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ent health

검색결과 3,514건 처리시간 0.031초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 관련 경계압력 예측요인 (Factors Predicting the Interface Pressure Related to Pressure Injury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신지선;김수진;이지현;유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94-805
    • /
    • 2017
  • Purpose: Interface pressure is a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occurrence of pressure injur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terface pressure at common sites of pressure injury (occipital, gluteal and peritrochanteric are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risk factors, skin condition and interface pressure,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influencing interface pressure. Methods: A total of 100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were enrolled at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in Korea. Interface pressure was recorded by a scanning aid device (PalmQ). Patient data regarding age, pulmonary disease, Braden Scale score, body mass index, serum albumin, hemoglobin, mean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and oxygen saturation were included as risk factors. Data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6 were analyz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mean interface pressure of the occipital, gluteal, and right and left peritrochanteric areas were 37.96 (${\pm}14.90$), 41.15 (${\pm}16.04$), 53.44(${\pm}24.67$), and 54.33 (${\pm}22.80$) mmHg, respectively. Predictive factors for pressure injuries in the occipital area were age ${\geq}70$ years (OR 3.45, 95% confidence interval [CI]: 1.19~9.98), serum albumin deficit (OR 2.88, 95% CI: 1.00~8.26) and body temperature ${\geq}36.5^{\circ}C$ (OR 3.12, 95% CI: 1.17~8.17); age ${\geq}70$ years (OR 2.81, 95% CI: 1.10~7.15) in the right peritrochanteric area; and body temperature ${\geq}36.5^{\circ}C$ (OR 2.86, 95% CI: 1.17~6.98) in the left peritrochanteric area.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old age, hypoalbuminemia, and high body temperature may be contributory factors to increasing interface pressure; therefore, careful assessment and nursing care of these patients are needed to prevent pressure injur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cutoff values of interface pressure for patients with pressure ulcers.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Method on the Periodontal Disease)

  • 류혜겸;김한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69-476
    • /
    • 2012
  •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통한 치주질환의 예방과 발생 및 진행 정도에 긍정적인 성과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창원시 소재 MY치과의원에 내원한 40~50대 성인 남녀와 같은 지역 소재 M대학 치위생과에 예방적 치석제거에 동의한 40~50대 성인 남녀로 총 326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와 치주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ver. 19.0 (IBM Co.)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증, MANOVA, 다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자보다 남자에서 치은염 지수(p<0.001), 치주낭 깊이(p<0.001), 임상적 부착소실(p<0.01)에 대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2. 치은염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서 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법($\beta$=0.341, p<0.001)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치주낭 깊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서 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법($\beta$=0.239, p<0.002)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임상적 부착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서 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법($\beta$=0.158, p<0.042)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과의료기관 종사자의 감염예방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e for Infection Prevention of Dental Clinic Worker)

  • 김서연;이재라;한옥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7-404
    • /
    • 2014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를 분석하고자 2014년 1월 15일부터 2월 25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의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에 따른 감염예방 실천은 근무처가 대학병원 및 치과병원인 경우,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감염사고실태에 따른 감염예방 실천은 진료 전 문진을 시행하는 경우, 감염성 질환자 진료 시 별도의 개인방호 장비를 착용하는 경우, 감염성 환자 진료 후 진료복을 매회 세탁하는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 감염관리에 대한 이론 및 시술법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시행 시 참여 의향이 있는 경우에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감염관리에 대한 이론 및 시술법 교육경험과 교육 후 인식변화는 치과의원보다 치과병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염예방 실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감염관리 교육 필요여부, 감염성 환자 진료 후 진료복 세탁 여부, 근무처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감염성환자 진료 후 진료복을 세탁하는 경우가 감염예방 실천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과의원이 치과병원보다 실천이 낮았으며 설명력은 15.8%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진료 감염예방을 위해 치과의료 기관 종사자들에게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감염예방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 보행자 운수사고 입원환자의 의료적 특성연구 (Med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edestrian Inpatient in Traffic Accident)

  • 박혜선;김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45-352
    • /
    • 2019
  • 본 연구는 2012년~2016년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운수사고에 따른 노인 보행자 입원환자의 의료적 특성인 재원기간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운수사고에 따른 노인 보행자 입원환자의 의료적 특성으로 입원경로, 중증도, 손상부위, 수술유무, 치료결과, 병원소재지, 병상규모가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외래경유 입원인 경우, 치료결과가 호전보다는 호전 안됨이나 사망인 경우, 100-299병상보다는 500-999병상, 1000병상 이상인 경우 재원일수가 짧았다. 그러나, CCI는 0점보다는 1-2점, 3점 이상인 경우, 손상부위가 머리 또는 목보다는 기타부위인 경우, 수술을 한 경우, 병원소재지가 서울보다는 도 지역, 광역시인 경우 재원일수가 길었다.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보행 운수사고 예방을 위하여 입원환자의 의료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통안전 및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Improvement of Child Protected Zone)

  • 주석준;정명진;곽철;송태승;차주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139-147
    • /
    • 2020
  • 우리나라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현재 OECD 회원국 평균 수치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교통사고분석시스템 TAAS 통계에 따르면 2015년 ~ 2019년 어린이(12세이하) 교통사고 통계자료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최근 우리나라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사고건 수와 부상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우리나라 어린이 교통사고의 사고건 수와 부상자 수가 증감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의 통계와 동일하게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12세이하) 교통사고 사고건 수와 사망자 수, 부상자 수 또한 2019년도부터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어린이 보호구역 사고위험도 실태조사를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어린이 교통안전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와 달리 어린이 교통사고 중 가장 높은 사고율을 보이고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교통안전시설물 실태조사와 더불어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한 후, 이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교통 안전성 향상 및 운전자의 안전의식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weeks Pilates Mat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Lipid Metabolism in Obese Middle-aged Women)

  • 백순기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108-117
    • /
    • 2020
  • 본 연구는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신체구성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심혈관질환 및 관상동맥질환 등 각종 만성질환에 관심을 두고 있는 비만중년여성의 건강유지 및 증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비만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필라테스 매트 운동프로그램군과 통제군으로 구분하여 12주간 주당 3회 60분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으로는 신체구성과 지질대사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신체구성에서 운동군은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신체질량지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질대사에서 운동군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들의 심혈관계 및 만성질환을 예방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라고 생각된다.

나트륨 저감화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reduced of sodium content)

  • 김미연;김민아;황지홍;김선화;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1-777
    • /
    • 2017
  • 된장은 대두를 주원료로 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발효 식품임이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고나트륨을 가지는 식품군에 분류되었다.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나트륨 과다섭취에 대한 저나트륨 된장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으로, 품질에 크게 영향이 없이도 나트륨 함량이 적은 장류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함량을 12.5%-45%까지 저감하도록 실험을 설계하여 적용하여 된장 담금을 진행하였으며, 그 품질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트륨의 저감화가 된장의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pH, 염도 및 수분, 나트륨함량, 색도, 아미노산성 질소함량,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조성을 평가하여,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나트륨의 저감화는 pH와 수분, 염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조구와 같은 범위에서의 품질을 유지하였다. 나트륨함량은 실제로 비례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아미노산성 질소는 500 mg%수준이었다. 대량으로 된장업체에서 제조한 25% 저염된 된장의 대체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최종 된장의 나트륨함량을 줄이면서도 된장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Detection and genetic analysis of zoonotic hepatitis E virus, rotavirus, and sapovirus in pigs

  • Lyoo, Eu Lim;Park, Byung-Joo;Ahn, Hee-Seop;Han, Sang-Hoon;Go, Hyeon-Jeong;Kim, Dong-Hwi;Lee, Joong-Bok;Park, Seung-Yong;Song, Chang-Seon;Lee, Sang-Won;Choi, In-Soo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61-68
    • /
    • 2020
  • The zoonotic transmission of viral diseases to humans is a serious public health concern. Pigs are frequently a major reservoir for several zoonotic viral diseases. Therefore, periodic surveillance is needed to determine the infection rates of zoonotic diseases in domestic pigs. Hepatitis E virus (HEV), rotavirus, sapovirus (SaV), and norovirus (NoV) are potential zoonotic viruses. In this study, 296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weaned piglets and growing pigs in 13 swine farms, and the viral RNA was extracted. Partial viral genomes were amplifi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r nested-PCR using virus-specific primer sets under different PCR conditions. HEV-3, rotavirus A, and SaV genogoup 3 were detected from 11.5, 2.7, and 3.0% of the sample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NoV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wine HEV-3 and rotavirus A detected in this study we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human isolates. However, swine SaV was distant from the human str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V-3 and rotavirus A can be transmitted from pigs to humans. Therefore, strict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by workers in the swine industry to prevent infections with HEV-3 and rotavirus A excreted from pigs.

국내의약품의 약물상호작용 정보 분석 (Analysis of Drug Interaction Information)

  • 이영숙;이지선;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
    • /
    • 2009
  • Adverse drug reactions (ADR) caused by inappropriate prescription are responsible for major socioeconomic loss. Drug-drug interactions (DDI)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part of ADRs and, therefore,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prevent possible DDIs to minimize preventable AD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DI information in drug information references and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drug labeling information. Drug ingredients from the formulary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Korea (HIRA) were included for the study. DDI information source used for the study were Micromedex Drugdex and Drug Information Facts (DIF) with the DDI severity level of "moderate" or more. The DDI information in KFDA drug labeling were collected and compared. Drug ingredients were classified with KFDA Drug Classification and ATC Classification of WHO for the analysis. Among the total 1,355 drug ingredients satisfying inclusion criteria, 738 ingredients involved at least one DDI, which was described in Micromedex and/or DIF. Drug Ingredients of 176 involved DDI only described in KFDA drug labeling, but not Micromedex nor DIF. Drug ingredients of 35 which DDIs were described in Micromedex or DIF did not have DDI based on KFDA drug labeling. Micromedex and DIF retrieved 7,582 and 3,071 DDIs, respectively 57.6% and 58.5% of DDIs were also described in KFDA drug labeling. Central nervous system (CNS) drugs, cardiovascular system (CVS) drugs and the antiinfectives appeared to have higher frequency of DDIs among all drug classes. The highest number of DDIs with high severity level ("contraindicated" or "major") were the DDIs of CNS drugs. The antiinfectives are the second drug group having serious DDIs. The DDI pairs of the CNS drug and the antiinfective had the highest contraindication risk (13.6%). DDI information from Micromedex and DIF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 that only 465 ingredients' DDIs are common in both literature (total DDI numbers were 715 vs 488, respectively). And 1,652 DDI information are common in both references among 7,582 vs 3,071 DDIs, respectively. Only 55.2% of DDI information in the database contained in the KFDA drug labeling. Prescribers and pharmacis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rugs for CV system, CNS and infections because of higher risk of possible DDIs compared to other drug classes. KFDA drug labeling is not likely to be recommended as a good information source for DDI due to significant inconsistency of information. Drug information providers should be aware that DDI information from different sources are not consistent and therefore multiple references should be used.

  • PDF

시판 천연 과일주스와 채소주스의 항산화능과 임파구 DNA 손상 방지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revention of lymphocyte DNA damage by fruit and vegetable juices marketed in Korea)

  • 조미란;이혜진;강명희;민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1-9
    • /
    • 2017
  •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시판 100% 천연 과채류 주스 중 과일주스, 채소주스, 녹즙 및 채소혼합주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법으로는 DPPH, TEAC, ORAC 법 등 세 가지 in vitro 측정법과 comet assay를 이용한 ex vivo 분석법으로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DPPH 분석법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블루베리주스, 채소혼합주스 C, 케일 녹즙, 채소혼합주스 P, 포도주스 순으로 높았으며, TEAC 방법으로 측정한 주스 시료들의 항산화 활성은 블루베리주스, 채소혼합주스 C, 포도주스, 채소혼합주스 P, 케일 녹즙 순으로 높았다. 또한, ORAC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블루베리 주스, 케일 녹즙, 채소혼합주스 C, 포도주스, 오렌지주스 순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in vitro 측정법에 따른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블루베리 주스가 항산화능이 가장 우수했으며 이어서 포도 주스, 채소혼합주스 C, 케일 녹즙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인체의 임파구 DNA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ex vivo 분석법인 comet assay로 분석한 결과 블루베리 주스와 포도 주스의 DNA 손상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GSTM1/GSTT1 유전형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국내에서 시판하고 있는 100% 천연 주스 14종 가운데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블루베리 주스, 포도 주스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채소혼합주스로는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보라색을 띄는 주스류의 항산화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