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iz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처치온도에 따른 초미분화 산양삼의 홍삼화 연구

  • 김진호;권기록;이은희;차배천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9권3호통권21호
    • /
    • pp.117-129
    • /
    • 200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ptimal conditions for producing red ginseng from cultivated wild ginseng using the Turbo Mill. Methods : Characteristics of powdered cultivated wild ginseng based on various temperature settings of the Turbo Mill were observed, and changes in the content was measured by HPLC for various ginsenosides. Results : 1. The diameter of cultivated wild ginseng powder ground by the Turbo Mill was around 10${\mu}m$. 2. As the temperature rose, pressure, Specific Mechanical Energy(SME), and density decreased, whileas Water Solubility Index(WSI) increased. 3. As the temperature rose, super fine powder showed tendency to turn into dark brown. 4. Measuring content changes by HPLC, there was no detection of ginsenoside Rg3 and ginsenosideRg1, Rb1, and Rh2 concentrations decreased with increase in temperature. Conclusions : Super fine powder of cultivated wild ginseng produced by the Turbo Mill promotes easy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by breaking the cell walls. Using this mechanism to produce red ginseng from cultivated wild ginseng, it yielded less than satisfactory results under the current experiment setup.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verify more suitable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red ginseng.

Water Swelling을 이용한 Fluorine함유 저온소결 기판의 제조 (Fabrication of Low Temperature Cofiring Substrate Containing Fluorine by Water Swelling)

  • 윤영진;최정헌;이용수;강원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25
    • /
    • 2002
  • 저온소결기판을 위하여 green sheet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으로 $Li_2$O.MgO. $MgF_2$.$SiO_2$.$B_2O_3$를 기초 조성으로 선정하였다. 조합 후 용융하여 만들어진 모유리는 열분석을 통하여 최적 핵형성 온도와 최고 결정성장 온도를 도출하였으며 핵형성 온도는 전이온도와 같은 $490^{\circ}C$로 선정하였다.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두 단계의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 생성된 결정상은 Lithium fluorhectorite와 Lithium boron fluorphlogopite결정상 이었다. 계속적으로 제조된 결정화 유리는 water swelling 현상을 이용하여 분말화를 실시하였으며 평균 입도크기는 2.574 $\mu\textrm{m}$이었다. glass ceramics 분말은 물에 넣으면 반응하여 팽창하는 것과 함께 끈적끈적한 sol이 생성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green sheet 제조를 위한 slurry를 제조하였다. Tape casting을 위한 slurry의 결정화 유리 분말 대비 용매의 최적 비율은 100:18이었고, 슬러리의 점도는 11,000~14,000cps 이었다. KCl 1 M용액 10min담지 시편에 대해서는 $900^{\circ}C$에서, 20 min담지 시편에 대해서는 $800^{\circ}C$에서 각각 치밀한 소결성을 나타내었다.

  • PDF

청국장의 분말가공과 청국장 스프 레시피 개발 (Powder Processing of Soybean Paste(Cheonggukjang) and Application to Soup Recipes)

  • 공석길;김성옥;황성연;박소희;강근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
    • /
    • 2007
  • The process of Cheonggukjang powderization and application to the western food recipes were established. Cheonggukjang was made and processed into the powder. The optimum condition of Cheonggukjang solution for the powdering process was 50%(w/w). And it was completely grinded by a mixer. Drying condition of a spray dryer was to be injected 1 mL/sec. in $105^{\circ}C$ with 3,000 rpm. The components of Cheonggukjang were 49.7 g/100 g of moisture, 2.6 g/100 g of crude ash, 16.2 g/100 g of crude carbohydrate, 23.4 g/100 g of crude protein, 8.1 g/100 g of crude fat, and 9.3 g/100 g of cellulose. The major amino acid was glutamic acid and its quantity was 4,345.5 mg/100 g. And the next were aspartic acid (2,539.2 mg/100 g) and leucin (1,963.2 mg/100 g). In application, 4 kinds of soup recipes using Cheonggukjang powder were developed. The sensory test showed the acceptability between the soup with the powder and the soup without the powder was significant at odor(p<0.05) in vegetable cream soup and broccoli soup, and at taste(p<0.01) in vegetable cream soup. And the soup with non powder showed more acceptability.

  • PDF

아세트산을 활용한 폐 마그카본(MgO-C) 내화물의 초음파 부상 분리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into Ultrasonic Flotation Separation of Spent MgO-C Refractories Using Acetic Acid)

  • 변윤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40-4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제철공정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인 폐 MgO-C 내화물로부터 고순도 흑연을 재생하기 위해 산화마그네슘(MgO)을 용해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강 산성용액을 대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약 산성용매인 아세트산 용매를 사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 하였다. 폐내화물에서 MgO만 선택적으로 킬레이트 하는 아세트산의 농도를 달리하고 초음파 부상분리법 통해 높은 실수율 재생 흑연을 정제 회수 할수 있었다. 특히 2 M 아세트산을 용매를 사용 한 경우 흑연의 회수율은 99.7 %를 나타내며 회수된 흑연의 순도는 72.7 %로 분석되었으며 물을 용매로 사용한 공정에 대비하여 상당한 개선방법을 확보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은 폐내화물 내 MgO와 아세트산의 반응을 통해 아세트산마그네슘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고효율의 흑연 정제 및 분리와 마그네슘 추출을 위한 자원을 함께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 흙벽화 채색층 고착제의 보존환경에 따른 안정성 연구 (A Study 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for Fixative of Korean Mural Painting Layers)

  • 진병혁;위광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150-171
    • /
    • 2013
  • 흙벽화 보존처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채색층에 균열이 발생되어 결속력을 잃었을 때, 또는 안료의 분말화가 일어났을 때, 고착제를 주입하여 손실위험에 처해진 벽화를 보존하는 것이다. 그러나 흙벽화 채색층에 사용되는 고착제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흙벽체 시료를 제작하여 총 4종의 합분, 주사, 석록, 황토안료를 채색하고 Paraloid $B-72^{(R)}$, Caparol-$binder^{(R)}$, 우피아교(牛皮阿膠), Hydoxypropyl $cellulose^{(R)}$ 총 4종의 고착제를 도포하여 보존처리 후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요인인 온도, 습도, 자외선을 인공적으로 부여하였다. 안료별로 도포된 고착제의 보존환경에 따른 물성변화는 색안정성, 접촉각, 광택도, 접착력, 표면관찰을 통해 다각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및 고온다습한 환경은 합분을 제외한 고착제가 도포된 모든 채색층에서 명도와 채도의 변화가 일어나는 등 색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고착제의 노화가속에 영향을 주어 결국 분해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중 전통재료인 아교는 함께 실험한 합성수지들과 비교하여 볼 때, 채색층 표면에 대한 색안정성과 영향력(보존성) 유지, 친수성 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접착력 부분에서는 모든 채색층에서 우수한 특성이 확인되었기에, 흙벽화 채색층 고착처리 시 안정성이 높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