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term Delivery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5초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erminal Matrix-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Neonates

  • Kim, Kwang-Ryeol;Jung, Sang-Won;Kim, Do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4호
    • /
    • pp.334-337
    • /
    • 201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erminal matrix-intraventricular hemorrhage (GM-IVH) and the relationship of the severity of disease and prematurity. Methods : A total of 168 premature neonates whose birth weight ${\leq}1500g$ or gestational age ${\leq}34$ weeks were examined by cranial ultrasound (CUS) for detection of GM-IVH among the babies admitted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2 in our medical cente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bab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GM-IVH and non-IVH. Clinical presentations, precipitating factors of the patients and maternal factors were analyzed. Results : In univariate analysis,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delivery method, presence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 and level of sodium and glucos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ors (p<0.05). But only two factors, gestational age and presenc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p<0.05). Delivery method [normal vaginal delivery (NVD) to Caeserean section] was borderline significant (p<0.10). Conclusion : Presence of PDA and gestational age were the import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GM-IVH.

쌍태임신에 관한 임상적 고찰;I. 주산기 사망 (Clinical Study in Twin-Pregnancy;I. Perinatal Mortality)

  • 박찬규;곽현모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23-34
    • /
    • 1981
  • In order to study twin pregnancies, a retrospective survey was carried out in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Twin deliveries during 1967-1976 numbered altogether 264, and their relative frequency was 1.30%. Clinical palpation in addition to auscultation and roentgenologic technique had been used in the twin diagnosis. The diagnosis was made prior to delivery in 93.18% of the cases. The deliveries took place in the 37.26th (S.D. 3.95) gestational weeks on an average. The mean weights of the infants were-A (first baby) 2416.03g. (S.D. 802.61), and B (second baby) 2299.81g. (S.D. 190.31). The most common manner of twin delivery was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Cesarean section was done in 14.39%, of which the most common indication was hypotonic uterine dysfunction (34.21 %). Low one minute Apgar scores occured more often in B twins than among A twins. Breech delivery gave low one minute Apgar scores more often than did spontaneous vertex delivery in both twins. Full term twins and infants weighing more than 2500g. had fewer low one minute Apgar scores than the preterm infants and those with low birth weight. Perinatal mortality (PNM) in the total series was 14.77% (A 12.50% and B17.05%). The most common cause of perinatal mortality was prematurity in 44.87%. The worst outcome was recorded for the age groups 15-19 and ${\geqq}$40, in which perinatal mortality were 50.00%, respectively. The perinatal mortality of both A and B infants was lowest in the group diagnosed early during antenatal care before delivery.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we wish to emphasize particularly the importance of the early diagnosis of twins.

  • PDF

엉치꼬리 기형종에 대한 24년 간의 치료 경험 분석 (The Outcomes of Treatment for Sacrococcygeal Teratoma: The 24-year Experiences)

  • 공충식;김성철;김대연;김인구;남궁정만;황지희;김종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9권2호
    • /
    • pp.81-89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correlation of mass size and gestational age, prognostic factors in sacrococcygeal teratoma (SCT) at a tertiary pediatric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AMC), Seoul, Korea. Fifty five patients admitted to the AMC with a SCT between May 1989 and April 2013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review. Mean follow up was 861 days. Mean maternal age at delivery was $30{\pm}2.7$ year, mean gestational age (GA) was $36.9{\pm}3.6$ wks, and preterm delivery was 21.8%. Birth body weight was $3182{\pm}644$ g and male vs. female ratio was 1:2.05. We can'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esarean section and maternal age at delivery (p =0.817). But, caesarean section was favored by gestational age (p = 0.002), larger tumor size (p =0.029) or higher tumor weight fraction rate to birth body weight (p =0.024). Type I was 13, II 21, III 17, and IV 3 according to Altman et al. classification. The tumor component was predominantly cystic(> 50%) in 73.1 %. And the majority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umors were mature teratoma (70.3%). The motality rate was 5.5%. Three patients expired because of postpartum bleeding, post-op bleeding related complication such as DIC. SCT recurred in four patients. The interval between first and second operation was $206.2{\pm}111.0$ d (range 53~325 d). In two patients, serum AFP levels were elevated at a regular checkup without any symptom, and subsequent imaging studies revealed SCT.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bleeding and bleeding related complication. So Caesarean section and active peripartum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will be needed for huge solid SCT. In the case of Yolk sac tumor or huge immature teratoma, possibility of recurrence have to be always considered, so follow up by serial AFP and MRI is important for SCT management.

Risk Factors for Preterm Birth and Low Birth Weight Among Pregnant Indian Women: A Hospital-based Prospective Study

  • Tellapragada, Chaitanya;Eshwara, Vandana Kalwaje;Bhat, Parvati;Acharya, Shashidhar;Kamath, Asha;Bhat, Shashikala;Rao, Chythra;Nayak, Sathisha;Mukhopadhyay, Chiranjay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9권3호
    • /
    • pp.165-175
    • /
    • 2016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study the maternal risk factors for preterm birth (PTB) and low birth weight (LBW) with a special emphasis on assessing the proportions of maternal genitourinary and periodontal infections among Indian women and their association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Methods: A hospital-based prospective study comprising 790 pregnant women visiting the obstetrics clinic for a routine antenatal check-up was undertaken. Once recruited, all study participants underwent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s for genitourinary infections followed by a dental check-up for the presence of periodontiti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llowed up until their delivery to record the pregnancy outcomes.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risk factors for PTB and LBW were assess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PTB and LBW were reported in terms of adjusted relative risk (ARR) with the 95% confidence interval (CI). Results: Rates of PTB and LBW in the study population were 7.6% and 11.4%, respectively. Previous preterm delivery (ARR, 5.37; 95% CI, 1.5 to 19.1), periodontitis (ARR, 2.39; 95% CI, 1.1 to 4.9), Oligohydramnios (ARR, 5.23; 95% CI, 2.4 to 11.5), presence of Nugent's intermediate vaginal flora (ARR, 2.75; 95% CI, 1.4 to 5.1),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RR, 2.91; 95% CI, 1.0 to 8.3), and maternal height <1.50 m (ARR, 2.21; 95% CI, 1.1 to 4.1) were risk factors for PTB, while periodontitis (ARR, 3.38; 95% CI, 1.6 to 6.9), gestational hypertension (ARR, 3.70; 95% CI, 1.3 to 10.8), maternal height <1.50 m (ARR, 2.66; 95% CI, 1.3 to 5.1) and genital infection during later stages of pregnancy (ARR, 2.79; 95% CI, 1.2 to 6.1)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LBW. Conclusions: Our study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consider screening for potential genitourinary and periodontal infections during routine antenatal care in developing countries.

임신오조 치료에 있어 반하 사용지침 마련을 위한 반하 투약 사례의 분만결과 분석 연구 (The Analysis of Delivery Outcomes in Cases of Hyperemesis Gravidarum Patients Medicated with Pinelliae Rhizoma - to Establish a Guideline in Administration of Pinelliae Rhizoma)

  • 안인숙;김동일;최민선;김수현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94-103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and safety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especially including Pinelliae Rhizoma, for hyperemesis gravidarum, and to suggest appropriate dosage and treatment duration of Pinelliae Rhizoma.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19 hyperemesis gravidarum patients tre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cluding Pinelliae Rhizoma. Change of symptoms, continuance of pregnancy, malformation of infants, and delivery outcomes were analysed. Results: The symptoms of hyperemesis gravidarum were improved in 13 patients. With regards to pregnancy outcome, normal fullterm delivery was 16 case, preterm delivery was 1 case and abortion was 2 case, Infants malformation was not found in any case. The average daily dosage of Pinelliae Rhizoma was 6.53 g/day, and the average treatment duration of Pinelliae Rhizoma was 11.53 (day). Conclusions: In this study, using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cluding Pinelliae Rhizoma for hyperemesis gravidarum patients is considered safe if patients are treated with proper clinical dosage and duration of medication. More cases and studies in the future will be required for the appropriate use of Pinelliae Rhizoma for hyperemesis gravidarum patients.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치료로서 Indomethacin과 Ibuprofen의 효과 (Effects of Ibuprofen and Indomethacin for Prophylaxis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Premature Infants)

  • 전복선;권경아;박경희;변신연;김묘징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28-233
    • /
    • 2011
  • 목적: Indomethacin은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용법 및 치료적 용법에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indomethacin의 국내 보급이 중단됨에 ibuprofen이 사용되고 있다. Ibuprofen은 동맥관 폐쇄에 indomethacin만큼 효과적이며 부작용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ibuprofen의 예방적 용법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서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치료에 대한 ibuprofen의 효과와 안정성을 indomethacin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 그리고 2010년 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두 기간동안 3개의 참여 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34주 미만, 1,500 g 미만의 신생아 중에서 생후 24시간 이내에 indomethacin이나 ibuprofen이 예방적 목적으로 투여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군간의 동맥관 폐쇄에 대한 효과와 주산기 합병증의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간에 환아의 성별, 재태 연령, 출생체중, 분만 방법, 1분 및 5분 Apgar 점수, 산모의 steroid 사용 여부, 폐 표면활성제 사용 여부 및 인공호흡기 사용여부 및 사용기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후 7일에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indomethacin군은 17명 중 13명, ibuprofen군은 20명 중 19명이 동맥관의 폐쇄를 보였다. 총 입원 기간 외에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Ibuprofen의 예방적 사용은 동맥관 폐쇄에 효과적이며 주산기 합병증 측면에서 유의한 부정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indomethacin을 대체하여 ibuprofen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신생아실에서 퇴원한 후기 조산아들의 재입원에 대한 고찰 (Readmission of late preterm infants after discharge from nursery)

  • 김묘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8호
    • /
    • pp.888-892
    • /
    • 2009
  • 목 적 : 신생아실에서 만삭아에 준한 경과 관찰 후 퇴원한 후기 조산아들의 재입원과 관련된 위험 요인과 재입원 원인을 알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 법 :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일신 기독 병원 신생아실에서 만삭아에 준한 경과 관찰 후 퇴원한 후기 조산아들 중 생후 28일 이내에 재입원하였던 135명의 신생아들의 의무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재입원의 위험 요인을 알고자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재입원과 관련된 위험 요인 연구에서 재태주수, 출생 체중, 성별, 분만 방법, 산모의 나이, 교육 정도, 결혼 여부, 진통과 분만 과정상의 합병증은 관련이 없었고, 모유 수유(71.9% vs 44.4%), 짧은 신생아실 경과 관찰 기간($3.3{\pm}1.6$일 vs $4.1{\pm}2.0$일), 초산모(60.0% vs 45.3%)와 임신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31.9% vs 18.8%)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입원율이 높았다. 재입원 시점은 출생 후 평균 $6.2{\pm}3.6$일로, 출생 5-6일 사이에 재입원하는 경우가 40.7%로 가장 많았다. 재입원 시 83.7%가 황달을 주소로 입원하여 가장 흔한 원인이었고, 자연 분만(43.4% vs 1.8%), 산모의 나이가 적은 경우($29.8{\pm}3.4$세 vs $32.1{\pm}4.2$세),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 동반이 적은 경우(28.3% vs 50%)가 황달로 인한 재입원과 관련 있었다. 결론 : 후기 조산아들의 재입원과 관련된 위험 요인은 모유 수유, 짧은 신생아실 경과 관찰 기간, 초산모와 임신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였고, 재입원 시점은 평균 $6.2{\pm}3.6$일, 가장 흔한 재입원 원인은 황달이었다.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 신체발달과 외부환경 적응 및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ngaroo Care on Physic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External Environment of Prematurity,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 이지원;어용숙;한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28-137
    • /
    • 2016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 외부환경 적응,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에서 제왕절개분만을 한 미숙아와 미숙아 어머니로서 캥거루식 접촉을 시행 한 실험군 19명과 캥거루식 접촉을 하지 않은 대조군 19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6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까지이며, 실험군에게 캥거루식 접촉을 하루 3회(1회 60분),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미숙아의 신체발달(체중, 신장, 머리둘레)과 외부환경 적응(체온, 심박동수, 산소포화도)을 캥거루식 접촉 전에 측정하였고, 중재를 제공한 후 다시 측정하였다.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캥거루식 접촉을 시행한 실험군과 접촉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차이에서 미숙아의 신체발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체중 t=-0.83, p=.21 신장 t=-0.34, p=.37, 머리둘레 t=1.29, p=.10), 외부환경 적응에서 산소포화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27, p=.02). 미숙아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41, p=.34). 결론적으로 캥거루식 접촉은 미숙아의 외부환경 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전에 투여한 Ambroxol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예방 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Antenatal Administration of Ambroxol on the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이은실;김경아;신손문;고민환;이태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52-59
    • /
    • 1999
  • 미숙아의 여러 가지 합병증 중에서도 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가장 빈도가 높고 사망률도 높은 질병이다. 이제까지 많은 저자들이 자궁내 성장기 동안에 폐 표면 활성제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약제로 corticosteroid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나, 산모와 태아 감염에 중요한 위협 요인이 되어 이 약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steroid의 부작용 때문에 태아의 폐를 성숙시킬 수 있는 ambroxol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에 저자들은 출생 전 산모에게 투여한 ambroxol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 빈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였던 36주 이전의 조산이 예견된 산모에게 ambroxol(Mucosolvan$^{(R)}$, Boehringer Ingelheim) 1,000mg을 5% glucose 용액에 녹여 2시간 이상 정주하며 3일에서 5일간 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생리 식염수를 정주하였다. 조기 분만의 원인이나 대상 환아 평균 재태 연령, 남녀비, 출생 체중과 1, 5분 Apgar 점수가 7점 미만인 미숙아의 수에는 양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21명 중 13명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였고 ambroxol 사용군에서는 21명 중 6명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여 두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출생 후 산소 치료와 인공 환기를 필요로 했던 경우는 대조군에서는 각각 18, 12명이었고 ambroxol 사용군에서는 각각 9, 8명이었다. 산소치료를 요구된 시간은 ambroxol 군에서 낮았으나 인공 환기가 필요하였던 시간은 ambroxol 군에서 더 길었다. 그 외 미숙아에게 나타난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는 ambroxol 사용군과 대조군을 비교해 보면 두 군이 같거나 ambroxol 군이 더 적었다. Ambroxol 투여 전과 후의 산모의 혈액학적, 생화학적 검사에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ambroxol 사용군에서 산모가 호소하는 부작용으로는 경미한 오심이 3례 있었으나 구토, 두통이나 현기증, 알레르기 반응 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 출생 전 산모에게 투여한 ambroxol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산모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로 생각된다.

  • PDF

신생아에서 제대 동맥혈 Isoprostane(8-iso-PGF2α) 농도에 관한 연구 (Umbilical Cord Arterial Concentrations of Isoprostane(8-iso-PGF2α) in Newborn Infants)

  • 이건송;지윤희;장영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865-870
    • /
    • 2003
  • 목 적 : 지질 과산화의 주요 지표 중에 하나인 isoprostane($8-iso-PGF_{2{\alpha}}$)을 제대 동맥혈에서 측정하여 신생아에 산화손상을 유발 할 수 있는 주산기 위험인자 및 신생아기 주요 질환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이 신생아에서 산화손상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하였던 미숙아 33명과 만삭아 28명을 대상으로 제대 동맥혈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70^{\circ}C$에서 냉동 보관 후 isoprostane($8-iso-PGF_{2{\alpha}}$)과 malondialdehyde(MDA)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isoprostane과 MDA 농도를 미숙아와 만삭아에서 각각 비교하였고, 주산기-신생아기 위험인자와 주요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평균 출생 체중은 미숙아 $1,771{\pm}445gm$, 만삭아 $3,200{\pm}567gm$이었고, 평균 재태 연령은 미숙아 $31.5{\pm}2.0$주, 만삭아 $39.0{\pm}2.0$주였다. 제대 동맥혈 isoprostane 농도는 미숙아 $704.7{\pm}635.6pg/mL$, 만삭아 $423.9{\pm}306.5pg/mL$로 미숙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5), MDA도 미숙아 $44.0{\pm}22.9{\mu}M/L$, 만삭아 $28.2{\pm}10.7{\mu}M/L$로 미숙아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5). 미숙아의 경우 isoprostane은 출생 후 24시간에 $478.6{\pm}580.6pg/m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미숙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둔위 분만, 양수 과소증, 신생아 가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P<0.05), 만삭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임신성 고혈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그러나 미숙아 제대 동맥혈 isoprostane은 신생아기의 주요 합병증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미숙아에서 제대 동맥혈 isoprostane 농도는 만삭아에 비하여 높고, 일부 주산기-신생아기 위험인자와 연관이 있어서, 주산기-신생아기에 산화손상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에 하나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