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parative Chromatography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4초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from Purple Sweet Potatoes

  • Lee, Lan-Sook;Chang, Eun-Ju;Rhim, Jong-Whan;Ko, Byoung-Seob;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2호
    • /
    • pp.83-88
    • /
    • 1997
  • Anthocyanin pigments of purple sweet potato roots (Ipomoea batatas L.) were extracted with 0.5% TFA (Trifluoroacetic acid) in 95% EtOh, and further isolated an purified by Amberlite XAD-7 and ODS column chromatography, and final preparative HPLC. Among nine anthocyanins isolated, the structure of three major anthocyanins were identified as 3-O-(6-O-trans-caffeyl)-2-O-(6-O-trans-caffeylglucopyranosyl)-$\beta$-D-glucopyranosyl-5-O-($\beta$-D-glucopyranosyl)-peonidin, 3-O-(6-O-trans-caffeyl)-2-O-(6-O-trans-feruloyl-glucopyranosyl)-$\beta$-D-glucopyranosyl-5-O-($\beta$-D-glucopyranosyl)-peonidin, and 3-O-(6-O-trans-caffeyl)-2-O-(6-O-p-hydroxylbenzoylglucopyranosyl)-$\beta$-D-glucopyranosyl)-peonidin, by using UV-visible absorption spectra, $^1$H-NMR and FAB-MS analysis.

  • PDF

Inhibitory Effect of Kaurane Type Diterpenoids from Acanthopanax koreanum on TNF-$\alpha$ Secretion from Trypsin-Stimulated HMC-1 Cells

  • Cai, Xing-Fu;Shen, Guanghai;Dat, Nguyen-Tien;Kang, Ok-Hwa;Lee, Young-Mi;Lee, Jung-Joon;Kim, Young-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9호
    • /
    • pp.731-734
    • /
    • 2003
  • Five known kaurane type diterpenoids, 16$\alpha$H, 17-isovaleryloxy-ent-kauran-19-oic acid (1), 16$\alpha$-hydroxy-17-isovaleryloxy-ent-kauran-19-oic acid (2), paniculoside-IV (3), 16$\alpha$-hydroxy-ent-kauran-19-oic acid (4), and ent-kaur-16-en-19-oic acid (5) were isolated from the root of Acanthopanax koreanum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and reversed phase preparative HPLC.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from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16$\alpha$H, 17-isovaleryloxy-ent-kauran-19-oic acid (1) show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IC_50$ value, 16.2 $\mu$ M) on TNF-$\alpha$ secretion from HMC-1, a trypsin-stimulated human leukemic mast cell line.

Biological Potential of Novel Specific Casein-Derived Peptides

  • Kim, Da Young;Yoo, Jung Sik;Cho, Yoon Ah;Yoon, Ho Sik;Kim, Cheol-Hyun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36-50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biological potential of functional food, i.e., specific peptides obtained from the hydrolysis of milk protein, by assessing thei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For the preparation of casein hydrolysates, commercial enzymes were added to 10% casein solution in a 1:200 (w/v) ratio, and samples were collected each hour. Based on the assessment of the degree of hydrolysis (DH) of casein hydrolysates, it was observed that the concentration of all enzymatic hydrolysates increased rapidly from 30 to 40 minutes. However, no change was observed in their concentrations after 150 minutes. Protamex® and Neutrase® exhibited the highest DH when compared to other enzymes. Furthermore, SDS-PAGE was performed for analyzing the proteolytic pattern of each enzyme, except for Flavourzyme®, and peptides in the size range of 20-25 kDa were identified. Subsequently, peptides produced by two enzymes were isolated using a preparative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Overall, NF3, NF4, PF5, and PF6 showed higher antioxidant potential than other peptide fractions. Moreover, NF7 and PF3 exhibit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biological potential of novel casein-derived peptides that may find application in the food and healthcare industry.

우슬의 뿌리로부터 Phytoecdysones의 분리와 항 아토피 효과 (Phytoecdysones from the Roo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their Anti-atopy Activity)

  • 김기옥;구창섭;김민진;박윤정;류형원;송혁환;김정희;오세량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13-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슬 열수 추출물을 n-BuOH과 $H_2O$로 용매 분획 한 후 n-BuOH 분획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6개의 소분획물(Fr. 1-6)을 얻었다. 소분획물 6개에 대해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저해활성 검정을 통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분획물 5에서 preparativ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해 3종의 phytoecdysone계열 화합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들은 NMR 및 MS 분석을 통해 ecdysterone (1), 25S-inokosteron (2), 25R-inokosteron (3)임을 동정 하였고, 이들의 활성은 TNF-${\alpha}$ 생산 저해활성은 $200{\mu}g/mL$에서 80-95%의 TNF-${\alpha}$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질형성 세포에 분리한 3종의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 각각 51와 23% 이상의 TARC의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들의 결과로써, 우슬 추출물과 분리된 화합물들에 대한 항 아토피 활성 결과로 천연물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으로의 응용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수용성 다당류의 구조분석 (Structure Analysi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Unripe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 김석주;이경태;유원재;이성숙;김용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40-746
    • /
    • 2014
  • 꾸지뽕나무 미숙과를 50% 발효주정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추출용액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로 순차적으로 분액하여 수용성 조추출물을 얻었다. 수용성 조추출물을 분취용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실시하여 다당류(F1)를 분리하였다. F1을 가수분해하여 단당 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glucose, galactose, arabinose, xylose 등 4가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조성비는 6.1 : 1.8 : 3.1 : 1.0이었다. F1에 acetyl 기의 치환여부와 uronic acid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FT-IR로 측정하고 염산 가수분해 한 다음 HPLC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모두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 위치 확인을 위해 permethylation, 산 가수분해, 환원, silylation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얻은 partially methylated alditol silylate (PMAS)들을 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1,5-di-O-trimethylsilyl-2,3,4-tri-O-methyl xylose, 1,5-di-O-trimethylsily-2,3,4-tri-O-methyl arabinose, 1,4,5-tri-O-trimethylsily-2,3-di-O-methy arabinose, 1,3,5-tri-O-trimethylsily-2,4,6-tri-O-methyl glucose, 1,4,5-tri-O-trimethylsily-2,3,6-tri-O-methyl galactose, 1,4,5-tri-O-trimethylsily-2,3,6-tri-O-methyl glucose, 1,3,5,6-tetra-O-trimethylsily-2,4-di-O-methyl galactose, 1,3,5,6-tetra-O-trimethylsily-2,4-di-O-methyl glucose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조성비는 1.1 : 1.0 : 4.9 : 7.5 : 3.0 : 3.1 : 1.4 : 1.5였다.

Chlorobium limicola f. thiosulfatophilum NCIB 8327로부터 Glutamine Synthetase의 분리 및 특성분석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Glutamine Synthetase lsolated from Chlorobium limicola f. thiosulfatophilum NCIB 8327)

  • 나종욱;김지윤;윤환;강사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64-569
    • /
    • 1992
  • 녹황색 세균인 Chlorobium limicola f. thiosulfatophilum NCIB 8327을 glutamate 가 질소원으로 포함된 변형 Pfennig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균체를 얻고, glutamine synthetase 효소를 초원심분리, DEAE-Sepharose CL-6B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Sephacryl S-300 젤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과정을 통해 2% 수율에 46.3배의 정제배수로효소를 분리정제하였다. UV-VIS 흡수스펙트럼과 polycrylamide 젤 정기영동을 통해분리된 효소의 순수도는 확인하였다. Sephacryl S-3000 젤을 이용하여 얻은 효소의 분자량은 280 kDa 정도였으며, SDS-polyacrylamide 젤 전기영동 결과, 30 kDa 정도의 분자랴ㄹ을 갖는 단위체의 심합체로 추정된다. 이효소의 최적 온도와 pH 는 각각 $30^{\circ}C$ 와 pH 7.0 이었으나, 두기질 L-glutamine 과 hydroxylamine-HCI 에 대한 km 값은 각각 27.9 mM 과 0.92 mM 이었다. 이 효소의 활성은 alamine, glycine, tryptophan 등의 아미노산에 의해 상당한 저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paragin, lysine, leucine, valine 등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한국산 유색미에서 분리한 안토시아닌의 화학구조 (Chemical Structure of the Major Color Component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 조만호;백영숙;윤혜현;한태룡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304-308
    • /
    • 1996
  • 한국산 유색미(Oryza sativa var. Suwon 415)의 주요색소를 Amberlite XAD-7 및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색소를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UV/Vis 및 NMR 분광분석한 결과 안토시아닌으로 밝혀졌다. 분리된 안토시아닌은 UV/Vis 스펙트럼에서 529nm와 281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였고 $A_{440}/A_{529}$는 23%였다. 따라서 이 안토시아닌에는 3-glycoside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산 가수분해로부터 얻은 aglycone은 $AlCl_3$ 존재하에서 18nm의 bathochromic shift를 보였다. 이 결과는 분리된 안토시아닌에 cyanidin, delphinidin, petunidin 또는 luteolinidin과 같이 둘 이상의 hydroxyl group이 근접하여 존재함을 의미한다.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안토시아닌의 산 가수분해로부터 해리된 당은 포도당으로 확인되었다. NMR 분광분석결과 aglycone은 cyanidin이며 포도당은 ${\beta}-D-configuration$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분리된 안토시아닌의 화학구조는 cyanidin $3-O-{\beta}-D-glucopyranoside$로 결정되었다.

  • PDF

이온교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난백에서 Lysozyme의 연속추출 (Continuous Separation of Lysozyme from Egg White by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 박성준;김현석;김현위;안태회;박기문;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1-715
    • /
    • 1990
  • 식품 및 의약품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Iysozyme을 난백으로부터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연속추출하였다. 사용된 수지는 지금까지 수율, 순도, 작동용이성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혀져 있는 Duolite C-464 양이온교환수지를 선택하여 $Na^+$형으로 $pH\;7.9{\pm}0.1$로 평형화하여 사용하였다. 조제용 자동 Liquid Chromatography(LC) system(column size ; i.d. 50 mm, bed volumn ; 1020 ml)에서 수지 평형화, 난백접촉, rinse, lysozyme용출 순으로 cycle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시행하고 그 재현성을 관찰하기 위해 각 cycle별 rinse끝점과 용출끝점의 UV level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rinse끝점은 19 cycle까지 30% 이하를 유지하였다. 용출 끝점은 17 cycle까지는 30% 이하에서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18 cycle 이후 부터는 50% 이상으로 용출능력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회수율 비교에서 17cycle까지는 90% 이상을 유지하다가 18cycle에서는 72%, 19 cycle에서는 65%로 격감하였다. 본 추출 정제 lysozyme은 전기영동상 단일 band로 나타났고, densitometer로 측정한 순도는 99% 이상이었다.

  • PDF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종실의 발아 성장 과정 중 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Pumpkin(Cucurbita moschata DUCH.) Seed Sprouts)

  • 이병진;장희순;이규희;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27-533
    • /
    • 2003
  • 호박씨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영양가치가 높아 식품가공 재료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으나 그 동안 과자, 스넥 제품 등의 단순가공 소재로서 이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호박씨의 소비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호박씨를 발아 성장시키면서 각 부위의 일반영양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L-ascorbic acid, $\beta$-carotene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여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으며, 발아 성장과정 중 생성되는 고미성분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 순차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 HPLC의 분리과정을 거쳐서 정제한 고미물질을 mass spectrum, $^1$H-NMR spectrum, $^{13}$C-NMR spectrum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호박씨나물의 중량은 발아 8일에 348.4% 증가하였으며 뿌리와 줄기의 길이는 8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일반영양성분은 머리부분과 줄기부분 모두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섬유소, 회분,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가 주요지방산으로 나타났고, palmitic acid는 증가하는 반면 linoleic acid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씨나물의 머리부분의 구성아미노산 glycine, alanine, arginine, cystein proline의 순으로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threonine, alanine, glutamine의 순으로 많았다. L-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은 발아 성장하면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머리부분에 생성되는 고미성분은 cucurbitacin glycoside로 판명되었으며, 호박씨에서는 고미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아 8일째 머리부분의 고미성분은 42.2mg/kg이 함유되어 있다.

식품 중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 규명 (Elucidation of new anti-impotency analogue in food)

  • 서정혁;최장덕;박건상;허수정;윤태형;김은주;한승우;김소희;이광호;권성원;김득준
    • 분석과학
    • /
    • 제22권4호
    • /
    • pp.345-353
    • /
    • 2009
  • 식품 중 불법적으로 첨가된 부정유해물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PDA를 이용하여 인삼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선전하는 식품 원료를 조사하였다. 발기부전치료제로 사용되는 실데나필의 변형체인 홍데나필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미지물질이 확인되어 분취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HPLC/MS/MS, NMR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다. HPLC/MS 분석결과 미지 물질이 480 m/z의 분자량을 갖는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LC/MS/MS 분석 결과 실데나필에서 특징적으로 검출되는 m/z인 311, 339, 353이 확인되어 발기부전치료제와의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NMR 분석 결과 미지물질은 홍데나필과 같이 sulfonyl 기가 acetyl기로 치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실데나필의 에틸피페라진기가 옥소에틸피페라진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물질임을 확인하여 그 이름을 옥소홍데나필로 명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