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 Flow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31초

3성분계 시멘트에서 FA 및 BS의 최적혼합비율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Proportion of FA and BS for Ternary Cement)

  • 한천구;박성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43-148
    • /
    • 2016
  • 본 연구는 3성분계 시멘트에서 FA와 BS의 최적혼합비율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혼화재 치환율 별 FA 및 BS의 다양한 혼합비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플로의 경우는 혼화재 치환율 및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은 혼화재 치환율이 증가하고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단위용적질량은 혼화재 치환율 25% 및 45%에서는 공기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5% 및 100%에서는 FA 치환율 20%까지는 증가하였지만 그 이상에서는 FA의 저밀도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응결시간은 혼화재 치환율 및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의 경우는 재령 91일에 혼화재치환율 25% 및 45%에서 FA : BS의 비율이 40 :t 60인 배합에서 가장 우수한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압축강도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혼화재 치환율 25% 및 45%인 경우에서 FA : BS의 비율 2 : 3인 경우가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는 최적의 혼합비율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A STUDY ON THE ADHESION OF A SOFT LINER CONTAINING 4-META TO THE BASE METAL ALLOY AND ITS VISCOELASTIC PROPERTY

  • Park Hyun-Joo;Kim Chang-Whe;Kim Yung-So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32-746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Soft lining materials, also referred to as tissue conditioning materials, tissue heating materials, relining materials, soft liners or tissue conditioners, were first introduced to dentistry by a plastic manufacturer in 1959.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to the dental field, their material properties have been continually improved through the effort of many researchers. Soft lining materials have become widely accepted, particularly by prosthodontists, because of their numerous clinical advantages and ease of manipulation. Unfortunately, few reports have been issued upon the topic of increasing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base metal alloy used in cast denture bases and PMMA soft liner modified with 4-META, nor upon the pattern of debonding and material change in wet environment like a intra oral situation.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comparing the bond strength between base metal alloy used for the cast denture bases and PMMA soft liner modified with 4-META, and describing the pattern of debonding and material property change in wet environment like the intraoral situation. Material and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experiments: 1. The in vitro measurement of shear bond strength of the adhesive soft liner. 2. The in vitro measurement of shear bond strength of the adhesive soft liner after 2 weeks of aging. 3. A comparison of debonding patterns. 4. An evaluation the Relation time of modified soft liner. The soft liner used in this study was commercially available as Coe-soft (GC America.IL.,USA), which is provided in forms of powder and liquid. This is a PMMA soft liner commonly used in dental clinics. The metal primer used in this study was 4-META containing primer packed in Meta fast denture base resin (Sun Medical Co., Osaka, Japan). The specimens were formed in a single lap joint desist which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apparent shear bond strength of adhesively bonded metal plate by tensile loading. Using the $20{\times}20mm$ transparent grid, percent area of adhesive soft liner remaining on the shear area was calculated to classify the debonding patterns. To evaluate the change of the initial flow of the modified adhesive soft liner, the gelation time was measured with an oscillating rheometer (Haake RS150W/ TC50, Haake Co., Germany). It was a stress control and parallel plate type with the diameter of 35mm. Conclusion. Within the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bond strength in the 5% 4-META, 10% 4-META containing groups and in the primer coated groups versus the control group(P<0.05). 2. After 2 weeks of aging, no significant increase in bond strength was found except for the group containing 10% 4-META (P<0.05). 3. The gelation times of the modified soft liner were 9.3 minutes for the 5% 4-META containing liner and 11.5 minutes for the 10% 4-META liner. 4. The debonding patterns of the 4-META containing group after 2 weeks of aging were similar to those of immediaely after preparation, but the debonding pattern of the primer group showed more adhesive failure after 2 weeks of aging.

모세관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Costus Speciosus 중 Diosgenin의 정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pillary Gas-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Diosgenin in Costus Speciosus)

  • 김택제;차기석;김영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9-376
    • /
    • 1986
  • 모세관 기체-액체프로마토그래피(GLC)에 의해 인도네시아산 Costus speciosus중의 diosgenin을 정량하기 위해 가수분해 및 추출, 아세틸화 반응 및 GLC의 측정 조건등을 검토하였다. 건조된 diosgenin분말 1.20g을 3N HCI과 xylene의 혼합용액으로 95∼100${\circ}C$에서 4시간 환류시킨 다음 xylene층을 분리하였다. Xylene을 증발시켜 날려보내고 20:80의 acetic anhydride-pyridine을 가하고 30분간 환류시켜 아세틸화시킨 후 diethyl ether로 추출하였다. 무수 $Na_2SO_4$로 탈수시키고 ether를 날려 보낸 다음 찌끼를 n-hexane 5.00ml에 녹여 GLC로 분석하였다. SE-30 25m ${\times}$ 0. 33mm의 모세관을 사용하였고 컬럼온도는 180${\circ}$에서 270${\circ}C$까지 10${\circ}C$/min의 속도로 온도를 상승시켰다. 운반기체 $N_2$의 유속은 2ml/min이었고 FID로 검출하였다. Diosgenin의 분석결과는 0.281%이었고, 상대표준편차는 1.8%로서 재현성이 좋았다.

  • PDF

HVOF 용사된 $\textrm{Cr}_{3}\textrm{C}_{2}$-NiCr 용사층의 산화 거동 (Oxidation Behavior of the HVOF-sprayed $\textrm{Cr}_{3}\textrm{C}_{2}$-NiCr Coating Layer)

  • 김병희;서동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8호
    • /
    • pp.757-765
    • /
    • 1998
  • 수소를 연료로 하여 HVOF 용사된 크롬카바이드 용사층의 산화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용사분말의 제조방법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용사용 분말을 ($\textrm{Cr}_{3}\textrm{C}_{2}$-20wt%NiCr로 구성된 크래드 분말과 $\textrm{Cr}_{3}\textrm{C}_{2}$-7wt%NiCr로 구성된 혼합분말)이용하여 F/O비를 3.2, 3.0, 2.8 로 변화시켜 용사한 후, $1000^{\circ}C$ 까지 등온 산화실험 후, 산화특성을 고찰하여 크롬카바이드 용사층의 F/O비에 의존하는 산화거동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NiCr이 20wt% 크래드된 분말로 용사된 용사층과 NiCr이 7wt% 혼합된 분말로 용사된 용사층은 전혀 다른 산화거동을 보였다. 혼합분말의 경우에 $1000^{\circ}C$에서 50시간 등온산화실험 후, F/O=3.2의 조건인 경우에는 산화물이 표면 요철을 따라 비교적 균일하게 성장한 반면 F/O=3.0과 F/O=2.8의 경우에는 용사층 표면이 다공성의 산화물이 형성되었으며, 또한 Ni, Cr으로 이루어진 복합산화물인 oxide cluster로 성장하였다. 반면에 크래드 분말로 용사된 용사층의표면 산화물 층은 다공성을 변화되지 않았다. 이러한 용사분말의 제조방법에 따라 산화거동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용사 중에 발생하는 카바이드분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크롬카바이드 소결체 보다 산화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환원성의 수소의 양에 따른 용사층의산화거동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면수복용 고유동성 VA/VeoVa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특성에 대한 피착면 표면수의 영향 (Effect of Substrate Surface Water on Adhesive Properties of High Flowable VA/VeoVa-modified Cement Mortar for Concrete Patching Material)

  • 도정윤;김두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94-10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성의 VA/VeoVA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성능을 측정한 후 콘크리트의 보수용 재료에 매우 중요한 요구성능인 부착강도에 대한 피착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수량의 영향을 검토하는 연구가 수행하였다. 시험체의 배합은 VA/VeoVA는 결합재인 시멘트에 대하여 고형분비 (폴리머시멘트비; P/C)에 의하여 10, 20, 30, 50, 75%, 잔골재는 시멘트의 중량에 대하여 각각 1:1, 1:3의 비율을 적용하였다. 고유동성 VA/VeoVA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인 성능을 토대로 부착강도, 잔갈림성, 재료분리 저항성이 좋은 시험체를 선택하였다. 시험체는 C:F=1:1인 경우 P/C=20%, 30%의 시험체 2개가 선택되었으며, C:F=1:3인 경우 P/C=50%의 시험체 1개, 총 3개가 선택되었으며 이 3개의 배합에 대하여 피착체의 표면수량에 따른 고유동성 VA/VeoVA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콘크리트 피착체에 살포된 표면수는 부분적으로 고유동성 VA/VeoVA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를 증진하고, 유동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Characterization of SiC nanowire synthesize by Thermal CVD

  • 정민욱;김민국;송우석;정대성;최원철;박종윤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4-74
    • /
    • 2010
  • One-dimensional nanosturctures such as nanowires and nanotube have been mainly proposed as important components of nano-electronic devices and are expected to play an integral part in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se devices. Silicon carbide(SiC) is one of a promising wide bandgap semiconductor that exhibits extraordinary properties, such as higher thermal conductivity, mechanical and chemical stability than silicon. Therefore, the synthesis of SiC-based nanowires(NWs) open a possibility for developing a potential application in nano-electronic devices which have to work under harsh environment. In this study, one-dimensional nanowires(NWs) of cubic phase silicon carbide($\beta$-SiC) were efficiently produced by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T-CVD) synthesis of mixtures containing Si powders and hydrocarbon in a alumina boat about $T\;=\;1400^{\circ}C$ SEM images are shown that the temperature below $1300^{\circ}C$ is not enough to synthesis the SiC NWs due to insufficient thermal energy for melting of Si Powder and decomposition of methane gas. However, the SiC NWs are produced over $1300^{\circ}C$ and the most efficient temperature for growth of SiC NWs is about $1400^{\circ}C$ with an average diameter range between 50 ~ 150 nm. Raman spectra revealed the crystal form of the synthesized SiC NWs is a cubic phase. Two distinct peaks at 795 and $970\;cm^{-1}$ over $1400^{\circ}C$ represent the TO and LO mode of the bulk $\beta$-SiC, respectively. In XRD spectra, this result was also verified with the strongest (111) peaks at $2{\theta}=35.7^{\circ}$, which is very close to (111) plane peak position of 3C-SiC over $1400 ^{\circ}C$ TEM images are represented to two typical $\beta$-SiC NWs structures. One is shown the defect-free $\beta$-SiC nanowire with a (111) interplane distance with 0.25 nm, and the other is the stacking-faulted $\beta$-SiC nanowire. Two SiC nanowires are covered with $SiO_2$ layer with a thickness of less 2 nm. Moreover, by changing the flow rate of methane gas, the 300 sccm is the optimal condition for synthesis of a large amount of $\beta$-SiC NWs.

  • PDF

인체백혈병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불등가사리 메탄올 추출물의 영향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 of Gloiopeltis furcata in Human Leukemia Cell Line U937)

  • 최우영;;김기영;이원호;배송자;최영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6-8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체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등불가사리 메탄올 추출물(MEGF)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EGF는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형태적변이 및 증식억제가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백혈병세포에서 가장 높은 감수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 효과가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flow cytometry 분석 및 DAPI staining 법으로 조사한 결과, MEGF 처리에 의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주기 교란과 무관한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sub-G1기 세포의 빈도 증가 및 apoptotic body 형성의 증가 등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MEGF 처리에 의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발은 p53 비의존적인 p21의 발현 증가 및 Fas/FasL system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 특히 백혈병세포에서 MEGF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MEGF 내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및 항암적용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TiO_2$ 광촉매를 활용한 수용액 내의 유기물질의 광분해반응 (Heterogeneous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Organics in Water Phase)

  • 이태규;김동형;김경남;오정무
    • 태양에너지
    • /
    • 제15권2호
    • /
    • pp.65-75
    • /
    • 1995
  • 폐수내에 용해되어 있는 유독성 유기물질의 분해처리를 위한 태양반응기 실용화에 대한 기본 및 응용연구를 실시하였다. 광촉매로는 0.1wt%의 Degussa P25 Titanium dioxide($TiO_2$)를 사용하여 TCE, chloroform 그리고 $CCl_4$들의 단일성분은 물론 TCE-chloroform, TCE-phenol, TCE-benzene 등의 이성분계 수용액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일차적으로 원액의 반응기로의 적정유량을 조사하였으며, 각 2차성분들이 TCE의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 실험 조건하에서 최적의 공급유속은 약 $200cm^3/min$이었으며, 각 2차 성분들은 공통적으로 TCE 분해율을 저하시키고 있으나 적절한 분해조건의 확보시 다성분계의 폐수처리에도 광분해반응의 처리는 기술적으로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TCE-phenol의 이성분 용액의 경우 $H_2O_2$의 TCE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견과 0.06vol%의 $H_2O_2$ 첨가로 TCE의 분해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emi-batch 반응기에서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접촉 수소화 반응 (Catalytic Hydrogenation of Triglyceride in a Semi-batch Reactor)

  • 안재용;이철호;전종기
    • 청정기술
    • /
    • 제25권2호
    • /
    • pp.101-10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소화 반응용 촉매로서 니켈, 실리카 및 알루미나로부터 제조한 Ni-SA 촉매의 적용 가능성을 semi-batch 반응기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실리카 및 알루미나 지지체 위에 공침법을 사용하여 니켈 전구체를 침전시켜서 Ni-SA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 분말을 수소분위기에서 환원시킨 후에, 유지경화유와 혼합한 후 냉각하여 Ni-SA 촉매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업용 촉매인 Pricat 촉매와 본 연구에서 제조한 Ni-SA 촉매의 NiO 결정크기는 각각 $35{\AA}$$38{\AA}$으로 나타나서 두 촉매의 Ni의 분산도가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Ni-SA 촉매의 기공 부피와 기공 크기는 Pricat 촉매의 기공 부피와 기공 크기보다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Ni-SA 촉매의 평균 입자 크기는 Pricat 촉매에 비해 훨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에 함침시켜서 태블릿 형태로 성형한 촉매를 사용하여 semi-batch 반응 장치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소화 반응을 수행한 결과, Ni-SA 촉매가 Pricat 촉매보다 반응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i-SA 촉매의 입자 크기가 Pricat 촉매의 입자 크기보다 훨씬 작고, Ni-SA 촉매의 기공 크기가 Pricat 촉매의 기공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반응 원료나 생성물의 확산 저항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Ni-SA 촉매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소화 반응용 촉매로 상업적인 공정에서 사용 중인 Pricat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화주석 나노구조물의 성장에서 기판 온도의 효과 (Effect of Temperature on Growth of Tin Oxide Nanostructures)

  • 김미리;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97-502
    • /
    • 2019
  • 금속산화물 나노구조물은 고감도 가스센서 및 대용량의 리튬이온 전지와 같은 첨단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유망한 소재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주석(SnO) 나노구조물을 두 영역 전기로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에서 Si 웨이퍼 기판 위에 성장시켰다. 원료물질인 이산화주석($SnO_2$) 파우더를 알루미나 도가니 속에 넣어서 $1070^{\circ}C$에서 기상화시켰으며, 이송가스인 고순도 Ar 가스를 1000 sccm으로 흘려주었다. SnO 나노구조물은 $350{\sim}450^{\circ}C$, 545 Pa 조건에서 30분 동안 Si 기판 위에 성장되었다. 성장된 SnO 나노구조물의 표면형상을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과 원자힘 현미경(AFM)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성장된 SnO 나노구조물의 결정학적 특징을 Raman 분광학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성장된 산화주석은 SnO 상을 가지고 있었다. 기판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된 SnO 나노구조물의 두께와 결정립의 크기도 $424^{\circ}C$까지는 증가하였다. $450^{\circ}C$에서 성장된 SnO 나노구조물은 복잡한 다결정 형태의 표면형상을 나타내었지만, $350{\sim}424^{\circ}C$ 범위에서 성장된 SnO 나노구조물은 기판에 나란한 형태의 단순한 결정구조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