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Teaching Abilitie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초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Project-Based Learning for Strengthe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Abilities)

  • 강은영;신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47-5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교사양성과정 수업을 통하여 예비특수 교사들(n = 39)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평균 6.76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의 하위 척도 중에서 수업계획 및 조직(1.49점), 의사소통(1.49점), 학생과 상호작용(0.49점), 교수 학습 환경조성(2.49점), 성의와 열의(0.89점) 순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예비특수교사 들은 실천적 교수역량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p < 0.01). 전체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중 '교수 학습 환경 조성', '의사소통', '수업계획 및 조직'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은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간의 상관관계는 0.64-0.90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치료학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의 모듈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for Physical Therapy Classes)

  • 김현우;송창호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223-236
    • /
    • 2019
  • Purpose: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module for problem-based learning(PBL) and to enhance th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physical therapy students in a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course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odule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Methods: The PBL module was applied to 55 third-year physical therap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course at S university in Seoul. Anonymous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reflection journal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PBL class improved compar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ame class in the previous semester. Seco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BL class evaluated the PBL as a very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clinical practical ability. Third, the students of the PBL class showed increased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bilities between team memb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f PBL class case studies and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ppropriate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fields are continuously studied, then it is expected that teaching models will be developed that can develop flexibility and creativity among preliminary physical therapists in a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수학 교수.학습에서의 암호산술 문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Cryptarithmetic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333-355
    • /
    • 2000
  • In this paper,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cryptarithmetic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s discussed. There might be seven cases to use them practically like followings: (1)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for deepening the mathematical knowledges. (2)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for foster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3)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for foster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4)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as open ended problems. (5)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as materials for personalized learning. (6)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as materials for cooperative learning. (7)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as materials for problems posing.

  • PDF

Signal Processing and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MOOC + SPOC + Flipped Classroom"

  • Bei Qiao;Yan M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105-115
    • /
    • 2024
  • The hybrid teaching approach of "MOOC + SPOC + Flipped Classroom" overcomes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at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us compensating for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approaches. These changes in education are driven by the "Internet+" wave and the growing popularity of online teaching. The "MOOC + SPOC + Flipped Classroom" hybrid teaching mode can successfully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ereby overcoming their restrictions. By defining relevant concepts, one can distill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MOOC + SPOC + Flipped Classroom" hybrid teaching mode. Formative assessment was employed to thorough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approach. By leveraging the advantages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small private online course (SPOC), and flipped classroom, the "MOOC +SPOC + Flipped Classroom" teaching mode incorporates real-time student assessment through peer evaluation, computer-aided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This mode promotes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helping students to establish strong foundations while fostering their practical abilities. While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remains fruitful, the convenience of today's network allows the teaching profession to continually evolve.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 heavily relies on teachers, making it impossible to conduct lessons without them. However, the development of MOOC enables students to seek knowledge online from their preferred teachers,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their assigned instructors.

또래교수법이 수학 문제해결과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eer Tutoring Method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Class Satisfaction)

  • 차지혜;최상호;김동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03-22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통해 고등학교 이차곡선 단원에 대한 수업을 진행한 후 문제해결능력과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교수학습과정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 7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또래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이 종료된 후에 <이차곡선 문제해결능력 검사지>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비교와 <수업 만족도 검사지>를 분석한 결과 또래교수법을 통해 친밀한 학습 환경, 개별화된 학습 내용, 자유로운 학습 과정을 통한 학습 동기유발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문제해결능력과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차곡선을 지도할 때 또래교수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여 실제 고등학교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오럴 프레젠테이션을 통한 영어수업모형 (A model of EFL instruction using oral presentation for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 김학수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1호
    • /
    • pp.159-18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resentation-based instruction and to suggest a model of instruction targeted to the Korean intermediate level students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author examined how the acquisition of practical English through oral presentation would enhance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language abilit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n concrete situ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ined leader and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are need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presentation-based instruction. In doing so, the author compar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support the validity of this teaching method. It was further pointed out that the teacher should have a close look at the roles of the presenter and learner in an effort to work out the usefulness of such an instruction model. The method of presentation in classroom settings would be a practical mode to attain the essential purpose of EFL teaching particularly to get over the drawbacks of Korean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s a result, it would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meet the nation's long-standing demands for EFL education.

  • PDF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의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의 실기 능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actical ability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 of vocational education high school by existence of practical test of high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이하나;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43-6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의 실기 능력을 비교하여 임용실기시험의 효과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사의 배경 변인별 분석을 통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의 교원 선발과 교사의 실기 능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기 능력과 관련한 구체적인 영역을 구안하고 임용 실기시험을 실시한 지역과 실시하지 않은 지역의 신규 교사들의 실기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의 실기 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의 실기 능력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 실기 능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 임용 실기시험 실시 집단의 실기 능력 정도의 평균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 배경 변인별 실기 능력 차이 정도를 비교한 결과, 국가기술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의 경우 미소지 집단에 비해 실기 능력의 평균값이 높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기간제 교원 경력 유무에 따른 교사 간 실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기간제 교원 경력이 있는 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직 이수 유형의 경우, 목적형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 이수 유형보다 개방형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 이수 유형 집단의 실기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Development of Support Programs for Online University Based on Teacher's & Learner's Competency for English Medium Teaching

  • PARK, Sohwa;CHANG, Kyunw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0권1호
    • /
    • pp.59-78
    • /
    • 2009
  • Language Capit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cademic abilities and competencies for new era of globalization worldwide. In Europe and Asia where English is not the native languag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higher education to improve language competency from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In so far as online university concerned, it appears of significance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 border education, and it needs to focus on how to design and develop English-medium teaching (EMT) or in other words English mediated instruction(EMI)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supportive programs of English-mediated class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what abilities are needed for teachers based on DACUUM approach, suggesting teachers' competency as well as strategies for online- EMT. Based on literature review, DACUUM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with teachers and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EMT, online programs supporti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for online EMI were developed. This program expects to play roles of practical guidelines and referenc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online in an extension of language capital improvement.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활동의 개별화 방안 (A study on the practical methods of open teaching and loam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이정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6
    • /
    • 1997
  •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서는 아동 개개인에게 문제 해결 전략을 체득시키고, 의도적인 문제 해결 과정과 개별적인 문제 해결 경험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개별화를 지향하는 학습 지도 방안을 구성하기 위하여 문제 해결 학습 활동 형태를 개별 학습 활동 형태, 집단 학습을 곁들인 개별 학습 활동 형태, 팀 티칭의 형태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문제해결 지도 중점별 교수 학습 활동 흐름을 구체화한 후 구체물이나 반구체물 조작 방법과 여러 가지 문제 해결 전략 및 문제 해결 과정을 개별 지도하는 수업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대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ology for Teaching Improvement on the University)

  • 송은지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45-50
    • /
    • 2012
  •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의 변화는 대학의 역할과 성격에도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대학들은 산업화 사회에서 산학연을 중요시하여 전문 기술자의 양성이라는 교육 목적을 갖고, 고등교육 수준의 질적 수월성과 직업교육에 대한 교육 책무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교수들이 실제적으로 수업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교수들이 풍부한 현장성을 갖고 있어도 수업에서 실제적인 수업내용에 접근하여 이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교수직에 진입한 이후의 수업 전문성에 개발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학은 교수들에게 수업 전문성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안의 일환으로 수업개선 멘토링 프로그램과 아울러 수업개선을 위한 포토폴리오와 마이크로 티칭 방법론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