theory and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have been applied to explain privacy behavior to a certain degree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ain privacy behavior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se two theories. Although Li(2012) proposed the dual-calculus model, he only proposed its framework and did not carry out an empirical stud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hat integrates these two theori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ories through an empirical study.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rela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except the relation between coping appraisal and privacy risk in the risk calculus process. Thus, the results verify that external threat played a decisive role in increasing the risk level of a consumer's privacy. It can be discussed the ways to enhance the privacy behavior of consumer on the internet through these findings.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의 경제적 행동에 관한 연구: Privacy Calculus, CPM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net User's Economic Behavior of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cused on the Privacy Calculus, CPM Theory)

  • 김진성;김종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1호
    • /
    • pp.93-12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economic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who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notwithstanding the concern about an invasion of privacy based on th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computation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management theory of communic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Dual-Process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did empirical analysis of the path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dividing Internet users into a group having experience in personal information spill and another group having no experience.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vacy Concern about forms through the Perceived Privacy Risk derived from the Disposition to value Privac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involved in personal information offering occurs due to the Perceived Benefits contradicting the Privacy Concern.

신체 정보를 활용한 사이즈 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정보 제공 의도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Effect of Consumers' Privacy Concerns on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s for Size Recommendation Services Based on Body Information -Focusing on Privacy Calculus Theory)

  • 서상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42-45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information privacy attitudes and behaviors of users of size recommendation services based on body information. Focusing on the privacy calculus theory, the effects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s well as perceived risk and benefit of information disclosure on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were analyzed. Consumers who used size recommendation services based on body information were surveyed from August 18 to 24, 2022. Analysis of the 251 responses collected revealed tha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privacy risk; however, perceived privacy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while perceived privacy benefit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Therefore, the privacy calculus theory confirms the existence of the privacy paradox, revealing perceived privacy benefit has a greater impact on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than perceived privacy risk.

딥러닝을 이용한 온라인 리뷰 기반 다속성별 추천 모형 개발 (Developing the online reviews based recommender models for multi-attributes using deep learning)

  • 이륜경;정남호;홍태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1호
    • /
    • pp.97-11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economic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who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notwithstanding the concern about an invasion of privacy based on th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computation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management theory of communic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Dual-Process Theory.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vacy Concern about forms through the Perceived Privacy Risk derived from the Disposition to value Privac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involved in personal information offering occurs due to the Perceived Benefits contradicting the Privacy Concern.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에서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의 영향 (Influence of Privacy Concerns on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Based 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 김종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265-272
    • /
    • 2017
  •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가 활발히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정보의 노출에 대한 염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에 기반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정보의 제공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확인하고자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SmartPL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의 기존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은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며, 위험과 효과 측면을 고려하여 프라이버시 정보의 제공을 결정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라이버시 염려는 위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사용의도는 효과에 의해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적 판단과 행동적 판단이 서로 상이한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행동경제학적 관점과 일치한다.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 Social Log-in Service

  • Kim, Yujin;Lee, Hyung-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93-200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로그인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를 유발하는 원인 및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주인-대리인 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정보 비대칭성, 서비스 제공자의 기회주의 우려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 모델을 적용하여 프라이버시 염려와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각된 정보 비대칭성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서비스 제공자의 기회주의 우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지각된 위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에 따라 소셜로그인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잠재적 손실보다 기대되는 이익이 클수록 사용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로그인 서비스 기업들이 고객의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대해 이해하고 서비스를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모바일 헬스 앱 사용의도 동기요인: 조절초점성향과 프라이버시계산이론을 중심으로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 Apps: Focusing on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Privacy Calculus Theory)

  • 소현정;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33-53
    • /
    • 2021
  • 모바일 앱 사용이 확대되면서 사용자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염려는 증가되고 있지만 사용자들은 앱을 사용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기꺼이 공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절초점성향과 프라이버시계산이론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앱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을 제시한다. 제시한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헬스 앱을 사용하는 전국의 성인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PLS-SEM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절초점 두 성향 중 향상초점성향은 정보프라이버시염려와 프라이버시위험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예방초점성향은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정보프라이버시염려는 모바일 앱 사용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프라이버시이익과 프라이버시지식은 모바일 앱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앱 사용의도는 모바일 앱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앱 사용자의 조절초점성향이 정보프라이버시염려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이에 따른 모바일 앱 사용의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The Impact of Privacy Control on Users' Intention to Use Smart Home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 Kim, Mingyung;Choi, Bo Reum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29-38
    • /
    • 2022
  • Despite the diverse benefits of smart home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actual usage of those services is concern about privacy. However, little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impact of privacy control on users' intention to use smart home services. Based on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and privacy calculus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rivacy control options affect users' perceived benefits and costs and how those perceptions affect individuals' intentions to use smart home services by conducting an experiment. Our results showed that smart home privacy control options decreased perceived benefits and increased perceived costs. The perceived benefits and cos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 security services. More intriguingly, the effect of perceived benefit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that of the expected cos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of IoT and smart home research and provides practitioners with notable guidelines.

고객의 조절초점 성향과 생성형 AI 기반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Customer Regulatory Focus and Familiarity with Generative AI-based Chatbot on Self-Disclosure Intentions: Focusing on Privacy Calculus Theory)

  • 박은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2호
    • /
    • pp.49-68
    • /
    • 2024
  • 최근 개인정보 공유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가 높아지면서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 기반 챗봇을 이용하여 고객의 정보 제공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버시 계산이론과 조절초점 이론을 바탕으로 고객의 성향과 생성형 AI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고객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473명의 참가자를 이용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생성형 AI 기반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낮은 경우, 예방초점 성향의 참가자가 향상초점 성향의 참가자보다 프라이버시 위험을 높게 인식하고 유용성을 더 낮게 지각한 반면,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경우, 예방초점과 향상초점 참가자 간의 프라이버시 위험과 인지된 유용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정보 제공의도 역시 생성형 AI 기반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낮은 경우, 향상초점 성향의 참가자가 예방초점 성향의 참가자보다 개인정보 제공의도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경우, 예방초점과 향상초점 참가자 간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대한 프라이버시 위험에 의해 매개되었다. 본 연구는 고객의 개인정보 공개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내재적 성향과 함께 생성형 AI 기반 챗봇에 대한 친숙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며 더불어 생성형 AI 챗봇에 대한 관련 연구 분야에 기여한다.

오픈뱅킹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MyData Service based on Open Banking)

  • 이종섭;최재섭;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
    • /
    • 2022
  • With the revision of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in August 2020, the MyData service based on open banking policy will take effect in January 2022. Nonetheless,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legal system or security-related issues of such service. Therefore,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financial consumers aged 20 or older nationwide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MyData services based on open banking. Five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open banking-based MyData service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a research model that combined value-based adoption model and privacy calculus theory was presente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the relationship of its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a sample of 400 users that is randomly select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personaliz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benefits and reliability on sacrifice among service characteristics. They also suggested that MyData operators should devote themselves to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optimized for customers and establishing trust relationships. It was confirmed that both usefulness and enjoyment had a grea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and in terms of sacrifice, the burden of financial costs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privacy concer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psychological propensity of financial consumers to identify service utilization factors and presented a new approach that can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domestic MyData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