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sure Test

검색결과 7,926건 처리시간 0.052초

공동주택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성능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Hybrid Ventil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 전주영;김길태;김상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1호
    • /
    • pp.89-96
    • /
    • 2012
  •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서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CFD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전용 $51m^2$, $84m^2$의 공동주택을 선정하였으며,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은 창틀자연급기와 각실을 덕트로 연결하여 배기하는 시스템(Hybrid 1)과 창틀자연급기와 욕실 거실배기가 혼합된 시스템(Hybrid 2)을 적용하였다. 이때 각 시스템별 배기구의 위치를 변수로 하여 CFD를 수행하였다. $51m^2$, $84m^2$ 모두 Hybrid 2가 Hybrid 1보다 환기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공기연령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ybrid 1의 경우, 덕트 배기구의 위치가 각 실 입구에 설치하는 것보다 실 안쪽 모서리에 설치하여 기류이동을 많이 유발할 수 있는 유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Hybrid 2의 경우, 욕실 고정압팬에 덕트를 연결하여 거실중심에 배기구를 설치하는 시스템이 환기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1m^2$의 경우 Hybrid 2가 Hybrid 1보다 20%의 향상된 환기효율을 나타낸 반면, $84m^2$의 경우는 14%의 향상된 환기효율을 나타내 공동주택 규모에 따른 적정한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Phyllite를 이용한 수도용(水稻用) 육묘(育苗) 상토개발(床土開發) (Development of Nurserγ Soil for Rice Seedling)

  • 박영희;장기운;홍재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71-81
    • /
    • 2002
  • 본 연구는 phyllite의 수도 육묘용 상토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phyllite의 물리화학적인 조사를 통하여 phyllite의 농업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 결과, Phyllite 용적비중은 각각 $1.31g/cm^3$이며, 결정 입자들 사이에는 전체의 65% 공극을 가지며, 이러한 성질에 의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수분보유력은 43%(1/3bar)이다. 수도 육묘 상토 개발을 위해 phyllite에 zeolite와 hill soil 각각을 100%, 70%, 50%와 30%로 혼합하고, 질소 시비량(0, 1, 2g/box)을 달리한 육묘 시험에서 벼의 육묘 초기에 phyllite를 zeolite와 혼합할 경우 phyllite 함량이 증가할수록 초장 및 묘 충실도의 증가에 영향을 주며 뿌리의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hill soil과 혼합할 경우, phyllite 함량이 증가할수록 발근율을 증가시키며 초장의 생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단, 벼의 생육에 있어서 육묘 일수가 길어질수록 질소질 비료의 시비는 벼의 생육을 촉진시켰다. 따라서 phyllite는 현재 육묘 상토자재들과 비교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앞으로도 좀 더 다양한 농업적 자재로서의 활용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프로스타글란딘 $E_1$ 요도좌제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GE_1$ Transurethral Suppositories)

  • 김종오;권기철;이종달;최한곤;용철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3호
    • /
    • pp.173-17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develop a transurethral suppository containing prostaglandin $E_1\;(PGE_1)$, which stabilizes the drug, gives no irritation to physiological body and enhances the erectile response of $PGE_1.\;PGE_1$ transurethral suppositories were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compositions such as saturated polyglycolysed glyceride $(Suppocire^{\circledR}\;AP,\;SAP)$,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 (HCO-50) and ethanol. The melting points, viscosities and $PGE_1$ release of the suppositories were investigated. Ocular irritation test was carried out after application of $PGE_1$ suppository to rabbit's eye. The intracavernous pressure (ICP), penile length and duration of erectile response were determined after transurethral administration of $PGE_1$ suppository and compared with those after intracavernosal injection of $PGE_1$ solution to cats. HCO-50 hardly affected the melting points and viscosities of $PGE_1$ suppositories. Additionally, $PGE_1$ transurethral suppositories, whose melting point ranges was $34-35^{\circ}C$, was speedily melted in physiological body. HCO-50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ssolution rates of $PGE_1$ from the suppositories. Dissolution mechanism analysis showed the release of $PGE_1$ was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ime, indicating that $PGE_1$ might be released from the suppositories by Fickian diffusion. The release rate of $PGE_1$ from $PGE_1$ suppository [PGE1/SAP/HCO-50/ethanol (1/94.5/2.5/2%)] was about 80% within 2 h. This $PGE_1$ suppository gave no significant irritation to the ocular tissue, expecting that it gave no irritation to the urethral tissue less sensive than ocular tissue. Furthermore, $PGE_1$ in this suppository was stable at $4^{\circ}C$ for 2 years. This suppository increased the ICP and penile erection similar to those of injectable $PGE_1$ solution. However, it gave 2.5-fold increased duration of erectile response than injectable $PGE_1$ solut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it gave more effective erectile response than injectable $PGE_1$ solution in cats. It is concluded that this $PGE_1$ suppository with good safety, excellent stability and enhanced erectile response, could be a more effective and convenient transurethal delivery system of $PGE_1$.

  • PDF

융복합 시대의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이 대사효율성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2 Hours Fasting Resistance Exercise on Metabolic Efficiency and Fatigue in Convergence Ages)

  • 백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471-478
    • /
    • 2016
  • 본 연구는 8주간 12시간의 공복을 유지한 후 저항운동을 통해 대사효율성과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사전 동질성 검정을 통해 운동군(EX)과 대조군(CON) 두 집단으로 구분 선정하였다. 운동군(EX)은 8주간 주 4회 12시간 공복 유지 후 60분간의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CON)은 운동군(EX)의 비교군으로 일반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운동군(EX)에 적용된 저항운동은 상체와 하체를 중심으로 하는 프리웨이트와 고정식 기구를 사용하여 대근육 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운동강도는 1RM을 기준으로 4주까지는 70%, 5-8주는 80%로 설정하여 처치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8주간의 공복저항운동 전과 후의 안정 시에 혈액채취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통계와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한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대사효율성 변인인 혈압(SBP, DBP), 지방, 공복혈당, 공복인슐린에서 처치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1). 둘째,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피로물질 변인인 젖산, 요산에서 처치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1).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8주간의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대사효율성 및 피로물질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만 환자에 대한 조위승청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 on Effects and Adverse Effects of Choweseuncheng-tang on Obesity Patients)

  • 서동민;이상훈;이재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45-153
    • /
    • 2005
  • 비만이 질병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으며, 한방 치료에 대한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의정부 한방병원에 비만 치료를 위해 내원한 20명을 대상으로 조위승청탕 가미방 치료 후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만 환자 20명에 대한 전기침 치료 및 약물 요법 치료 후 체중감소 결과는 치료 1주 후 평균 $1.33{\pm}0.85kg$, 2주 후에 평균 $2.45{\pm}1.64kg$, 3주 후에 평균 $3.25{\pm}2.09kg$, 4주 후에 평균 $4.15{\pm}2.38kg$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BMI는 치료 4주 후 $1.62{\pm}1.05$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 BMI 기준으로 4주 치료 후 위험체중에서 평균 $3.15{\pm}1.74kg$ 감소하였고, 비만 Class I에서 평균 $3.57{\pm}1.62kg$ 감소하였으며, 비만 Class II에서 평균 $6.98{\pm}2.88kg$ 감소하였다. 3. 태음인에서 $4.47{\pm}2.51kg$가 감소되었으며, 소음인에서 $3.20{\pm}0kg$ 감소되었으며, 소양인에서 $2.50{\pm}1.93kg$ 감소되었다. 4. 복약이후 식욕의 감소에 따른 체중감소량은 식욕의 저하군에서 평균 $4.94{\pm}2.64kg$ 감소하였고, 보통에서는 $3.35{\pm}1.25kg$ 식욕 증가 군에서는 $2.25{\pm}2.62kg$ 감소하였다. 5. 치료 후 체지방율은 평균 $3.16{\pm}1.25%$ 감소되었다. 6. 치료 전 후에 혈압과 맥박 모두 증가나 감소는 없었으며, 정상적으로 나타났으며, 치료 전 측정한 수치와 치료 4주 후에 재측정한 BUN, Cr, GOT, GPT는 모두 참고치 이하에서 변화를 보여 정상 소견으로 나타났으며, 각종 호소 증상으로 자율신경계 항진 증상은 11명이 호소하였으며, 불면이 1례, 발한이 9례, 심계 항진이 1례였다. 위장관 증상은 7명이 호소하였으며, 오심이 3례, 복통이 4례였으며 기타 증상으로 3명이 호소하였으며 두통이 2례 현훈이 1례였다.

  • PDF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이 High-fat Diet로 유발(誘發)된 대사증후군(代謝症候群)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Study on the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cus Herbal Acupuncture on Metabolic Syndrome in High-fat Diet Fed Mice)

  • 유태섭;고형균;강성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77-92
    • /
    • 2005
  •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이 대사증후군(代謝症候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CR mouse에 고지방식이로 비만과 대사증후군(代謝症候群)을 유도하면서 신유(腎兪)(BL23)에 상응하는 부위에 일정한 방법으로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후 체중, 식이효율, 혈중 glucose, insulin level, insulin resistance, 경구내당능, 혈압, 혈중지질의 변화, 지방조직의 중량과 면적, 조직학적 변화와 GLUT-4 mRNA 및 UCP-1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1.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은 체중의 증가와 식이효율의 상승을 억제하였다. 2.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은 혈중 glucose, insulin level 및 insulin resistance의 상승을 억제하고, 경 구내당능을 개선시켰다. 3.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은 혈압의 상승을 억제하였다. 4.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은 혈중지질의 이상을 개선시켰다. 5.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은 WAT, BAT 및 liver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였고, WAT와 BAT의 면적과 직경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6.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은 GLUT-4 mRNA 및 UCP-1 mRNA 발현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 PDF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도수 중 알데하이드류의 정량 (Determination of Aldehydes in Tap Water by Reverse Phase Liquid Chromatography)

  • 최용욱;최윤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38-446
    • /
    • 1999
  • 오존처리의 소독 부산물인 알데하이드류를 HPLC로 분석하는 최적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알데하이드류는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아크롤레인,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부틸알데하이드, 벤즈알데하이드 6종과 케톤류인 아세톤 1종 모두 7종을 대상 시료로 선정하였다. HPLC에 의한 알데하이드-DNPH 유도체를 최적화 하기 위해 시트르산 완충용액의 pH, 반응 온도, 반응 시간, DNPH 농도, 추출 용매의 종류 및 조성의 최적 조건을 구하였다. 그 결과 시트르산 완충 용액의 pH는 3.0, 반응 온도는 40$^{\circ}C$, 반응시간은 15분, DNPH의 농도는 0.012%에서 최적 반응 조건임을 알 수 있었으며, 반응이 완결된 알데하이드-DNPH 유도체를 $C_18$Sep-Pak 카트리지에 농축시켜 과량의 DNPH를 용리시킨 다음 탈착용매로서 THF/ACN=70/30의 혼합용매 2mL로 탈착하였을 때 87∼107% 범위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HPLC 분리 조건으로서 Nova-Pak $C_18$ 컬럼상에서 이동상의 초기 조건은 ACN/MeOH/Water=30/10/60 에서 최종 조건은 80% ACN으로 하는 기울기 용리를 수행하였을 때 7종의 알데하이드류가 20분 이내에 용리되면서 모두 거의 기준선 분리가 되었다. 본 실험에서 확립한 알데하이드-DNPH 유도체의 최적 분석 조건과 EPA Method 554와 회수율을 비교한 결과, 본 실험에서는 86∼103%, EPA Method 554로부터는 84∼103%으로 거의 일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스테인리스강의 국부부식 저항성 연구에 미세방울셀의 응용 (Applications of Micro-Droplet Cell to Study of Localized Corrosion Resistance of Stainless Steels)

  • 김성유;김희산
    • 전기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0-76
    • /
    • 2006
  • 마이크로 전기화학 실험법인 비접촉식 미세방울셀이 산 용액에 노출된 저 크롬이 함유된 스테인리스강(STS 316)과 같이 젖음성이 높은 전기화학계에 사용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음압의 인가, 방울의 크기 제어 그리고 소수성의 개스킷의 사용은 높은 젖음성을 지닌 표면에서 비접촉식 미세방울셀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개선된 미세방울셀의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3종류의 다른 계-산성염화용액과 고 크롬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 산성염화용액과 STS 316 그리고 중성염화용액과 STS 316-에 대하여 개선된 미세방울셀로 국부부식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산성용액에서 고 크롬강의 양극 분극 결과는 $\alpha/\sigma$ 계면 근처에서 국부부식이 크롬 고갈층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었다. 둘째 산성용액에서 STS316의 양극 분극실험이 개선된 미세방울셀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미세방울셀에서 얻어진 국부 양극 분극곡선을 통해 STS316의 내식성에 미치는 $\delta$-라이트 영향을 밝힐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성염화 용액에서 STS316의 양극 분극곡선은 핏팅 저항성이 $\delta$-페라이트보다 개재물에 의존됨을 보여주었다.

Evaluation of marginal fidelity of copy-milled and CAD/CAM all ceramic crowns

  • Jeong Seung-Mi;Kang Dong-Wan;Wolf Christoph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3-249
    • /
    • 2001
  • Statement of the problem. The interest in all-ceramic restorations has increased as more techniques have become available. With the introduction of machinable dental ceramics and CAD/CAM systems or Copy-milling systems there is a need for evaluating the quality levels of these new fabrication techniques.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itting accuracy of machined all-ceramic crowns made out of an industrially prefabricated feldspathic porcelain. Material and Methods. Three master models with different cutting depth (0.8mm/1.0mm/1.2mm)were produced using a palladium-silver alloy. A total of 36 working dies, 12 of each form, was used for the modellation of prototype resin copings and 36 additional crowns, 12 of each cutting depth, were produced by using the $CEREC^{(R)}2$ system for all crowns. The maginal fit of all 72 crowns was then evaluated on their respective master die at 54 circularly staggered points of measurement per crown under a fixation pressure of 30 N by using a computerized video image system. Results. The medians of the copy-milled $CELAY^{(R)}$ crowns ranged from 29 to $36{\mu}m$. The highest value for the marginal gap was found in group B (cutting depth 1.0mm) at $107{\mu}m$. The median for the $CEREC^{(R)}2$ crowns was found between 43.5 and $70{\mu}m$. The maximum values for all three groups ranged from $181{\mu}m$ to $286{\mu}m$. With $286{\mu}m$ the highest value for marginal gap was found in group C. the Kruskal-Wallis test and multiple comparisons analysis procedure revealed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production technique on the marginal fit in all three groups (p<0,02). Conclusion. 1. The $CELAY^{(R)}$ system is capable to produce all-ceramic crowns with a significantly better marginal fit than the $CEREC^{(R)}2$ system. 2. As far as premolar crowns produced with the $CEREC^{(R)}2$ system are concerned, the cutting depth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fitting accuracy. 3. The production of crowns with an acceptable marginal fit is possible with both systems. However, adhesive luting is recommended for milled feldspathic porcelain crowns.

  • PDF

해안매립지 대심도 굴착지역의 불포화 함수특성에 따른 침투류 거동 (Seepage Behavior with Unsaturated Soil-Water Characteristic in Reclaimed Deep Excavation Area)

  • 신방웅;이흥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47-58
    • /
    • 2005
  • 지하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여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해안지역의 대심도 굴착을 통한 지하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와 시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해안지역 및 매립지반의 침투류 거동은 조위영향에 의한 부정류 흐름이 발생되므로 부정류 흐름해석의 지배인자인 불포화토의 함수특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함수특성에 따른 대심도 굴착지역의 침투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해안 준설매립지역 토사에 대한 함수특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불포화 함수특성에 따라 침투류 해석을 수행하여 실제 계측된 침투유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해안 매립지 토사에 대한 함수특성시험 결과 및 함수특성 계수에 대한 분석결과, Fredlund and Xing의 경험방정식이 해안 매립지반 토사에 대하여 높은 정확도로 실험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함수특성을 고려한 침투해석 결과, 부정류해석 결과가 정류해석 결과에 비하여 양수시험 결과 및 실제 계측된 용수량과 근접한 침투유량이 도출되어 해안 준설매립지반과 같이 불포화토 특성이 지배적인 지반에 대해서는 함수특성을 고려한 부정류 침투해석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