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education

검색결과 3,876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 창의적 글쓰기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A Perceptions about the Creative Writ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김윤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2호
    • /
    • pp.144-15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reative story writing exercises related to science. It aimed at analyzing their perception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story writing exercises, about story writing as a pedagogic metho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n science education. First, creative story writing exercises were carried out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by 114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all of whom were non-science majors taking a course on earth science as a liberal arts elective. Afterward,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m to discover their attitudes and opinions, both as students and as teachers-to-be.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expressed a positive opinion about creative story writing as a pedagogic tool, stating that they would apply it in their future teaching by telling stories they wrote or having students write their own compositions. Pre-service teachers conclude a creative writing improves students' studying, leads interest and motivation. In addition, it linked with daily life and other school subjects. Creative story writing, when used at colleges of education, has didactic value as an empirical exercise for pre-service teachers who are not majoring in science.

  • PDF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과목의 e-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Teaching Portfolio i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 이은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5-6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이해교육 과목에 대해 효과적인 교사교육 방법론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는 e-티칭 포트폴리오를 적용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이해교육 과목에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국제이해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e-티칭 포트폴리오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이해교육 과목의 e-티칭 포트폴리오를 설계 및 개발하여 수업에서 적용한 후, 적용에 대한 수강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e-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에 대해 자료 축적 및 관리, 자기성찰의 기회, 생소함에서 오는 저항과 부담, 티칭 역량 향상 및 증빙을 통한 미래 준비, 소통을 통한 전문성 신장 기회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방법으로서 e-티칭 포트폴리오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 PDF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초등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 인식과 통합교육 수행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on the Understanding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Integra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이경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85-295
    • /
    • 2021
  • 교사양성 대학에서는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통합교육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특수교육학개론을 교직소양 필수과목으로 이수토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학개론의 수강을 통해 초등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통합교육 수행 능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에서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는 55명의 4학년 학생이며, 수강 전과 후 두 차례에 걸쳐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통합교육 수행 능력에 대한 인식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모든 영역과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 수행 능력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연구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특수교육학개론을 이수하도록 하는 것이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Development of TPACK-P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 Kim, Seong-Wo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41-152
    • /
    • 2017
  • A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creases, so too does its use in various areas. In education, technology is often used. However, due to teachers' lack of knowledge about technology, they often remain at the level of simple utilization, without applying it to learning. Thu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which enables teachers to have knowledge about technology and use it appropriately given the content. Although TPACK studies are underway in many subjects, they suffer from the limited functionality of the included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the range of technology in TPACK was extended to programming, and a TPACK-P model was developed to teach this expanded TPACK to pre-service teacher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the TPACK-P training program developed during the 15th classes was applied to 19 pre-service teachers. We used Park and Kang (2014) as a tool to measure these teachers' TPACK before and after treatment to observe any chan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PACK-P education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areas excep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Compared with the ICT-based TPACK training program, which was administered to a control group, the TPACK-P training program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TPK) and TPACK among pre-service teachers.

예비 교사의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 방향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Building Up Smart Literacy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 전미연;김미연;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1-426
    • /
    • 2013
  • 본 연구는 스마트 환경으로 바뀌는 교육 시스템 하에서 향후 교수 학습을 진행할 예비 교사들의 스마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정착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현직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스마트 교육을 진행할 예비 교사들의 스마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확보하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제안할 필요성이 있어 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스마트 리터러시 기초 조사를 통해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고, 둘째, 교사의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지표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의 역량 수준을 분석하였다. 셋째, 예비 교사의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에게 적용할 스마트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정의와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기준 지표를 도출할 필요성이 있고,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 실제 현장과 같은 첨단 학습 환경에서 스마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현장 적응력을 키울 도록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PDF

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 정용재;장명덕;김한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255-27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For the study, the views about the purposes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surveyed from 227 pre-service teachers.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gender, intensive majors and school science test scor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internal values of doing experiments were more worthy than the external values of it. In particular,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science experiments is 'to get the evidences for the theories and arguments'. On the other hand, the views from the women and social studies major pre-service teachers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of the man and science major pre-service teachers. Second,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the pre-service teachers excessively considered that the internal values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more worthy than the external values. In particular, only few pre-service teachers were aware of social and personal aspects of the experiments, though they considered well that the experiments are useful tools for the school science study. Third, there were quite different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views between the purposes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For example, the views about the scientist's experiments were relatively broad concerning the nature of scientific experiments, but the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just regard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the science stud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some science education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nd cardiac autonomic modulation in southern Indian adults with pre-metabolic syndrome: hyperglycemia is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

  • Endukuru Chiranjeevi Kumar;Girwar Singh Gaur;Dhanalakshmi Yerrabelli;Jayaprakash Sahoo;Balasubramaniyan Vairappan;Alladi Charanraj Goud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7권1호
    • /
    • pp.49-59
    • /
    • 2023
  • Metabolic syndrome (MetS) involves multi-factorial conditions linked to an elevated risk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metabolic syndrome (pre-MetS) possesses two MetS components but does not meet the MetS diagnostic criteria. Although cardiac autonomic derangements are evident in MetS,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ir status in pre-MetS subjects. In this study, we sought to examine cardiac autonomic functions in pre-MetS and to determine which MetS component is more responsible for impaired cardiac autonomic functions. A total of 182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healthy controls (n=89) and pre-MetS subjects (n=93)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 performed biochemical profiles on fasting blood samples to detect pre-MetS. Using standardized protocols, we evaluated anthropometric data, body composition, baroreflex sensitivity (BRS),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autonomic function tests (AFTs). We further examined these parameters in pre-MetS subjects for each MetS component.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we observed a significant cardiac autonomic dysfunction (CAD) through reduced BRS, lower overall HRV, and altered AFT parameters in pre-MetS subjects, accompanied by markedly varied anthropometric, clin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Furthermore, all examined BRS, HRV, and AFT parameters exhibited an abnormal trend and significant correlation toward hyperglycemia. This study demonstrates CAD in pre-MetS subjects with reduced BRS, lower overall HRV, and altered AFT parameters. Hyperglycemia was considered an independent determinant of alterations in all the examined BRS, HRV, and AFT parameters. Thus, hyperglycemia may contribute to CAD in pre-MetS subjects before progressing to MetS.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및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needs for digital citizenship and perception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 이준;유숙경;이윤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93-103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요구도 도출과 디지털 시민성 교육 현황에 관한 인식 분석을 통해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응답한 245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요구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등을 종합해 우선순위를 정하였으며, 인식 분석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분석을 종합해 보면, 최우선순위는 '자기보호'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시민성 교육 현황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며, 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높았으며, 전문기관과 학교가 주관하여 비교과나 교직이론 수업에서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강화를 위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예비 중등과학 교사들의 물체의 운동 개념의 과학사적 관점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Motion of Objects Based on the Viewpoints of Science History)

  • 주지영;김소연;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49-1062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물체의 운동에 대한 과학사적 변천을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부터 뉴턴의 관점까지 다양하게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지는 운동의 원인, 운동의 형태, 운동에서 보존되는 양의 개념을 포함하며, 이를 예비 중등 과학 교사들에게 투입하여 이들의 응답을 과학사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물리 교육을 전공하는 대학교 2학년생 20명과 다른 과학관련 교육을 전공하는 대학교 2학년생 34명이었다. 연구 결과, 물리교육을 전공하는 중등 예비교사들은 다른 과학관련 교육을 전공하는 예비교사들보다 운동의 원인이나 운동의 형태에 관련된 개념에서는 관성과 뉴턴의 힘 개념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이들은 전공에 상관없이 운동에서 보존되는 양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는 설문지에서 운동량을 속력에 비례하는 것으로 이해한 데카르트의 관점이나 운동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호이겐스의 관점을 가지는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운동량을 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뉴턴의 관점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독서감상문에 담긴 과학 교과독서의 의미 비교 (A Comparison of Science Disciplinary Reading's Meaning Contained in the Science Book Reviews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 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9-79
    • /
    • 2021
  • 이 연구는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교과독서를 통해 과학도서와 독서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과학 교과독서 과정에서 과학교육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사 양성 대학에 다니는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3학년 학생 24명과 초등교육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교과독서를 과학 내용 지식을 습득하는데 많이 활용하였으나, 초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과 과학적인 흥미, 궁금증 해결을 위한 것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관련 도서를 과학 교육에 활용하는 데에서도 생각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과학도서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드물게 서술한 반면,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수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서술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독서 관점에서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에 비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교과독서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있었다. 과학에서의 독서활동이 많은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을 비춰보면 학교 현장 수업에서 교수전략으로서 과학 교과독서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