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erior fossa tumor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뒷목 근육통 증상을 보인 소뇌의 해면 혈관종 1예 (Cerebellar cavernous hemangioma that presented with posterior neck myalgia)

  • 백승아;윤경림;심계식;방재승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63-1367
    • /
    • 2008
  • 해면 혈관종은 비교적 양성의 병변이며 다량의 뇌출혈을 일으키는 것은 드물어서 수술의 적응증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특히 소뇌 같은 후두와나 뇌간에서 발생한 해면 혈관종에서의 출혈은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비가역적인 뇌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망한 경우도 보고되고 있어서 소뇌의 압박증상이 있으면 응급수술을 해야 한다. 병변으로부터 반복되는 출혈로 인해 뒷목 근육통으로 오인되었던, 소아에서는 드물게 소뇌에 생긴 해면 혈관종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히펠 린다우병 환자에서 소뇌와 척수에 동시에 발생한 혈관아세포종 - 증례보고 - (Multiple Hemangioblastomas on Cerebellum and Spinal Cord in a Patient of Von Hippel-Lindau Disease - A Case Report -)

  • 윤창식;하영수;박종운;현동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8호
    • /
    • pp.1023-1027
    • /
    • 2001
  • Hemangioblastomas are rare benign tumor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at commonly occur in the posterior fossa around the 4th ventricle. In case of von Hippel-Lindau disease, hemangioblastomas involve multiple regions such as cerebellum, spinal cord and brainstem but, rarely show simultaneous involvement of cerebellum and spinal cord.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multiple hemangioblastomas that were located at the cerebellum, cervical cord and conus medullaris and also had multiple lesions that a part of von Hippel-Lindau disease ; retinal angioma, syringomyelia, multiple cyst on kidney and pancreas, renal cell carcinoma on left kidney. Hemangioblastomas on cerebellum and spinal cord were removed totally, retinal angioma was treated with laser photocoagulation and renal cell carcinoma was also totally excised.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von Hippel-Lindau disease had multiple located hemangioblastomas on cerebellum, cervical cord and conus medullaris with review of literature.

  • PDF

Three Cases of Intracranial Clear Cell Meningioma

  • Kim, Yeon-Seong;Kim, In-Young;Jung, Shin;Lee, Min-Cheo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1호
    • /
    • pp.54-60
    • /
    • 2005
  • The clear cell meningioma[CCM] is a rare and recently described as a histologic variant of meningioma. It has been identified and included in new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classifica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CNS] tumors recently. The CCMs are histologically characterized by sheets of spindled to polygonal cells with clear cytoplasm, which is the expression of high glycogen concentration. The CCMs occur in younger patients and usually are located in the spinal canal and posterior fossa. The most interesting aspect of CCM is the high recurrence rate and aggressiveness. Poor outcome has been shown in intracranial and spinal tumor location, but the indicators that predict outcome have not been established. Until now 22 intracranial CCM cases had been reported in English literature and 3 cases in Korean. The authors report two cases of CCM located at cerebral convexity and one at cavernous sinus those were totally removed [Simpson Grade $I{\sim}II$] by subfrontal, frontal and orbitocranial approaches. The clinical, radiological, histopathological, and neurosurgical features of these cases are discussed with the relevant literatures.

A simple technique for repositioning of the mandible by a surgical guide prepared using a three-dimensional model after segmental mandibulectomy

  • Funayama, Akinori;Kojima, Taku;Yoshizawa, Michiko;Mikami, Toshihiko;Kanemaru, Shohei;Niimi, Kanae;Oda, Yohei;Kato, Yusuke;Kobayashi, Tadaharu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9권
    • /
    • pp.16.1-16.6
    • /
    • 2017
  • Background: Mandibular reconstruction is performed after segmental mandibulectomy, and precise repositioning of the condylar head in the temporomandibular fossa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preoperative occlusion. Methods: In cases without involvement of soft tissue around the mandibular bone, the autopolymer resin in a soft state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and buccal and lingual sides of the 3D model on the excised side. After hardening, it is shaved with a carbide bar to make the proximal and distal parts parallel to the resected surface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mandibular resec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s that require resection of soft tissue around the mandible such as cases of a malignant tumor, right and left mandibular rami of the 3D model are connected with the autopolymer resin to keep the preoperative position between proximal and distal segments before surgical simulation. The device is made to fit the lower border of the anterior mandible and the post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ramus. The device has a U-shaped handle so that adaptation of the device will not interfere with the soft tissue to be removed and has holes to be fixed on the mandible with screws. Results: We successfully performed the planned accurate segmental mandibulectomy and the precise repositioning of the condylar head by the device. Conclusions: The present technique and device that we developed proved to be simple and useful for restoring the preoperative condylar head positioning in the temporomandibular fossa and the precise resection of the mandible.

구강인두 종양의 방사선 치료 성적 (Primary Radiotherapy of Oropharyngeal Carcinoma : Experience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1980. 1-1986. 12))

  • 박영환;박우윤;조철구;고경환;류성렬;심윤상;오경균;이용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89-198
    • /
    • 1990
  • 저자들은 1980년 1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66명의 구강인두 편평상피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를 얻었다. 구강인두 종양의 원발 부위별 환자분포를 보면 편도부위 종양이 42예로 가장 많았고 연구개 종양이 12예, 구강저 종양이 9예 그리고 측인두 및 후인두벽 종양이 3예순이었다. 구강인두 부위에 침범한 병소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경우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국소관해율은 T1과 T2 그리고 T3와 T4 병기에서 각각 80%와 77% 그리고 73%와 40%였고 전체적으로 70%의 국소관해율를 보였다. 국소관해율은 원발병소의 병기가 낮을수록, 또한 원발부위로 볼때 연구개부위 종양에서, 그리고 분화도상에 미분화된 세포를 가진 경우에 가장 높았다. 국소적 임파선의 병기에 따른 국소임파관해율은 N1과 N2 그리고 N3 병기에서 각각 96%와 63% 그리고 40%였으며 전체적으로 70%의 국소임파관해율를 보였다.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T1과 T2에서 73%, T3와 T4에서 46%였다(p<0.05). 또한, 편도부위에 생긴 종양의 경우 5년 생존율은 주위조직으로의 침범이 없는 군이 있는 군보다 통계적인 유의차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볼때 방사선 요법이 해부학적 형태 유지 및 기능적인 보존측면에서 구강인두 종양에 대한 일차적인 치료방법으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The 1998, 1999 Patterns of Care Study for Breast Irradiation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in Korea)

  • 서창옥;신현수;조재호;박 원;안승도;신경환;정은지;금기창;하성환;안성자;김우철;이명자;안기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192-199
    • /
    • 2004
  • 목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 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를 계획하였다. 그 첫 단계로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와 1999년도에 유방보 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27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 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 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미용 효과 등 10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5개 병원에서 입력된 261명의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결과: 연령은 24$\~$85세(중앙값 45세)였다. 병리학적 유형은 관상피암종이 88.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수질성암종이 4.2$\%$, 소엽상피암종이 1.5$\%$였다.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5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이 59.7$\%$,T2가 29.5$\%$,Tis가 8.8$\%$였으며 전체의 42.5$\%$가 Tlc에 해당하였다. 전체 환자의 91.2$\%$에서 액와림프절 곽청술이 시행되었고 69.7$\%$의 환자들에서는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었으며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5.3$\%$, 4$\~$9개가 4.2$\%$,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1.9$\%$였다. 따라서 병기 0기가 8.4$\%$, I기, 44.9$\%$, IIA기, 33.3$\%$, IIB기 8.4$\%$였다. 에스트로겐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수용체 검사는 각각71.6, 70.9 $\%$에서 이루어졌다. 유방보존적 수술 방법은 단순절제술(excision/lumpectomy)이 37.2$\%$, 광범위절제술이 11.5$\%$ 사분원절제술(quadrantectomy)이 23$\%$, 부분절제술(partial mastectomy)이 27.5$\%$에서 시행되었다. 수술 후 10예 (3.8$\%$)에서 절제연이 양성이었고 10예는 절제연이 종양에서 2 mm 이내였다. 항암화학요법은 I기에서 54.7$\%$, IIA기에서 83.9$\%$, IIB에서 100$\%$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들이 계획된 방사선량의 90$\%$ 이상을 조사 받음으로써 순응도가 매우 높은 치료임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의 범위는 전체의 88$\%$가 유방만 치료받았고 5$\%$는 유방과 쇄골상부림프절을, 4.2$\%$는 유방, 쇄골상부림프절에 액와림프절후방추가 조사를 하였으며, 유방, 쇄골상부림프절과 함께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였던 예는 1예(0.4$\%$) 뿐이었다. 유방 치료에 사용된 방사선의 종류는 Co-60가 8명(3.1$\%$), 4 MV X-ray가 115명(44.1$\%$), 6 MV X-ray가 125명(47.8$\%$)이었으며 11명(4.2$\%$)은 10 MV X-ray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유방 전체에 45$\~$59.4 Gy (중앙값 50.4),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조사가 8$\~$20 Gy (중앙값 10 Gy)로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50.4$\~$70.4 Gy (중앙값 60.4 Gy)였다. 결론: 조기 유방암에 대한 진단과 병기 결정 과정,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되는 방사선치료는 큰 편향이 없이 권고안대로 잘 시행되고 있었다. 다만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치료는 비교적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이것이 치료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적조사연구가 필요하며 방사선치료 계획상의 세부 사항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