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er Desig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현대 포스터에서의 착시적 표현 (The illusional expression seen in the modern poster art)

  • 노시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71-80
    • /
    • 2002
  • 현대의 포스터에에서는 눈의 착각과 트릭을 이용한 표현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스터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개성적 표현을 $\ulcorner$착시적(錯視的)$\lrcorner$이라고 하는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현대 그래픽 디자인의 하나의 경향적 표현으로써 부조화(浮彫化)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것에는 심리학의 $\ulcorner$착시$\lrcorner$ 보다도 넓은 정의와 개념이 필요하다. 현대 포스터에서 볼 수 있는 착시적 표현을 통일화하기 위해서 새로운 $\ulcorner$착시$\lrcorner$의 정의를 시도해 봄으로써 현대 포스터에 영향을 준 과거의 시각예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착시적 표현에 대한 관심도는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 더욱 많이 있었음을 알수 있었다. 착시를 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르네상스의 원근법을 시작하여 15세기 이후의 유럽에서 유행한 속임수 그림, 알친볼드(Arzhibauld)의 회화, 아나몰포즈(anamolphoses) 등에 귀착되며, 근대와 현대에서는 슈르리얼리즘(surrealism)과 에셔(Escher)의 작품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현대 포스터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중국과 일본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여백의 비교 및 융합연구 -포스터 디자인에서 여백 표현을 중심으로- (Comparison and Convergence of the Blank Space in Chinese and Japanese Graphic Design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Blank Space in Poster Design)

  • 혜문천;김원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53-162
    • /
    • 2017
  • 이 논문은 중국과 일본의 상이한 미적, 철학적 차이의 이해와 융합을 기반으로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여백을 통한 새로운 표현 창출을 위한 방법에 대해 논했다. 그래픽 디자인에서 동양의 특징적인 여백을 표현하는 것은 디자인의 예술적 표현과 문화적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디자인의 창작의 가능성을 높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중국과 일본의 미술 및 디자인에서의 여백에 대한 인식과정과 표현과정을 중국의 전통회화의 철학과 일본의 현대 그래픽 디자인의 방법이 적용된 포스터 디자인을 통해 비교∙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포스터 디자인에서 여백을 통해 중국 현대 그래픽 디자인의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써 융합의 개념을 적용해 그래픽 작업에서의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또한, 여백에 대한 융합적 개념에 의한 표현 창출은 자신의 작품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한국 영화포스터 사진 분석: 오형근 작품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hotography in Korea Film Posters: Focused on Photographs of Hein-kuhn Oh)

  • 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8-628
    • /
    • 2014
  • 영화포스터 사진은 2시간 남짓 긴 시간동안 이어지는 영화의 내용을 축약한 한 장의 이미지다. 한 장의 이미지 속에는 영화의 내용을 알리거나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사진 혹은 그림과 함께 영화제목이나 각종 카피도 표기되어, 이 모든 것을 담으려면 여러 가지 디자인 요소들이 조화롭게 구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영화포스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사진이라 본고는 영화포스터의 기능, 역할, 유형을 알아본 뒤 포스터 사진 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현재 영화포스터 사진제작은 전문회사가 따로 있지만 사진계에서 이미 인정받은 사진가에게 촬영을 의뢰하기도 한다. 오형근은 2000년대 초 중반 영화포스터 사진을 활발히 제작한 사진가로, 본고에서는 그의 작품 3편을 선정한 후 '영화 내용이 포스터 사진에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가'를 다루었다. 또 3편의 작품에 오형근 개인 초상사진 작업 형태와 비슷한 부분이 발견되어,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사진미학적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하였다. 3편의 작품은 <조용한 가족(1998)>, <장화, 홍련(2003)>,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2003)>이다.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소주광고 포스터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Precautions of Soju Advertising Posters Using Eye Tracking)

  • 황미경;권만우;박민희;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68-375
    • /
    • 2020
  • In this study, the area of interest(AOI) of Soju ad poster was tracked for analysis the time to frist fixation, the average of fixation duration and count by the study index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sual attention was higher the face than the body shape of the ad model. This means "when we look at printed ads, we see picture elements first, not language one" but language elements can't be overlooked either. Also, the importance of the model role could be verified by measuring the visual attention on the Soju ad pos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further research on ad posters is carried out and scientific and quantitative interpretation methods are presented, it can be used as product marketing data that can be reflected in ad model selection and poster design.

멤피스 스타일 무빙 포스터 유형에 따른 모션그래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tion Graphics according to Memphis Style Moving Poster Types)

  • 우웨잉;이창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19-527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age, the moving poster show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nd update.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moving posters, we studied the elements of motion graphic movement of moving posters. Through this specific case,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oving posters expressed in Memphis style to explore their strengths and applicability.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popularity of moving posters is increasing, it is good to develop and utilize the study of Memphis moving posters.

선거공약 포스터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 연구 -2018 서울시장선거의 특정후보 포스터 중심으로- (Study on the Visual Design Elements of Election Posters -Focused on a Specific Candidate's Poster from the Mayor of Seoul Election 2018-)

  • 문다영;시모네 카레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433-438
    • /
    • 2019
  • 본 연구는 2018년에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나왔던 선거 포스터 중 특정 후보인의 포스터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이 포스터가 훼손된 이유에 관해서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와 심층면담을 진행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디자인 요소가 훼손된 포스터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 선거공약포스터의 훼손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2차 실증 연구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특정 서울시장 후보의 포스터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에 관하여 연령대별 여성과 남성 대상자들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견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가지 지점을 발견했다. 첫째, 시각적 디자인 요소들은 공약포스터의 훼손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두 번째, 메시지를 담고 있는 정치적 슬로건이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시각적 디자인 요소가 선거공약 포스터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조사로써, 국내 선거 공약 포스터의 훼손과 연관지어 연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국내 선거공약 포스터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가 영향력 있게 발전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타나카 잇코(Tanaka Ikko) 산케이칸세이노(산경관세능(産經觀世能)) 포스터의 인상과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ession and expression tendency of the sankei kanseino poster by Ikko Tanaka)

  • 조형수;하상오;카와치 토모키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89-100
    • /
    • 2007
  • 본 연구는 타나카 잇코(Tanaka Ikko)씨의 작품을 통해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그의 작품 경향이 실제로 인상평가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와 그로 인한 표현경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에 평가 대상으로 선정한 포스터는 일본의 그래픽 디자이너 타나카 잇코(Tanaka Ikko)씨의 작품중 산케이신문사 주최의 칸세이노(관세능(觀世能)) 포스터 시리즈 중 9점을 선정했다. 샘플의 선정 이유는 지극히 구조적인 성격이 강하며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인자로 일반적으로 타나카 잇코(Tanaka Ikko)씨의 포스터 작품을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인자로 사용가능한 결과를 얻었다. 군집분석에서 인상이 나뉜 3그룹별 포스터의 표현경향을 고찰해 보면 먼저 제1그룹의 경우는 전통적 소재를 활용하여 동양적 이미지가 강하다. 제2그룹의 경우는 기하학적 도형을 심플하게 배치하여 모던한 이미지가 강하다. 제3그룹의 경우는 전통적 소재를 모던한 이미지로 표현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타나카 잇코씨(Tanaka Ikko)의 작품 경향은 $\ulcorner$일본의 전통적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발전시켰다$\lrcorner$ 고 요약할 수 있다.

  • PDF

중국작가 황해(黃海)의 콘셉트 영화포스터에 나타난 시각적 표현방법 (Visual Representation in 'Concept Movie Posters' Designed by Chinese Artist HuangHai)

  • 동서원;양종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81-590
    • /
    • 2019
  • 중국에서 영화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영화포스터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다. 그 중에서 '콘셉트 포스터'는 홍보 초기 단계에서 영화에 대한 첫인상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영화 홍보에 있어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아직까지 창의성을 인정받고 있는 영화 포스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콘셉트 포스터의 창작에 있어서 함축적 이미지 구상과 독창적 표현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업성뿐만 아니라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는 황해의 콘셉트 포스터에 나타난 시각적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콘셉트 포스터의 예술적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황해는 영화의 주요 장면이나 유명한 배우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영화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이미지를 구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니멀리즘, 색채, 타이포그래피, 회화적 이미지를 활용해 영화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이미지를 구상해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영화포스터 디자인을 제고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관리를 위한 앱 기반과 포스터 기반 자가관리 작업장 스트레칭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n App-based and Poster-based Self-managed Workplace Stretching Program on Musculoskeletal Symptoms of Workers in Small Manufacturing Businesses)

  • 이연숙;채덕희;김자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0-13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n 8 week, self-managed, app-based and poster-based stretching program on musculoskeletal symptoms, flexibility, stretching frequenc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knowledge in small manufacturing business workers. Methods: This was a cluster randomized,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orkers were assigned to either an app-based (n=20) or a poster-based (n=25) stretching intervention. Both groups received an educational class. The app group also received mobile phone text messages and an app with stretching videos, stretching alarms, stretching records, and information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poster group received workplace stretching pos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September 2018 and analyzed with the 𝑥2 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Significant increase in flexibility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noted for both groups, but social suppor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knowledge were significantly changed only in the poster group. More than half of the workers practiced stretching at least 3 times a week. Conclusion: The 8 week, self-managed, workplace stretching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flexibility and stretching frequency to at least 3 times a week. However, effective intervention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could not be 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