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Teaching Methods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Fashion Design Classes

  • Park, Hye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22-228
    • /
    • 2019
  •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nhance the problem-solving skills required by the industrial field,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applied PBL class methods such as 'learning based on individual specific problems', 'self-directed learning', and 'small-group learning of small members' to practical design of fashion design. To do this, I conducted a questionnaire after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the PBL module for one semester in a practical class of fashion design major at P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the class conducted by PBL learning method was improved than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As such, if PBL class is used as a way of solving problems through close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it is expected to be established a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 that can improve creativity and professionalism.

노래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의 교육 효과 (The effect of teach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a song)

  • 이원주;이창섭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3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proposed an improved method of teach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A teaching method for CPR using a song was evaluated. To validate the effect of this teaching method, we performed a comparative reference test against a traditional CPR lecture-oriented education method. A total of 202 study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this project. Half were taught by the traditional CPR education method, and the other half were taught by the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 using a song. Results: The results for those educated by the traditional lecture-oriented method showed scores of 4.84 / 6.00 (Mean of knowledge) and 70.22 / 100 (Mean of practice ability for CPR). The results for those educated by the alternative method showed scores of 5.26 / 6.00 (Mean of knowledge) and 74.13 / 100 (Mean of practice ability for CPR). The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 utilizing a song improved the results on written and practical examinations. This improvement could be attributed to the effect of music on memory circuits in the bra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improve the success rates of CPR.

보건교사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Needs Assessment of In-service Education on Teaching for School Health Teachers)

  • 최미정;진상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509-651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들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J도에 근무하고 있는 504명의 보건교사였다. 보건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질문지가 2013년 11월 9일부터 23일까지 배부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카이자승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교사 업무의 우선순위 1위는 건강 문제 관리였으며, 2위가 보건교육이었으며, 이 결과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두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방법은 강의, 토의 그리고 실습의 순서로 나타났다. 세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자료는 PPT, 교과서, 인터넷동영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동의하나 실제 사용하고 있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들은 수업연수를 원하고 있으며 그 내용으로 창의성 교육 또는 새로운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Develop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 윤남희;손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63
    • /
    • 2018
  •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과정을 통해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맥락을 살펴보고, 건강한 통일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선정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 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단계에 따라 통일교육지침서와 통일교육 선행 연구, 북한이탈주민 관련 선행 연구와 2015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 추출한 뒤 실천적 추론 과정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고, 두 차례의 전문가 집단 평가 결과를 토대로 최종 개발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목표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남북한 생활문화의 차이를 존중하고 공동의 가치를 발견하며, 통일사회에서의 발생 가능한 실천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능력을 배양한다.'로 선정하였다. 둘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내용 체계는 '생활문화 중심의 통일교육'을 핵심주제로 선정하고 내용 요소들은 남북한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 남북한 소비생활환경의 이해, 남북한 생활문화 관련 언어, 북한 음식을 포함한 지역별의 식생활 문화의 다양성 유지, 사회적 규범과 옷차림, 올바른 주거가치관과 공동주거생활 예절의 6가지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앞서 도출된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목표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를 '건강한 통일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선정하였다. 셋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교수 학습 과정안은 통일에 대한 문제 인식하기, 남북한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하기, 행동의 결과 및 파급효과 파악과 대안적 방법 선택하기, 건강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실천하기의 4가지 주제를 포함한 총 8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35개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재의 문제 만들기 내용 분석 및 학생들의 실태 조사 (A Study on the Analysis for Problem-Pos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7th Curriculum and Investigation for Children's Disposition to Mathematical Problem-Posing)

  • 임문규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3권2호
    • /
    • pp.295-324
    • /
    • 2001
  •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investigate a degree of abilities or interesting about mathematical problem-posing of first and second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is students(1st and 2nd grades) have a limited amount of study time and their minds are not fully developed, and are lacking in their representation of ability to use the national language. This being the case,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their Mathematical problem-posing in a practical manner. However, our 7th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emphasize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problem-posing from a basic level of first and second grade with emphasis on activity in teaming Mathematics. Through this study, having analysed the problems those children posed, I have found out they improved in numbers and correctness of their posed problems. And I too could found out showing to their much interesting and confidence to mathematical problem-posing and could confirmed for the children to admit themselves its merits through analyzing some questions to ask their opinions to it. I expect that this study can help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 problem-posing and also to improve its method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next study task is,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the studies to investigate and analyse the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of children for problem-posing contents of mathematics text books.

  • PDF

Recognition Level of the Culinary Practice of Culinary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 Kang, Keoung-Shim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1권2호
    • /
    • pp.93-101
    • /
    • 2010
  • This study finds methods to activate culinary education by surveying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culinary practice from the culinary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number of individuals surveyed is 103. Data is verified by using SPSS 14.0 (SPSS Inc, Chicago, USA).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recognition for culinary education showed that learning requirements are very high as well as that theoretical education and trial demonstration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s of culinary practice education. Desire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were cooking materials by a certified technician. Their desired supplementary data for enhancing practical techniques were practical demonstrations, various materials and language instruction to learn other culinary practices. It is reported that there was increasing work other than learning time and complication for preparing practice. In addition, they desire more websites for cooking need to be built. Plans for activating culinary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how to enhance the professional abilities of culinary teachers. Second, to show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education, video-based education, and culinary practice demonstrations. Third, to show the necessity to increase the ratio for culinary practice classes. Fourth, to displa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ifth, to enhance websites for culinary data. Sixth,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ugment a sense of achievement.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eaching Ratio and Rate)

  • 박슬아;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5-2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의 내용 측면에 있어서 교사는 비와 비율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생활 맥락과 연계해서 비와 비율을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PCK의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수 목표를 강화하고 교수 방법에 있어서도 활동 중심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교사들의 PCK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 이해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의 PCK는 교사의 설명 이외에 오류 지도 방법을 다양화하고 정의적 측면을 수업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는 주체적 관점에서 교과서 활동을 재구성하고, 활동의 특성에 맞게 수업 집단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설문과 면담을 통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사의 PCK가 실제 수업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 PDF

치위생(학)과 학생의 치위생관리과정 수업몰입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lass flow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dental hygiene care process)

  • 조혜은;정경이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practical teaching methods enabling efficient execution of the dental hygiene care process. Methods: A total of 197 dental hygiene students experienced in dental hygiene care process in Gwangju and Jeonnam were surveyed from June 1 to August 30, 2019 to study their class flow, professors-student relationships, and class satisfaction level. Post surve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Class fl ow was high in three lecturers (3.56), four hours per week (3.39), and four hours per week (3.94). Class satisfaction was high in three lecturers (3.99) and four hours per week (3.90) (p<0.05). 2.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lass flow and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r=0.519), class fl ow and class satisfaction (r=0.566), and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and class satisfaction (r=0.838) (p<0.01). 3. The factors influencing class fl ow were the number of lecturers (β=0.442), class hours per week (β=-0.397), and class satisfaction (β=0.385). Conclusions: Apart from finding ways to improve class satisfaction for class flow in the dental hygiene care process, effort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lecturers and class hours per week for efficient class manageme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practical teaching methods.

비대면 가창 수업 방법 고찰 (A Study on Non-Contact Vocal Instruction)

  • 임지현;민경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2021
  •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시작으로 비접촉 사회를 형성하였다. 접촉을 제한하는 언 콘택트 시대가 도달함으로써 우리 사회 및 경제생활뿐 아니라 교육 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여 대학을 비롯한 모든 교육 기관들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시행하였다. 특히, 예체능을 비롯한 실무 형태 위주의 학과 수업들은 비대면으로 인한 제한된 환경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창 수업은 주로 1:1 대면 개인지도 또는 단체 수업 방법에서 비접촉 시대로 시행된 비대면 수업 전환으로 과도기를 경험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머물러 있던 국내 학교 현장에서 코로나 19 이후 비접촉 시대를 맞이하여 기술을 혁신하는 에듀테크가 본격화 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속화된 교육 혁신에 대비하여 비대면 실기 수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언택트 가창 수업 방법연구를 위해 먼저 비접촉 사회로 인한 국내 대학 현황과 가창 수업 형태를 살펴본다. 그 사례 연구로 가창 수업 방법을 제시하고 그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와 더불어 비대면 가창 수업의 장단점을 조사하고, 만족하는 수업 방법의 연구결과로 '가창 녹화 모니터링 및 선행학습', '즉각적인 영상자료 보컬 분석 및 보충 음악 이론'이 두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시대적 변화와 함께 효과적인 비접촉 가창 수업을 위해서는 비대면 가창 수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새로운 비접촉 가창 수업 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시스템 구축이 더욱 마련되어야 한다.

Analysis of research on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volving infants: a scoping review

  • Kim, Mi Yeon;Lee, Han Na;Lee, Yun Kyeong;Kim, Ji Soo;Cho, Haeryu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234-24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scoping review of studies on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volving infants. Methods: The scoping review method by Arksey and O'Malley was used to conduct an overview based on information spanning a wide range of fields. Multiple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INAHL, RISS, and KISS, were searched for articles written in English or Korean published from 2012 to the present on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terventions. A total of 2,137 papers were found, and 20 papers were ultimately analyzed. Results: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55.0%) and in the medical field (45.0%), and most were experimental studies (35.0%). The results were organized across five categories: 1) preventive precautions, 2)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3)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4) continuity of interventions, and 5) teaching methods. Conclusion: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terventions should cover the establishment of a safe home environment, includ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rovide routine follow-up interventions. Additionally, practical training and teaching methods that incorporate feedback rather than a lecture-oriented approach should be adop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