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umptive consen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Normative Issues in Next Generation Sequencing Gene Testing

  • Na-Kyoung Kim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7권1호
    • /
    • pp.47-56
    • /
    • 2023
  • Despite the commercialization of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gene testing, only a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various ethical and legal problems associated with NGS testing in Korea Here, we reviewed the normative issues that emerged at each stage of the wet analysis and bioinformatics analysis of NGS gene testing. In particular, it was in mind to apply various international guidelines and the principles of bioethics to actual clinical practi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GS testing, wet analysis of additional testing can be justified if presumptive consent is recognized. Furthermore, the medical relationship between diseases needs to be established and it should be clear that the patient would have given consent if the patient had been aware of the correlation between genes. At the stage of bioinformatics analysis, the question of unsolicited findings arises. In case of unsolicited and relevant findings, according to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CMG), a recognized relationship between genes and diseases needs to be established. In case of unsolicited and not-relevant findings, it is almost im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knowing or not knowing the findings is more beneficial to the patient. However, it seems to be certain that the psychological harm an individual may suffer from such information is likely to be greater if the disease is severe and if there is no cure. The list of genes for which the ACMG guidelines impose reporting obligations is a good reference for judgment.

연명의료 중단과 진료비채무에 관하여 - 대법원 2016.1.28. 선고 2015다9769 판결 -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Medical Expenses Obligation - The Supreme Court of Korea 2016.1.28. 2015Da9769 -)

  • 이재경
    • 의료법학
    • /
    • 제18권2호
    • /
    • pp.139-161
    • /
    • 2017
  • 이 글은 대법원 2016.1.28. 선고 2015다9769 판결의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 사건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이전의 판례에서 대법원은 객관적 요건으로 회생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와 주관적 요건으로 환자의 동의가 충족되면 의료계약이 해지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환자의 동의는 의료계약 해지에 관한 동의가 아니다. 환자의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는 법률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사실행위이다. 만약 연명 의료의 중단에 관한 환자의 추정적 의사가 의료계약의 해지의 의사라면, 의료계약은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 제기시에 종료하여야 한다. 그런데 대상판결은 의료계약이 일부 해지되었다고 하면서도 진료비채무는 연명의료 허용에 관한 판결이 확정된 때부터 면제된다고 하였다. 이는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연명의료의 중단이 허용되면 의료급부 제공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부분 진료채무가 면제된다. 급부의 불능은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확정판결이 있는 때에 확정된다. 따라서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확정판결이 있은 때부터 연명의료에 대한 진료비채무가 면제된다고 한 대상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 다만 그 근거는 의료계약의 일부해지가 아니라 일부불능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