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amine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2초

2011-2019년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의 제외국 부적합 정보 분석 (Analysis of Non-compliance of Food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in Foreign Countries During 2011-2019)

  • 조승용;이예연;조상구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1-147
    • /
    • 2021
  • The foreign trends of noncompliance occurring frequently in food contact materials during the period of 2011-2019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food safety risk information DB in the National Food Safety Information Service (NFSI). A total of 2,042 cases of noncompliance of food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were classified into 5 violation categories; administrative procedures,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standards, residues and migration standards, labeling and advertising, and quality standards. This was again subcategorized according to non-compliance causative factors. The non-compliances in residues and migration standards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76.4%) of the violative categories. The number of noncompliance information collected in 2011 was 88 cases and increased to 373 cases in 2019. A 72.8% of the non-compliance case was identified to be products of 4 countries (China 64.2%, Germany 4.0%, Japan 3.2%, and Taiwan 3.1%), those produce large quantities of containers and packaging products. During the period of 2011-2019, the number of illegal use of hazardous materials and illegal recycling of waste synthetic resins has decreased to less than one a year since 2014. On the other hand, after 2016, inconsistency of heat-resisting temperature labeling (Taiwan), non-compliance in paper container's strength standards, violation of printing standards, and the risk of consumer injury while using the products were newly reported due to the strengthening of consumer safety protection regulations. Migr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in synthetic polymer products such as heavy metals, melamine and formaldehyde in melamine tableware, primary aromatic amines which are colorant components in kitchenware such as ladles and spatulas, and phthalate plasticizers have been continuously reported with high frequency.

디옥소몰리브덴 착물의 합성과 그 성질에 대한 연구 (Study on Formation and Properties of Dioxomolybdenum Complexes)

  • 오상오;구본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41-448
    • /
    • 1986
  • 몰리브덴산암모늄 수용액에서 적절한 살리실알데히드의 메탄올 혼합용액으로부터 디옥소비스(치환-살리실알데히다토) 몰리브덴늄(VI), $MoO_2(X-sal)_2(X=H,\;5-CH_3)$착물을 합성하고, 이들 각각의 화합물과 다양한 일차아민의 반응에 의하여 디옥소비스(치환-살리실알디미나토) 몰리브덴늄(VI)착물, $MoO_2(X-sal-N-R)_2,\;(R=C_6H_5,\;p-F-C_6H_4,\;m-Cl-C_6H_4,\;p-I-C_6H_4$$p-C_2H_5-C_6H_4)$을 합성하였다. 이들 착물은 모두 $900{\sim}940cm^{-1}$ 부근에서 ${\upsilon}_{Mo}=0$에 기인한 두 개의 강한 흡수띠가 관찰되었고, 핵자기공명스펙트럼에서 N=CH양성자에 대한 한 개의 시그날이 8.9ppm부근에서 나타났다. 이는 이들 착물이 $cis-MoO_2$기를 가진 6배위팔면체 착물임을 나타낸다. 질량분석의 결과로부터, $MoO_2$ : ligand의 결합비가 1:2임을 확인하였고, $MoO_2(5-CH_3-sal-N-R)_2$착물에 대한 분해과정을 조사하였다. 전자흡수스펙트럼에서 $N{\to}Mo$$O{\to}Mo$에 해당하는 전하이동전이는 $29,000cm^{-1}$$32,000cm^[-1}$부근에서 각각 일어났다. 한편,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측정한 이들 착물에 대한 몰전도도로부터 이들 착물이 비이온성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 PDF

도로포장 구조물에서의 스트리핑 현상과 스트리핑 방지제의 이용방안 (Stripping of Asphalt Pavements and Antistripping Addities)

  • 윤현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9-131
    • /
    • 1990
  • 물 또는 습기에 의하여 도로포장 구조물의 아스팔트와 자갈(aggregate)사이의 결합력이 손실되어 아스팔트가 자갈로부터 분리되는 현상 즉 스트리핑(stripping)에 의하여 많은 도로포장이 파괴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리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개발 사용되고 있는데 흔히 스트리핑 방지제(antistripping additive)를 아스팔트에 섞어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리핑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스트리핑 방지제의 조건과 사용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로포장용 자갈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관찰하여 스트리핑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스트리핑 현상은 아스팔트와 자갈 사이의 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며, 자갈 표면의 전기화학적 성질이 스트리핑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스트리핑 방지제는 IR 분석결과 대부분이 아민(amine) 계통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이었다. 이러한 스트리핑 방지제는 0.5에서 1.0%정도 아스팔트에 섞어서 사용하면 스트리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나, 장시간 (약 24 시간 이상) 뜨거운 상태에서 방치하면 그 성능이 감소되는 것을 알 ? 있었다.

  • PDF

CO2 포집용 아민 흡수제에서 탄산무수화 효소가 CO2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nic Anhydrase on CO2 Absorption in Amine Solutions for CO2 Capture)

  • 이인영;곽노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607-612
    • /
    • 2017
  • 연소후 아민 $CO_2$ 포집공정에서 탄산수화 효소의 첨가에 따른 다양한 아민 흡수제의 $CO_2$ 흡수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열을 평가하였다. 30 wt%의 MEA, AMP, DMEA, MDEA 수용액에 소의 적혈구에서 추출한 탄산무수화 효소 250 mg/L 첨가한 후 흡수속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흡수제에서 $CO_2$ 흡수속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1차아민인 MEA와 입체장애아민인 AMP보다는 3차아민인 DMEA와 MDEA에서 속도증진 효과가 컸다. 반응열량계를 이용하여 탄산무수화 효소 첨가후 흡수제(MEA, DMEA, MDEA)와 $CO_2$ 사이의 화학 반응 시 발생하는 반응열을 측정한 결과 효소 촉매의 첨가로 모든 흡수제의 반응열량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연소후 아민 흡수제를 이용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에 탈기 성능이 우수한 3차 아민 계열의 흡수제가 탄산무수화 효소 촉매 적용에 유리한 흡수제이며 이중 MDEA에서 효과가 가장 큼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