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liminary Teacher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Valida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 조성연;백은주;김혜금;권연희;정지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89-10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 and to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KCTJSS was 72 items and 6 point Likert scale. Participants consisted of 211 childcare teachers by purposive sampling.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40 items composed of 6 factors : The principal's childcare center operation system, working environments and welfare, social recognition, amount of work and time management,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relationships with parents.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6 factor structure. Thir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present scale with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Jorde-Bloom, 1989). Fourth, the reliability of factors using Cronbach's ${\alpha}$ appeared high, ranging from .83 to .93.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교육의 일반적 성격에 관한 인식과 관련변인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o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1ts Related Variables)

  • 이종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1-45
    • /
    • 1997
  • The theoretical rationale and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on home economics teacher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For this study, review of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may be suggested. 1. There teachers more experienced and non-majored the home economics or those who finished professional course should be reeducated adequately for new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and new curriculum. 2. The development of qualification for home economics teacher and the educational system and program for training preliminary should be try to find a solution to improve the new and positive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3.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pay an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to satisfy home economics teacher with new view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with their duties. 4. The systematic and concrete teaching programs for contents of improving new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and for promoting positive self-recognition as home economics teacher, and for training the abilities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guiding practical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 PDF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Scale in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이은지;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50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sca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 a preliminary questionnaire. A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375 early childhood teacher to test their item qua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24 items with four factors: 'support for child-centered play environment and interaction' (7 items), 'use of learning community' (4 items),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with family and local community' (6 items), and 'flexible daily management' (7 items). And the scale was verified as a stable and reliable tool. Conclusion/Implication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children's education and to actively realize the autonom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한·중 사범대학의 교육과정과 개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form between China and Korea)

  • 박성일;이재철;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39-4147
    • /
    • 2014
  • 본 연구는 한 중 사범대학들의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개혁동향을 고찰하였다. 문헌분석의 방법으로 4개 대학(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한국교원대학교, 호남사범대학교, 연변대학교)의 요람, 연구논문, 보고서들을 참고하여 세부영역별로 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 중 양국은 모두 목적지향형의 교원양성방식을 취하며, 기본적인 편성 운영 체제가 유사했지만, 중국의 경우 학점이수와 과목선택권 측면에서 폐쇄적인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모두 교육학과 교육실습에 해당하는 학점배분이 부족하여 향후 예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이의 증치가 필요했고, 학생들의 교육과정 개혁요구를 적시에 수용할 수 있는 자체적인 상설기구의 설립이 필요했다. 양국 사범대학들의 개혁은 교육과정의 문제를 양적인 문제가 아닌 질적인 문제로 바라보고, 학생들의 자주적인 발전과 평생학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양국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개정에 효과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예비특수교사의 체육교수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xiety Scale for Preservice Special Teacher)

  • 이용국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3호
    • /
    • pp.375-389
    • /
    • 2018
  • 이 연구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들의 체육교수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3단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의 체육교수불안 구성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00명의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예비문항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된 체육교수불안 구성 요인을 바탕으로 100명의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통해 문항들의 이론구조에 적합한지 검증을 통하여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t-test 차이검증을 실시하여 척도의 외적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된 내용을 중심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의 체육교수불안 척도는 수업지식(4문항), 학생이해(4문항), 수업환경(3문항), 수업관리(3)문항으로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멘토의 자격요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in Early-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of Mentor Qualifications for Mentoring)

  • 김옥주;김정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7-187
    • /
    • 2012
  • The research aimed at analyzing how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affect their awareness on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program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By fulfill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roper qualifications for a mentor of outstanding abilities, which would be desired by teachers in infan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while preliminary data on the mentor teacher training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a mentor is expected to be provid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319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was a recognized survey on how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survey consisted of 22 questions. The researcher personally designed the survey based on results generated from preliminary research. SPSS 14.0 was used to analyze selected data a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layout dispersion. In addition, a post-analysis on the one-way layout dispersion was conducted via the Scheffe posteriori tes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were differently recognized by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bot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주요 내용 탐색 (Core Curriculum Contents of Software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 based on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 신수범;한규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29-235
    • /
    • 2019
  • 초중등 소프트웨어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교과교육과정에 대해서 어떤 기준에 의해 강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내용지식 4가지를 기준으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는 교육내용과 교수법에 집중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을 기준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교육내용을 제시하여 보았다. 주요한 내용은 4개 영역을 모두 삽입하였고 교육내용과 교수법을 가장 강조하여 구성하고 소프트웨어교과교육 전문가에게 타당성 검토를 의뢰하였다.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 대부분 타당도와 합의도가 기준치를 넘었지만 학생관리 분야에 대해서 CVR값이 기준값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이해에 관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사례 분석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73-492
    • /
    • 2009
  •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였다. 이차년도인 2008년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 교과의 초임 및 경력교사 각각 3명씩을 대상으로 이들의 수업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진단 및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초임교사를 위한 수업컨설팅(안)을 '학습자 이해'에 관한 지식 측면에 초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 PDF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 on Science Education Lecture)

  • 이은진;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7-118
    • /
    • 2014
  •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이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교육 내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시전체 아동과학지도 수업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 40% 정도가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는 '보통정도'의 인식을 나타냈다. 교수방법 중에서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들 앞에서의 실제교수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론위주의 강의 중심'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제적인 경험이 가능한 교육내용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강의식 수업방식보다는 실제 유아들 앞에서 과학수업을 경험해 보는 교수방법이나 현직 유아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과학수업을 분석해보는 형식의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7-45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개발센터(KICE-TLC)에서 2005년 이래로 수행해 온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계승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들을 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차년도에 해당하는 2008년 연구에서는 수학과 PCK에 초점을 맞춘 수입건설팅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고 초임교사 수업 컨설팅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는 향후 이러한 실행 결과를 토대로 맞춤형 교사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을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개발하고자 함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