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n Flip Learning Application to Preparatory Childhood Teachers)

  • 표창우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9-47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에게 플립러닝을 적용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3년제 유아교육과의 1학년 1학기 2학점 교직과목을 수강한 76명의 대학생이었다. 학기는 3월 초부터 6월 중순까지 13주간의 수업으로 운영되었으며 모든 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 저널을 질적 분석하였고 장점 3가지, 단점 4가지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장점은 첫째, 적극적 수업참여, 둘째, 반복학습, 셋째, 자기주도학습이었다. 단점은 첫째, 수업시간부담, 둘째, 플립러닝 방법개선, 셋째, 자기주도 학습능력 필요, 넷째, 사전학습 환경 불안정에 대한 경험을 제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에게 플립러닝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대학의 교수자 및 학습자들에게 좀 더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 Competency of Beginning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67-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 중인 주임교사, 원감, 원장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및 개발, 직업윤리, 감성지능 등 5개 역량의 7개 하위역량이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 분석 -예비유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The analysis of teach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for high school and hig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고은현;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2-188
    • /
    • 2017
  • 이 연구는 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왔던 좋은 수업의 세부 요소 및 특성들과 더불어 좋은 수업의 가치를 지향할 수 있는 수업의 우세 가치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관점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한 TPI를 활용하여, 예비 및 현직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우세 가치 유형을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Tukey의 HSD)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수업의 우세가치는 학교유형과 관계없이 "양육" 관점으로, 대학교 수업은 "도제"관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수업에 관한 연구결과는 "양육"이 우세 관점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 수업의 경우 영미권에서는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도제 관점이 우세하여 드러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현직 유아교사가 실습경험 없는 예비교사보다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였다. 국내외 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 고찰하여 좋은 수업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교급과 전공을 세분화하여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 요구된다.

예비 보육교사교육에서 예비교사가 구성한 가르침의 의미 (The Meanings of Teaching by Pre-service Teachers in The Education for Pre-service Daycare Teachers)

  • 안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37-260
    • /
    • 2014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가르침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민하고 숙고한 것들이 무엇인지, 그리하여 그들이 구성한 가르침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드러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들이 숙고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예비 보육교사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이 가르침의 의미를 구성해 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들은 무엇인지를 찾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M대학교 2012년 1학기 '영유아교수방법' 수업과 2학기 '보육실습' 수업을 수강한 4학년 학생 2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 인터뷰, 학생의 저널과 교수의 피드백, 소그룹 토의 등을 포함한 문서자료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힘과 만만함, 집중시키는 것과 집중해 있는 것, 주기만 하기와 놓아만 두기, 그리고 차별과 평등의 극과 극 사이에서 혼돈을 겪으며 가르침의 의미를 구성해갔다. 이에 예비교사들은 가르침이란 맥락 안에서 극과 극 사이에 놓인 최적의 지점을 선택하며 끊임없이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그리고 영유아의 배움의 권리를 존중하면서 자신의 내면의 성장을 위해 노력해가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더불어 예비 보육교사교육에서 가르침의 본질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혼돈을 두려워하지 않는 분위기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가르침을 살피며, 자유롭게 고민하는 자기만의 시간과 서로 공유하는 시간을 함께 제공해야 함이 드러났다.

공립유치원의 오후 재편성 종일반 운영에 따른 교사와 유아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Difficulties of Teachers and Young Children in the Operation of the Full day Public Kindergarten Classes Regrouped in the Afternoon)

  • 서현;이승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9-411
    • /
    • 2008
  • The study purposes to survey teacher's and child's difficulties which full day classes of public kindergarten regrouped in the afternoon time are having. The subjects are 4 full day class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nd 8 full-day class children in G Metropolitan City and in J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variables of teachers' difficulties in managing full day classes regrouped in the afternoon time are "living as an outsider without a sense of belonging", "living as a false teacher rather than a real class teacher", and "living as a teacher giving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The variables of children's difficulties are "moving like a migratory bird", "watching the clock and the door", and "being unable to concentrate".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one of basic findings for desirable management of kindergarten full day classes regrouped in the afternoon time.

액션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부모교육 수업 사례연구 (Case Study Using Action Learning o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숙령;박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48-157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대상 부모교육 수업을 액션러닝으로 운영한 사례를 분석하여 부모교육 수업에서 액션러닝이 어떻게 활용 될 수 있는지 그 효과를 제시하였다. 대전에 위치한 P대학교 유아교육학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32명(유아교육학과 30명, 복수전공자 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동안 이론과 실제 액션러닝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생들이 매주 작성한 성찰일지, 조별과제, 심층면담자료, 동료 및 자기 평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액션러닝 교수법은 학생 주도적, 그룹수업 경험을 통해 다양한 사고를 접하고 사고의 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예비 부모로서, 예비 유아교사로서 부모로서의 역량과 부모접하기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실제 갈등 상황을 해결해 보는 경험을 통한 실천적 지식의 획득은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부모역할과 유아교사 역할이 힘들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경험과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상황 해결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단계와 활용수준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 of Use about STEAM : Focusing on Concern-Based Adoption Model)

  • 이수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47-358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STEAM에 대한 관심단계와 활용수준을 조사하고 교사 개인의 변인에 따라 관심단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3-5세를 담당하는 교사 24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관심단계설문지(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SoCQ)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지침서의 백분위수 환산표를 적용하여 상대적 강도로 변환하고 이를 관심단계 프로파일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단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관심단계는 비판적인 비사용자의 프로파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활용수준은 대부분의 교사가 전혀 실행하지 않거나 2년 이하로 실행하며 스스로를 전혀 활용안하는 사람이거나 초보적인 활용자로 판단하였고, 대부분의 교사가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현재 실행여부, 예비교사 교육 시 관련교과 수강여부, 향후 실행계획여부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전공, 기관유형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단계를 전환시키고 활용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원방안을 제언하였다.

예비영유아교사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The Survey of Perception and Needs on Development of Lecture to Promote Creativity·Personality of Pre-service Teachers)

  • 김래은;안미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05-2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영유아교사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4학년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에 대한 인식' 3문항과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에 대한 요구도' 7문항에 대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를 통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고, '창의 인성 강좌의 개발과 적용'의 지원을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가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절반 이상의 예비교사들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를 수강하겠다고 하였고, 2과목, '1학기 3시간 10주'가 가장 적절하며, '창의성 교육요소 중 성향적 요소'를 많이 요구하였다. 또한, 그들은 '다양한 분야의 융합형 수업'을 많이 요구하였으며, '영화와 음악'의 교수매체가 가장 적절하며, '포트폴리오 평가'를 많이 요구하였다.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현장 인식 연구 -미디어를 중심으로- (Focus Group Interview for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utilizing the media)

  • 배수민;윤정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533-5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현장의 인식 탐색에 있다. 먼저,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태와 인식, 요구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 로 교수 3인과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로 유아교육기관 원장 1인, 원감 1인, 교사 1인을 대상으로 총 6인의 전문가 집단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로 첫째,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태는 전자 칠판, 애니메이션 동요나 애니메이션 동화 등을 활용하여 교육을 하고 있다. 둘째,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으로는 유아들은 미디어 매체와 함께 자라고 있어 이를 단절시킬 수 없으니 유아교육기관에서도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요구는 교사 교육 또는 연수, 예비 유아교사에게 교육을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후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플립드 러닝에서 수업시연을 통한 미국 초등 예비교사의 자기 효능감 향상 방안: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 대상 ESL 수업시연을 중심으로 (Promoting self-efficacy through microteaching in a flipped classroom in US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SL teaching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English language learners)

  • 이용직;조형숙;이경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21-230
    • /
    • 2017
  • 초등예비교사들이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가르쳐 그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이 국가적 과제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미국 대학의 예비교사들이 수업시연을 통해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가르칠 때 어떻게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는지 고찰하였다. 대학의 수업을 플립드 러닝으로 설계하여 수업 전에 내용을 미리 학습한 뒤, 실제 수업시간에는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 대상 예비교사들의 ESL 수업시연을 연습하였다. 예비교사의 ESL 수업시연 동영상, 예비교사의 감상문 및 담당교수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내용교과를 가르치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잘 가르칠 수 있도록 예비교사들은 적절하게 준비되고 있다고 느꼈으며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사 교육자들이 플립드 러닝을 활용하여 수업시연과 같은 실제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잘 가르칠 수 있도록 예비교사를 준비시키는 방안을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를 한국의 상황에 적용하여 국제화 시대에 한국의 예비교사들도 다문화 학생을 가르칠 수 있도록 교사양성기관에서 준비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