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ncipals' Leadership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8초

Charter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actices

  • Lee, In-Ho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4호
    • /
    • pp.70-7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ter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actices in New York State. The data generating sample consisted of 44 charter school principal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actices of charter school principals were in the moderate to high categories, and the greatest gap was on Inspiring a shared vision leadership practice.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leadership practices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gender, age, ethnicity, and level of education of principals. However,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both the Modeling the way and Encouraging the heart leadership practices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charter school principal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spiring a shared vision leadership practice of charter school principals and prior experience as a school principal.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집단적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fficacy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f Teachers)

  • 최인숙;성미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89-80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llective efficacy and efficacy of teachers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196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the Incheon and Gyeonggi-do areas. These valuables were all measured by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collective efficacy and efficacy of teachers. Second, collective efficacy of teac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fficacy of teachers. Finally, the effects of principals' leadership on efficacy of teachers was totally mediated by collective efficacy of teachers. Most importantly, the collective efficacy of teachers tota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individual efficacy of teachers.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간 차이 (The effect of the shared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Difference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

  • 최경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455-461
    • /
    • 2019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인식하는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원장과 교사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A지역에 소재한 120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2017년 11월 1일부터 12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93명의 원장과 101명의 교사의 응답내용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 21.0 version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와 t-test를 부수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장과 교사 모두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공유리더십이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어린이집에서 공유리더십의 적용 필요성을 알게 한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공유리더십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지지, 능동적 교직선택동기, 셀프리더십 및 보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s Emotional Support, Child 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and Commitment)

  • 서미정;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7-18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s emotional support,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and commit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65 child care teachers and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Results: First,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 emo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er's self-leadership. Second,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Third, teacher's self-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 care efficacy. Fourth, teacher's child care efficacy was to found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great deal of utility to improve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학교장의 전략적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n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ment of Principals' Strategic Leadership)

  • 윤소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31-242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장의 전략적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학교장 직무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중등 학교장 128명의 응답자료가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t 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구축을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 및 중등 학교장이 인식하는 전략적 리더십에 대한 세부 역량으로 미래방향 설정을 위한 정보수집 및 활용, 교육공동체의 비전제시,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핵심가치 제시, 학교 재정조건 파악 및 활용, 학교 조직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 소통 풍토 조성을 위한 노력이 도출되었다. 둘째, 초등학교장이 인식하는 전략적 리더십에 대한 세부 역량으로 교육공동체의 비전제시,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핵심가치 제시, 학교 내외 환경 분석 및 활용, 학교 재정조건 파악 및 활용, 교육목표 실현 방안 모색 및 계획, 학교 조직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 소통 풍토 조성을 위한 노력이 도출되었다.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 김정림;조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5-8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였으며 감성리더십의 하위변인 중 개인적 역량을 사회적 역량에 비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를 집단적 문화라고 지각하는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혁신적 문화, 위계적 문화, 합리적 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교사는 복지후생과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고 근무환경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 및 직무만족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성리더십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역량이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조직문화의 하위변인 중 집단적 문화, 혁신적 문화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지각된 교사효능감, 학교장 지도성, 동료교사 태도 인식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 (The Relations of Teacher-Efficacy and Percep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Peer Collaboration acros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82-4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계층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직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년도)자료 교사대상 설문지의 1.03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은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중간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의 세 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세 개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교직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교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의 개별특성을 확인하기 보다는 교사 개인의 프로파일을 이해하고 프로파일에 기초한 맞춤형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교문화가 학교구성원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chool Cultures on the School Members' Satisfaction)

  • 박수정;이준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52-462
    • /
    • 2013
  • 이 연구는 학교문화, 구체적으로는 교사의 협력문화, 학교장의 지도성, 학생의 교우관계가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장 등 학교구성원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11년에 조사된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만족도에는 학생의 교우관계와 교사의 협력문화가, 교사의 학교만족도에는 학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협력문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교 단위에서 교사의 협력문화가 학생, 학부모, 교사의 학교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졌고, 각각 연구되는 경향이 강했던 학생과 학부모, 교사와 학교장의 학교만족도와 학교문화를 제한적으로나마 동시에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창의 미래교육 리더십 강화 직무연수에 참여한 초·중등학교 관리자의 만족도 및 효과성 분석 (The Satisfaction and 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aders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Training for Creative Leadership)

  • 최영미;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55-64
    • /
    • 2022
  • 학교 관리자는 교사의 창의적인 역량을 향상시키는 환경, 문화, 구조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학습자 및 교사 측면에서의 창의성 연구에 비해 학교 관리자의 창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적었다. 이 논문에서는 창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초·중등 관리자의 직무연수에 참여한 만족도와 견해를 살펴보았다. 2020-I, 2020-II, 2021-I의 연수시기에 참여한 교장 및 교감 총 67명의 만족도 조사 자료와 답변을 일원분산분석 및 질적데이터코딩으로 분석하였다. 창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연수과정의 만족도, 연수운영에 대한 만족도, 개별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제시하였으며, 연수시기별 효과도 비교하였다. 참여한 창의 리더십 강화 연수에 대한 관리자의 평가 및 질적 개선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였다. 직무연수 참여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창의 리더십 강화 초·중등학교 관리자 연수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양질의 직무연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뉴 노멀(New Normal) 시대 초등학교 교장의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in the New Normal era)

  • 양지혜;박정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85-194
    • /
    • 2021
  •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한 학교 교육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파악하고, 국가적 위기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학교장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부산·대구·대전·제주지역 초등학교 교장 34명을 대상으로 COVID-19에 대처하기 위해 학교장에게 어떤 리더십이 필요한지를 1차 SNS를 통해 개방형 문항으로 설문을 하고, 2차는 전화를 통해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뉴노멀 시대에 교장의 리더십은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신속한 예산 확보 및 투입, 교원 간 소통 촉진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교육활동 지원, 수업 지원, 문제 예방 등에 대한 통찰력 있고, 책임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COVID-19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학교가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학교장 역할을 정립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학생의 배움이 일어나는 교육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 교육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