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ominant period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3초

Comparison of bacterial communities in leachate from decomposing bovine carcasses

  • Yang, Seung Hak;Ahn, Hee Kwon;Kim, Bong Soo;Chang, Sun Sik;Chung, Ki Yong;Lee, Eun Mi;Ki, Kwang Seok;Kwon, Eung G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1호
    • /
    • pp.1660-1666
    • /
    • 2017
  • Objective: Burial i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effects such as the contamination of ground or surface water with biological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decomposition process. Therefore, bacterial communities in leachates originating from the decomposing bovine carcasses were investigated. Method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bovine (Hanwoo) carcass decomposition, we simulated burial using a lab-scale reactor with a volume of $5.15m^3$. Leachate samples from 3 carcasses were collected using a peristaltic pump once a month for a period of 5 months, and bacterial communities in samples were identified by pyro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Results: We obtained a total of 110,442 reads from the triplicate samples of various sampling time points (total of 15 samples), and found that the phylum Firmicutes was dominant at most sampling times. Differences in the bacterial communities at the various time points were observed among the triplicate samples. The bacterial communities sampled at 4 months showed the most different compositions. The genera Pseudomonas and Psychrobacter in the phylum Proteobacteria were dominant in all of the samples obtained after 3 months. Bacillaceae, Clostridium, and Clostridiales were found to be predominant after 4 months in the leachate from one carcass, whereas Planococcaceae was found to be a dominant in samples obtained at the first and second months from the other two carcasses. The results showed that potentially pathogenic microbes such as Clostridium derived from bovine leachate could dominate the soil environment of a burial site.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osition of bacterial communities in leachates of a decomposing bovine shifted continuous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ith significant changes detected after 4 months of burial.

한국인 모유의 수유단계별 트랜스지방산 함량 (Trans Fatty Acids of Breast Milk Lipids of Korean Women from Week 1 to 6 Months of Postpartum)

  • 공경아;임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3-234
    • /
    • 2007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trans fatty acid (tFA) composition of human milk from postpartum to sixth months after delivery, to investigate the tFA intake of lactating women, and to estimate the intakes of tFA by infants exclusively fed breast milk. A total of 27 lactating Korean women participated to this study voluntarily, gave their breast milk, and responded to an investigation of their diets. The lactating women consumed 2.3-2.8 g/d of tFAs over the period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sixth months postpartum, which was 3.4-4.9% of the total fat intake and 0.8%-1.2% of the total energy intake. The proportions of tFAs in the breast milk were 1.89% in colostrum, 1.78% in transitional milk, and 1.78-2.25 in mature milk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sixth months postpartum. The tFAs of the breast milk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C16:1n9t, C18:1n9t, C18:2n6t12t, C18:2n6t12c, C18:2n6t12t and C18:2n6t11t. Among them, C18:1n9t was predominant, which made up 59.26% of all tFAs in cob strum, 62.36% in transitional milk, and 64.42% in mature milk. The proportion of total tFA was unchanged with time, although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for individual tFAs. The percentages of C18:2n6t12c and C18:2n6c12t decreased over the study period. Estimated tFA intake of the 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was 0.18 g/d when fed colostrum, 0.29 g/d when fed transitional milk, and 0.53 g/d when fed mature milk until the sixth month of postpartum. Those were 0.5%, 0.8%, and 1.1% of the total energy intake. The result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lactating Korean women consume not a large quantity of tFAs, secrete breast milk not containing much tFA, and the estimated intake of tFAs by infants fed exclusively breast milk is not great.

Trigger point를 이용(利用)한 구안와사 환자(患者) 10례(例)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Clinical investigation studies on 10 cases of patient with Bell' palsy using Trigger point treatment)

  • 정영돈;이준구;김영일;박태균;신영일;황재연;이현;이병렬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5-165
    • /
    • 2002
  • From July 1th 2001 to October 31th 2001, the Clinical investig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10 cases of patient with Bell' palsy using Trigger point treatment group, who had been treated in Han-seung Oriental Medical Clinic. The results were like below: 1. The distribution of sex : Male were 4cases. female were 6case and the female to male ratio was 1.5 : 1. 2. The distribution of contributing factor : Unknown reason was most predominant 4 cases, and then were revealed to labor too hard. mental stress(3 cases), trauma common cold(1 case) in turn. 3. The distribution of perid to fall ill : Under a week was the most number 6cases, and then were revealed a week under two weeks(3 cases), over two weeks(1 case) in turn. 4. About period of treatment : The Trigger Point treatment group is shorter than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5. The distribution of grade on admission in descending order : Gr I was the most number and then GrII, GrIII in turn. 6. The distribution of clinical symptoms on admission : Mastoid pain was the most number 9 cases and then lacrimal gland disorder 8 cases, dysgeusia 4cases, hyperacusis 2 cases, the others 2 cases in turn. 7. About effect of treatment : The Trigger point treatment group is more excellent than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8. The more patient age is young, the more effect of treatment was excellent, had nothing to do with both groups. 9. The more perid to fall ill is short, the more effect of treatment was excellent. had nothing to do with both groups. 10. About period of improved frontal belly : The Trigger point treatment group is more excellent than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 PDF

동해안 고무꺽정이, Dasycottus setiger (Bean)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Spinyhead Sculpin, Dasycottus setiger (Bean) in the East Sea, Korea)

  • 양재형;이성일;황선재;박종화;권혁찬;박기영;최수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9-184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는 고무꺽정이의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동해구 기선저인망 및 자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구입하여 수행하였다. 암컷의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중량지수의 월 변화로부터 고무꺽정이의 산란기는 8~12월, 주 산란기는 9~11월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최소 6,210개 (전장 22.3 cm)에서 최대 15,898개(전장 32.2 cm)로 계수되었으며, 전장 (TL)과 포란수 (F)간의 관계식은 $F=25.475TL^{1.818}$ ($R^2=0.761$)으로, 전장이 커질수록 포란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란에 참여하는 50% 군성숙 체장은 23.4 cm이었고, 전 조사기간에 대한 성비(암: 수)는 1 : 1.3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우세하였다.

복강내 확산성 물질의 부위별 흡수속도 (Regional Differences of Entry Rate of Freely Diffusible Substances from Peritoneal Cavity)

  • 조병득;신동훈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권2호
    • /
    • pp.157-168
    • /
    • 1967
  • The entry of antipyrine and urea from the peritoneal cavity of rabbit into organ tissue and blood plasma was studied. Two hundred mg of antipyrine plus 300 mg of urea in 10 ml Ringer's solution was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of anesthetized rabbit. The injection was made from above of a rabbit kept tying right side down and it enabled part of the abdominal organs (liver, intestine, kidney) was immersed in the injected solution and kept high concentration gradient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emaining part of the organs was revered only by a thin film of the test solution. Subsequently, in this part of the organs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the diffusible substances during entry was presumed to decrease as time elapsed. Four pieces of the liver tissue were taken namely, the right superficial, right deep, left superficial and left deep portions. Two were taken from the small intestine, one from the portion which was immersed in. the fluid and the other from that above the fluid mass. Both kidneys were separately analyzed. As a remote organ the gastrocnemius muscle was taken from the right leg of the animal. The intervals which were the time periods elapsed after injections were 5,7,10,15 or 30 minutes. At each point 5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test substances in the tissue water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liver the right portion which was immersed in the fluid showed higher concentration if the test substances than the left portion and the superficial region exceeded the deep region. The concentrations diminished as the time elapsed after infusion, particulary in the case of antipyrine, suggesting circulatory removal of the substances. In urea such decreasing tendency of the concentration was not obvious, and suggested slower removal rate of it as compared with that of antipyrine. 2. In the small intestine there was no regional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test substances. Because of the intestinal motility different portions of the intestine were seemed to have bathed in the fluid of the same concentration. In general the concentrations in the intestinal wall exceeded those of the liver, suggesting a slower removal rate than in the latter. 3. In the kidney the accumulation of the endogenous urea was predominant, and the accumulating mechanism in the renal tissue went on during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Therefore it revealed increasing tendencies as the time elapsed. The penetration of the test substances in this organ from the peritoneal cavity seemed to be slower than in other abdominal organs, namely liver or small intestine. Part of the test substances in the kidney were obviously brought by the blood stream. 4. Rapid exponential decay of the concentration of antipyrine and of the osmolality of the peritoneal fluid was attributed to the extensive removal through the whole dimension of the peritoneal surface, and the remote organ such as the gastrocnemius muscle attained a fairly close value to that of the abdominal organs in less than 30 minutes. The factors which related to the absorption rate were discussed. They were the concentration gradient, permeability and the regional perfusion rate.

  • PDF

연후(年候)에서 본 한국(韓國)의 기후(氣候) (The Climate of Korea in the View of the Climatic Year)

  • 강만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1997
  • 본 연구는 전국의 64개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1972{\sim}1995$년의 자료를 해마다 $K{\ddot{o}}ppen$ 구분방법에 적용시켜 기후 특성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기후는 Cfa Cwa Cwb Dfa Dwa Dwb의 연후형 으로 구성되고, Cwa Dwa형의 출현빈도가 전체의 95%를 점한다. Cwa형의 출현은 대부분의 남부 지방 동사면 제주도에서 우세하고, Dwa형은 영서 경기 복동부에서, Cfa형은 울릉도에서 탁월하게 나타난다. 이런 우세지역은 안정된 기후지역을 형성하지만 다양한 기후형이 출현하는 남부 진방의 북부와 중부 지방의 남부는 C와 D형이 상접하는 경계이므로 불안정 기후지역을 이룬다. 또한 Cwa형이 가장 우세했던 1990년대 전반기에는 C D형의 경계선이 중부 내륙 지방에 위치하였고, Dwa형이 가장 탁월했던 1980년대 전반기에는 C D형의 경계선이 남부 지방의 중위에 위치하기도 하여 해에 따라서 연후지역의 범위가 변한다. 주요 연후형의 경년변화에서 Cwa형은 증가경향을 보이지만 Dwa형은 감소추세를 나타낸다. Cwa 연후지역의 확장추세는 1970년대 전반기와 1980년대 후반기 이후 최근까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1980년대 전반기에 중부지방에서 우세했던 Dwa 연후지역은 최근까지 축소되고 있다.

  • PDF

CO2 지중저장에 따른 장기분지 내 단층안정성 기초해석 (Numerical Analysis of Fault Stability in Janggi Basin for Geological CO2 Storage)

  • 박정욱;김한나;이항복;박찬희;신영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5호
    • /
    • pp.399-41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TOUGH-FLAC 연동해석 기법을 사용하여 장기분지 유망 저장소 부지에서의 CO2 주입을 수치적으로 모델링하고, 주변 지층과 단층에 야기되는 수리-역학적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대상부지의 현장조사와 3D 지질모델을 기반으로 3년간 32,850톤의 CO2 주입을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저류층의 투수계수에 따른 CO2 플럼의 유동 경로를 분석한 결과, 투수계수를 10-14 m2로 가정한 경우 방사형 유동을 보이며 2년 9개월 경과 시 단층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수계수를 10-13 m2로 가정한 경우에는 저류층을 따라 서쪽 방향의 유동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단층 방향으로의 유동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주입공 주변의 압력 변화는 3년 동안 0.6 MPa 이하로, 지층 및 단층의 역학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의 먹이 조사 (A STUDY ON THE FOOD OF THE GOBY, SYNECHOGOBIUS HASTA)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62
    • /
    • 1969
  •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TEMMINCK et SCHLEGEL)의 식성 조사와 먹이생물 상호간의 생물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선암, 가락, 성산, 하단의 4개 지점에서 총 1,295개체의 풀망둑을 월별로 채집하였다. 위 내용물은 3가지 방법에 의해 구분하였으며, 이 방법은 수정된 Nilsson의 방법(Dahl 1962)을 다시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Table 2). 1) 위 내용물의 각 먹이종목별 수를 계산하여 한 계절동안 전체 풀망둑이 먹은 먹이생물의 총 개체수에 대해 Percentage를 낸 것을 Table 2에 "N"(Numerical)로 표시하였다. 2) 한 계절동안 채집한 풀망둑 수에 대한 각 먹이종목(Food Item)이 발생하는 풀망둑 수의 출혈빈도수를 Table 2에 "O"(Frequncy of Occurrence)로 표시하였다. 3) Predominant한 먹이종목을 선택하여 그것의 총 개체수에 대한 각 Predominant한 먹이수의 Percentage를 "D" (Dominance)로 표시하였다. 먹이생물은 50개의 먹이종목으로 되고 이것을 13가지의 Main Group로 나누고 (Fig. 2-1), 이것을 다시 먹이 생물을 제공하는 Habitat내의 Animal Community의 조건에 따라 Obligatory Bottom Animal, Organic Drift 와 Actively Swimming Form로 나누었다. 풀망둑의 식성은 Table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먹이생물의 평균 $94.6\%$가 Obligatory Bottom Animal인 것으로 보아 풀망둑은 전형적인 Bottom Feeder였다. 그리고, 이들의 먹이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살고 있는 Habitat 내의 Benthic Fauna의 Local Composition에 의해 Dominant Food Organism이 결정되고, 계절별로 먹이생물들 사이에 생물학적 상호 작용으로 인한 Seaeonal Rhythm을 나타내고 있었다. 선암 지역과 가락 지역은 동일한 먹이생물들 사이에 Habitat의 종적 구분에 의해 그 Population의 천이가 반대 현상으로 나타나는 Locality Variation을 보이며, 성산, 하단 지역은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와 하구성 생물상이 동일한 점으로, 동일한 조건의 Habitat로 생각된다. 이상의 것을 간추려 보면, 1) 풀망둑은 주로 저생동물을 먹이로 하며, 그 먹이생물은 Habitat 내의 Food Composition에 의해 결정된다. 2)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는 Population내의 생물학적인 변화의 상호 작용에 의해 Seasonal Rhythm을 나타낸다. 3) 풀망둑의 식성은 비편식성이고 먹이생물의 종류 변화가 많다. 4)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Polychaeta, Palaemon modestus, Isopoda, Gammaridea, Insecta (nymphs and larvae), Ilyoplax deschampsi, Paratye compressa로 나타난다. 5) 성산, 가락, 선암의 Community내에서 먹이생물은 종적천이 (Longitudinal Succession) 현상이 나타난다 6) 풀망둑은 수은이 상승($20^{\circ}C$이상)하는 4월경부터 하구로 이동하고, 9월부터 상류로 이동하는 Seasonal Movement를 하는 어류이다.

  • PDF

논토양중 카드뮴 유효도와 수도의 흡수이행에 미치는 석회 및 Humic acid 시용효과 (Effects of Lime and Humic Acid on the Cadmium Availability and its Uptake by Rice in Paddy Soils)

  • 김민경;김원일;정구복;박광래;윤순강;엄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8-33
    • /
    • 2004
  • 토양중 중금속이 식물에 흡수 및 이행되는 것을 경감시켜 여기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논토양의 카드뮴 유효도와 흡수이행에 미치는 석회와 humic acid 처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내실험과 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내실험에서 공시토양에 2.5와 5.0 ton/ha의 석회와 1%와 2% humic acid를 처리한 후 토양중 가용성 카드뮴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두 처리 모두 14일까지는 담수상태에서 처리효과로 인하여 가용성 카드뮴 함량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토양의 완충능에 의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때, 토양의 가용성 카드뮴 함량은 토양 pH 및 양이온치환용량과 부의 상관이 있었다. 2.5 ton/ha의 석회와 1%의 humic acid를 처리한 후 담수시켜 안정화된 다음 벼를 재배하여 조사한 결과, 석회와 humic acid 처리에 비해 분얼기와 수확기의 치환태 및 수용태 카드뮴 함량이 낮아졌으나, 분얼기에 비해 수확기에 토양중 이동이 어려운 산화물 및 탄산염태와 황화물 및 잔류태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식물에 흡수가 용이한 형태로 알려진 치환태와 수용태는 모두 토양 pH와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수확기의 줄기, 잎 및 현미 건물 중은 석회 및 humic acid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모두 높았고, 특히 석회 처리구의 건물중이 현저하게 높았다. 석회 처리구에서 줄기와 잎의 카드뮴 함량은 각각 1.01과 0.37 mg/kg으로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나, 뿌리와 현미의 카드뮴 함량은 각각 2.11과 0.09 mg/kg으로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지상부와 뿌리의 카드뮴 함량은 humic acid 처리에 의해 현저히 낮아졌으며, 특히 현미로의 카드뮴 이행도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

경피적 신생검 94례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94 Percutaneous Renal Biopsies)

  • 강호정;임상우;도준영;윤경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84-95
    • /
    • 1995
  • 저자들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서 1985년 1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시행한 경피적 신생검 110례 중, 추적관찰이 가능한 94례(원발성 91례, 속발성 3례)를 대상으로 조직형별에 따른 임상상과 치료반응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생검 전 임상진단은 신증후군이 69례, 무증상성 요이상 20례 등이었고, 연령분포는 15세에서 30세사이가 총 52명으로 전체의 55.3%를 차지하였으며 남녀비는 1.76 : 1로 남자가 많았다. 2) 병리 조직학적소견상 원발성 신증후군은 미세변화 신증후군 41례(43.6%), 메산지움증식성 사구체신염 28례(29.8%), 막성 사구체신염 12례(12.8%), Type I 메산지움모세관성 사구체신염 4례(4.3%), 소상성분절상 경화증 3례 (3.2%), 반월상 사구체신염 3례(3.2%)였으며, 속발성은 루푸스 신염 2례(2.1%), B형 간염 연관 막증식성 신염 1례(1.1%)로 전체적으로 미세변화 신증후군이 가장 많았고, 젊은 연령층에서는 미세변화 신증후군과 메산지움증식성 사구체신염이 많았으며 50세 이상의 노인층에서는 막성 사구체신염과 소상성분절상 사구체경화증이 많았다. 3)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효과는 치료를 시행한 86례 중 41례(47.7%)가 완전관해를, 18례(20.9%)가 부분관해를, 5례(5.8%)가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보였으며, 스테로이드 의존성 5례중 4례에서 cyclosporin A를 사용하여 4례 모두에서 단백뇨의 관해를 보였고, 스테로이드에 반응이 없었던 경우는 22례(25.6)였으며, 이외에 ACE inhibitor와 항혈소판제제를 사용하였으나 현재까지 단백뇨의 관해는 볼 수 없었고, 이중 메산지움증식성 사구체신염 1례와 막성 사구체신염 1례, 반월상 사구체신염 1례, 루푸스 신염 1례 등 모두 4례에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다. 4) 조직형별로 치료에 대한 효과는 미세변화 신증후군이 가장 좋았으며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보인 5례중 4례에서 cyclosporin A를 사용하여 4례 모두에서 단백뇨의 관해를 보였으며, 메산지움모세관성 사구체신염 4례는 스테로이드 사용없이 항혈소판제제와 ACE inhibitor 등을 사용중이며 단백뇨의 개선은 보이지 않고 있으나 현재까지 전 예에서 정상 신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