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ssium phosphate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4초

식물색소 관여형 화합물의 생물검정법으로서 Greening Assay (A Bioassay for Chemicals Affecting Plant Pigment Biosynthesis: Greening Assay)

  • 김진석;김태준;홍경식;황인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4-220
    • /
    • 1990
  • 식물색소 생합성에 마치는 화합물의 스크리닝 및 생리 생화학적 실험을 위한 Greening assay를 확립하고자 greening 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치상 및 조사 방법에 관한 여러가지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이 및 보리 모두 $25^{\circ}C$ 암조건에 5~6 일 된 것이 greening 에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2. 오이는 자엽의 표면이 용액에 닿도록 치상하는 것이, 보리엽신은 상단으로부터 0.5~2.0cm 부위을 절취하는 것이 greening 에 양호하였다. 3. Buffer 는 10mM potassium phosphate(pH 6.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4. 광조사시 온도가 $15\sim35^{\circ}C$ 범위일 경우 온도가 높을수록 greening 속도가 빨랐으며, 그 반응은 보리보다 오이가, carotenid 보다는 엽록소 생합성이 더욱 민감하였다. 5. 광도에 대한 영향은 엽록소의 경우 오이는 5,000 Lux. 보리는 1,000 Lux 내외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carotenoid의 경우는 이보다 높은 광도에서 최고치를 보이는 경향이었다. 6. 용매의 안전사용농도는 acetone 10% 미만, ethyl alcohol 0.1 % 이하, DMSO 2.5 %이 하였고, 색소 생합성에 관여되는 제초제 또는 몇가지 시약의 $pI_{50}$을 구하였다.

  • PDF

주요(主要) 노지채소(露地菜蔬) 주산지(主産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Soil Chemical Properties of Major Vegetable Producing Open Fields)

  • 황기성;이성재;곽용호;김기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51
    • /
    • 1997
  • 주요(主要) 채소류(菜蔬類) 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화학성분 함량의 변동양상(變動樣相)을 파악하여 토양개량(土壤改良) 및 시비량(施肥量) 기준설정(基準設定)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고추, 마늘, 양파, 수박, 무, 배추, 감자 등의 주산단지(主産團地)에서 작물별로 30개 포장(圃場)(합계(合計) 210개 포장(圃場))을 선정(選定)하여 토양화학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노지채소(露地菜蔬) 재배지 토양의 양분함량은 대체적(大體的)으로 채소류 재배에 적합(適合)하나 성분별(成分別)로 구분(區分)하여 보면 pH와 유기물(有機物), 고토(苦土)등은 밭토양 개량목표에 미달(未達)되고 있으나 인산과 가리는 개량목표를 상회(上廻)하였다. 2. 채소류 재배지 토양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을 작물별로 구분(區分)하여 보면 마늘>감자>배추>양파>고추>무>수박 재배지 순(順)으로 높았다. 3. 채소류 재배지 토양의 미량원소(微量元素) 함량(含量)은 Fe 71~89, Mn 38~40, Cu 1.4~1.6, Zn 2.2~3.0 mg/kg 범위(範圍) 이었다. 4. 밭토양의 화학성분 분포비율(分布比率)을 보면 pH는 5.0 이하가 41%인 반면(反面)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리 및 석회는 각각(各各) 73, 47, 63%가 밭토양 개량목표(改良目標)를 상회(上廻)하고 있다.

  • PDF

3요소(三要素) 및 석회처리(石灰處理)가 들깨의 지방조성(脂肪組成) 및 수량(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Three Primary Elements and Lime on the Seed Oil Content and Yield Components of Perilla)

  • 김재성;이영일;신인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8-142
    • /
    • 1992
  • 들깨의 시비조건(施肥條件)에 따른 수량(收量)과 함유량(含油量)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비조건(施肥條件)에 따라 초장(草長), 가지수, 마디수, 화방수는 별 차이가 없었으며 가리시용(加里施用)은 들깨의 수량(收量)과 함유량(含油量)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고,인산혼용(燐酸混用)은 들깨의 수량(收量)을, 석회(石灰)는 함유랑(含油量)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2. 가리(加里), 석회(石灰), 인산(燐酸)의 조합시비(組合施肥)는 종실(種實)을 크게 하나 함유량(含油量)은 낮았다. 3 들깨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lenolenic acid 가 64.5%로 최고(最高)였으며 다음이 oleic acid (14.0%), linoleic acid(13.8%) palmitic acid (5.4%). stearic acid (1.8%) 순이었고 시비조건(施肥條件)에 따른 특별한 분포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 들깨 종실(種實)의 회분중 무기성분(無機成分)은 K(21.3%), Ca(12.8%), Mg(8.2%), Fe(0.34%), Zn(0.15 %), Mn(0.1%), Na(0.08%) 순이었다.

  • PDF

프라타너스 전정가지 톱밥을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재배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sawdust of pruned platanus branch)

  • 노재관;최재선;최성열;민경범;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3-46
    • /
    • 2008
  • 도로주변에 식재되어 있는 프라타너스(버즘나무)는 매년 늦겨울이나 이른 봄에 가지를 전정하는데, 이것은 대부분 땔감 등 활용가치가 적어 본 연구는 프라타너스의 전정가지를 톱밥으로 제조하여 느타리버섯의 새로운 배지재료로 활용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배지재료별 균사생장량은 프라타너스톱밥+쌀겨(9 : 1)에서 30일간 배양할 때 12.8cm로 가장 많은 생장을 보였고, 프라타너스톱밥+쌀겨(6 : 4)를 제외한 기타배지들의 균사밀도는 높게 나타났다. 생육 전 후의 배지재료별 무기성분중에서 T-N, $P_2O_5$, $K_2O$함량은 모든 배지에서 생육 후 감소 하는 경향이었다. 자실체의 무기성분은 프라타너스톱밥+쌀겨(9 : 1)에서 T-N, $K_2O$, CaO, MgO함량은 다른 배지 보다 높았으나, $P_2O_5$함량은 미송톱밥+쌀겨(8:2)에서 0.92%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균사배양일은 배지재료에 따라 26~37일로 큰 차이를 보였고, 프라타너스톱밥+쌀겨(8:2)는 대조구인 미송톱밥+쌀겨(8:2)보다 유효경수, 대직경 및 대길이가 길어 병당(850cc) 88.6g으로 18%증수하였다.

  • PDF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토끼와 닭 대퇴골의 미세구조 분석 (Microstructure Analysis of Rabbit and Chicken Femurs by Light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김창연;김은경;전태훈;남승원;김윤중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3호
    • /
    • pp.155-162
    • /
    • 2010
  • 뼈는 단계별 (hierarchical) 구조를 가진 복합 재료이며 독특한 구조와 기계적 특성 때문에 재료공학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어져 왔다. 뼈는 주로 hydroxyapatite, 콜라겐과 물로 구성된 층판형 유 무기 재료 복합체이다. 주요 무기물로써 hydroxyapatite로 잘 알려진 calcium phosphate를 통하여 뼈는 특유의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광학 현미경(LM)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토끼와 닭 대퇴골의 구조를 연구하였다. 구성물질 분석은 대퇴골의 calcium, potassium, oxygen 분포 변화를 알아보는데 이용하였다. 실험은 두 구조 범위에 중점을 두었다: micro scale에서 치밀골의 배열을, nano scale에서 콜라겐 섬유와 apatite 결정을 관찰하였다. Micro scale에서 닭과 토끼 대퇴골 구조의 뚜렷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Nano scale에서는 apatite 결정의 모양과 크기 그리고 콜라겐의 배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끼와 닭은 종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nano scale에서는 화학성분과 구조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 바이러스(RSV, RBSDV)와 애멸구의 간편한 VC/RT-PCR 유전자 진단기술 (Convenient Genetic Diagnosis of Virion Captured (VC)/RT-PCR for Rice Viruses (RSV, RBSDV) and Small Brown Plant Hopper)

  • 김정수;이수헌;최홍수;조점덕;노태환;김진영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57-62
    • /
    • 2009
  • 우리나라 벼에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 중 애멸구에 의하여 전염하는 벼줄무의잎마름병(RSV)과 벼검은줄오갈병(RBSDV)에 대한 간편한 유전자 진단법인 VCHT-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벼 잎의 경우 즙액 추출 완충액은 0.5% sodium sulfite를 첨가한 0.01 M 인산완충액(pH 7.0)을 기본 완충액으로 이용하고 애멸구를 진단할 경우에는 기본 완충액에 2% PVP을 첨가하였을 때 VC/RT-PCR 진단이 잘 되었다. VC/RT-PCR을 이용한 진단에 적합한 RSV와 RBSDV 프라이머를 선발하였고 이것을 이용하여 동시진단으로 경기도 김포, 평택, 시흥지역에서 채집한 애멸구의 RSV와 RBSDV의 보독충을 쉽고 경제적으로 진단 할 수 있었다. ELISA에 의한 진단결과와 비교할 때 세 지역을 합하여 RSV에 대한 평균 보독충률은 9.2%로 동일하였으나 보독충 중 일부가 ELISA와 VC/RT-PCR 두 방법에 의한 진단결과가 다르게 나온 것은 RSV의 혈청학적, 유전적 계통 존재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포장에서 채집한 애멸구의 VC/RT-PCR 진단효율은 RSV와 RBSDV를 동시에 진단하므로 써 RSV만 진단이 가능한 ELISA 결과 보다 3.2% 높았다.

인삼의 생육과 무기양분의 계절적 변화 (Studies on the Growth and Change of Mineral Nutrient Contents in Ginseng (Panax ginseng) Plant During the Growing Process)

  • 이종철;안대진;변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1-475
    • /
    • 1987
  • 인삼의 계절적 물질생산과 생장특성을 분석하고 식물체내의 무기양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5년에 2년생 인삼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의 생장은 6월상순, 경장의 성장은 6월하순에 각각 완료되었다. 2. 생육시기별 근중변화는 V자형을 보였다 즉, 5월하순까지는 근중이 감소되었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증가되었으며 9월후에도 근중증가가 인정되었는데 근중증가 완료는 낙엽기에 좌우될 것이다 3. 근의 길이 생장은 5월상순부터 시작되어 8월 상순에 완료되었다. 4. 상대생장률, 순동화율 및 개체군생장 속도는 출아직후에 부치를 보였으며 5월에 최대치를 보였고 그후 점차 감소되었다. 5. 엽면적비는 30~76$\textrm{cm}^2$/g의 범위로 5월에 최대치를 보였으며 그 후 점차 감소되었다. 6. 지상부에 함유되에있는 질소, 가리의 함량은 생육후기에는 감소되였으나 석회의 함량은 증가되었고 인산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생육시기에 따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7. 근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 인산, 가리의 함량은 지상부생육 성기에 급격히 감소되었고 생육후기에는 증가되었으나 석회 및 마그네슘의 함량은 생육시기에 따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Cellulomonas sp. CS1-1으로 부터의 $\beta$-Glucosidase의 합성조절과 그의 효소학적 성질 (Biosynthetic Regul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beta$-Glucosidase from Cellulomonas sp. CS 1-1)

  • 이희순;민경희;배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9-125
    • /
    • 1988
  • Cellulomonas sp. CS1-1 생성의 $\beta$-glucosidase는 cell-bound 효소이었으며, Avicelase와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는 extracellular 효소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Cellobiose나 CMC 최소배지에서의 균의 생장은 cellobiose보다 glucose 첨가시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Cellobiose나 CMC 최소배지에서의 $\beta$-glucosidase 생합성은 glucose 첨가로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CMC 최소배지에 cellobiose를 첨가하였을 경우, glucose에 의한 억제 효과와는 반대로, 효소의 생성은 오히려 촉진되었다. 그 외의 탄소원에 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CMC, 전분, maltose 등의 첨가도 glycerol, arabinose, xylose, trehalose의 첨가시 보다 효소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beta$-glucosidase 생합성은 glucose에 의하여 catabolite repression을 받았으며, cellobiose, CMC, starch등은 다른 당류보다 효소생성을 현저히 유도하였으므로, 이 효소는 inducible enzyme임을 알 수 있었다. 효소생성에 미치는 질소원을 조사한 결과는 yeast extract가 peptone이나 ammonium sulfate보다 효소생성을 증가시켰다. 효소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50mM MgCl$_2$가 포함된 1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에서 효소의 역가가 증가하였고, 최적 pH는 6.0이었고 최적온도는 42$^{\circ}C$ 이었다. p-nitrophenyl-$\beta$-D-glucoside의 농도에 대한 glucose의 Km값은 0.265mM 이었고 $\beta$-D(+)-glucose에 대한 Ki값은 9.0 mM 이었다.

  • PDF

비닐피복 땅콩 재배시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국소시비 효과 (Effect of Band Spotty Fertilization on the Yield and Growth of Peanut(Arachis hypogaea L.) in Plastic Film Mulching Cultivation)

  • 양창휴;류철현;신복우;정영근;강승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98-302
    • /
    • 2006
  • 비닐피복작물 재배시 시비효율 증대 및 생력시비기술 확립을 위하여 파종과 동시에 시비가 가능한 토중시비기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파종기와 시비기를 이용하여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시비간격 30 cm, 시비깊이 15 cm, 파종간격 25 cm로 배수가 양호한 사양토에서 땅콩을 재배한 후 작업정도, 토양화학성, 양분흡수량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땅콩의 파종 소요시간은 인력($173hr\;ha^{-1}$)에 비하여 90% 이상 노력절감 효과가 있었으나 출현일수는 4일정도 지연되었으며 입모율은 관행구에 비하여 11~18% 낮았다. 시험 전 토양에 비하여 시험 후 토양의 총질소 함량은 증가한 반면에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륨함량은 감소되었으며 토양의 질산태질소 합량은 생육초기에서 중기까지 국소시비구에서 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땅콩의 질소흡수량은 근류균에 의한 자체 고정량이 많아 시비방법 및 시비량별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인산 및 칼리흡수량은 국소시비 70%, 100%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땅콩의 생장속도는 시비방법별 공히 파종 후 120일에 가장 많이 증가되었고 관행시비구와 국소시비 70%구에서 생육후기까지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국소시비 70%구는 협수가 많고 협실비율 및 완숙립중 비율이 높아 종실중이 관행시비구 $3,150kg\;ha^{-1}$에 비하여 4% 증수되었다.

1992년과 1999년의 농가 비료이용 실태 변화 비교 (Comparison of Farm Based Fertilizer Usage in 1992 and 1999)

  • 김석철;박양호;이연;이주영;김충수;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44-355
    • /
    • 2003
  • 우리나라는 농경지 단위면적 당 화학비료 시용량이 높은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화학비료 시용량 저감을 위해 정부에서는 1990년 들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9년 전국의 시군을 대상으로 농가비료이용실태를 작물별, 농지이용유형별로 조사하여 1992년 농가비료이용실태와 비교하였다. 주요 작물에 대한 유기질비료의 평균 시용율은 최근 크게 감소하였으나, 시설재배지와 밭토양에서의 유기물 시용율은 1992년과 큰 변화가 없었다. 농가포장의 화학비료 시용율은 대부분의 곡류와 채소작물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학비료 중 질소질 비료 시용율 감소는 거의 없었으며, 인산과 칼리질 비료의 시용량 감소가 전체 화학비료 시용량에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화학비료 시용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작물에 대한 비료사용량은 추천 시비량을 크게 초과하고 있었다. 양분 투입량과 회수량간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양분수지를 계산한 결과, 질소의 과잉시용은 거의 감소되지 않고 있으나, 인산과 칼리의 시용량은 1992년에 비해 1999년 각각 21%와 13%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홍보에도 불구하고 1999년 현재까지 농가포장에서는 비료가 과잉시용되고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토양검정치를 기준으로 산정한 추천시비량 수준으로 양분 시용량의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지원과 지도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