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Review Search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3초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A Lack of Focus for Lifestyle Redesign

  • Lee, Jia Ern;Loh, Siew Yi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551-2555
    • /
    • 2013
  • Background: Physical activity is a component of lifestyle activity and one that has been increasingly seen as 'the medicine' to cure chronic diseases, including certain types of cancer. Physical activity has potent impact on mortality but only if it is well incorporated as lifestyle activity may it allow a better outcome of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n the evidence of physical activity being actively promoted as lifestyle activity amongst cancer survivors, for the last five years. Materials and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corporated as lifestyle activity through MEDLINE with the associated terms "physical activity or exercise", "quality of life" and "cancer survivor or people with cancer", 'lifestyle' an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period of search was confined to publication within January 2008 till December 2012 and further limits were to full text, peer reviewed, abstract available and English language. Results: Based on inclusion criteria, 45 articles were retrieved. Of these, 41 were excluded after examining the full paper. Four final articles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PA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post treatment cancer survivors and positive associations were found. Conclusions: Physical activity is related to better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Only one paper had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incorporation for a lifestyle redesign, but none overtly or actively promoting exercise interventions as an essential lifestyle activity. With increasing survivorship, the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must be aggressively and overtly promoted to optimize its positive impact.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의원 리뷰 분석과 마케팅 제언 (Reviews Analysis of Korean Clinics Using LDA Topic Modeling)

  • 김초명;조아람;김양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3-86
    • /
    • 2022
  • Objectives: In the health care industry, the influence of online reviews is growing. As medical services are provided mainly by providers, those services have been managed by hospitals and clinics. However, direct promotions of medical services by providers are legally forbidden. Due to this reason, consumers, like patients and clients, search a lot of reviews on the Internet to get any information about hospitals, treatments, prices, etc. It can be determined that online reviews indicate the quality of hospitals, and that analysis should be done for sustainable hospital marketing. Method: Using a Python-based crawler, we collected reviews, written by real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Korean medicine, about more than 14,000 reviews. To extract the most representative words, reviews were divided by positive and negative; after that reviews were pre-processed to get only nouns and adjectives to get TF(Term Frequency), DF(Document Frequency), and TF-IDF(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Finally, to get some topics about reviews, aggregations of extracted words were analyzed by using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methods. To avoid overlap, the number of topics is set by Davis visualization. Results and Conclusions: 6 and 3 topics extracted in each positive/negative review, analyzed by LDA Topic Model. The main factors, consisting of topics were 1) Response to patients and customers. 2) Customized treatment (consultation) and management. 3) Hospital/Clinic's environments.

소아환자를 위한 음악: 무작위 임상연구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Music for Pediatric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이진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3
    • /
    • 2013
  • 본 연구는 소아환자대상 최근의 음악치료 및 음악을 사용한 임상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3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 사이에 영어로 발표 된 무작위 임상 및 교차설계 연구들을 자료로 수집하였고, 최초 검색 되었던 1023개의 논문 중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영어문헌 15건을 선별하였다. 선별 결과 연구 대상자는 1개월에서 만 18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으로 11명에서 150명 까지 표본크기가 다양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는 987명으로 집계되었다. 선별된 연구들은 음악요법 및 음악치료 연구로 분류되어 전반적인 유형, 연구절차와 방법론, 임상접근법, 측정도구 및 연구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총 7건의 음악요법과 8건의 음악치료로 분류된 연구들은 7개영역의 종속변수를 36종류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음악의 임상적 사용에 있어 음악의 선택, 종류 및 임상접근방법에 큰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절차와 방법론의 분석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주요 연구절차에 대한 기술이 충분치 않고 특히 무작위배정(Randomization), 배정순서 은폐(Allocation Concealment), 이중 또는 부분은폐(double or partial blinding) 및 참여자 감소율(Attrition Rate)과 같은 방법론적 표준에 미치지 못함이 도출되었다. 전반적인 연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긍정적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연구 방법론적 문제들과 임상접근법들의 이질성으로 인해 그 결과가 편향에 의해 오염되거나 신뢰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음악이 소아 환자들의 신체 및 사회 심리적 필요를 다루는 도구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제안할 수는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로서는 절차와 접근법이 보다 엄격하고 균일하여 추후 재현이 가능한 연구들이 다수 요구됨을 알 수 있다.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7-90
    • /
    • 2009
  • 목적: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결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이었고, 검색어는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와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11개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 I과 수준 II, IV이었다. 분석내용으로는 감각 통합중재의 대상군과 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 따라 중재결과를 측정하는 도구 및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중재 대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30.7%로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발달장애와 조산아가 각각 15.4%이었다. 2. 감각통합중재 방법으로는 J. Ayres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방법이 36.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결과측정 영역은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역이 40.63%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수행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8.13%, 감각기초 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5.0%이었다. 3. 감각통합중재 효과는 운동수행기술의 중재결과(66.7%)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감각기초를 위한 중재결과가 62.5%, 그리고 행동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경우가 61.5% 순으로 분석 되었다. 학습과 관련하여 쓰기기술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각통합중재는 운동수행기술과 감각기초능력 향상, 그리고 행동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이었으나 학습에 관하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감각통합중재의 일차적인 효과가 지속되어학습이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법 및 평가도구, 중재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감각통합 중재방법: 체계적 고찰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박영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8-59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제공되는 감각통합중재 방법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로 하였다. 검색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디비피아(DBpia)이었다. 검색어는 '자폐', '자폐스펙트럼', '감각통합', '중재'이었다. 분석에 사용된 연구는 총 10개로, 연구 근거의 질적수준과 방법론적 질적수준으로 분석하였고, 결과는 대상자, 중재, 대조, 결과의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로 제시하였다. 결과 : 연구분석에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 IV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수준 II 이었다. 근거의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우수'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보통'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 부모이었고, 실험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빈도가 가장 높았다. 중재는 적응행동과 감각조절을 확인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중재측정을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과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분석에 사용된 10개의 모든 연구에서 감각통합중재로 인해 다양한 결과 값에 긍정적인 향상 및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결론 : 최근의 임상환경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감각통합중재방법과 근거의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거래비용 관점으로 본 클래식 음악공연 관람수요 (Demand for Classical Music Concerts from Transaction Cost Perspectives)

  • 이창진;김재범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3-28
    • /
    • 2014
  • 공연예술 수요는 가격 이외의 사회 경제적 요인들 그리고 교육과 경험 지식 같은 문화자본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공연에 대한 지식과 경험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별 공연이 가지는 정보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거래비용 관점에서 분석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공연장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선택된 공연의 장르, 가격, 인지도 등의 요소가 유료관람객 수에 준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 거래비용 특성에 따라 수요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격과 수요는 반비례 관계로 알려져 있으나, 분석 결과 일정 가격 이상에서는 정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해석해보면, 가격이 상품의 질을 평가하는 정보로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관객이 공연관람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기대효용에 가격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공연의 가격에 따른 소비자의 거래비용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가 순수한 공연 관람 이외의 사회적 맥락의 소비라는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치매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 분석: 국외 요양시설에 입소한 대상자를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Focusing on the Subjects Admitted to an Overseas Long-term Care Facility)

  • 김선일;정민예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1호
    • /
    • pp.7-25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국외 연구를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CINAHL, MEDLINE complete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는 'dementia or Alzheimer's', 'quality of life', 'long-term care', 'care home', 'nursing home', 'care institution', 'residential care', 'small scale setting'을 사용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1706편이었으나 선정 및 배제기준을 거쳐 10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횡단적 연구 8편을 분석하여 신체적 기능상태, 일상생활활동(ADL) 수행능력, 인지 등의 요인들은 삶의 질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우울증 및 불안, 치매의 중증도(severity), 신경 정신병적 증상 및 약물 사용 여부 등의 요인들은 삶의 질과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했다. 또한, 2편의 종단적 연구를 통해 삶의 질의 변화와 그에 미치는 요인들이 환자가 있는 시설 규모 및 형태보다는 개인적 기능상태 및 사회적 환경 요인들에 의해 변화됨을 확인했다. 결론: 본 연구는 국외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 결정요인을 분석한 10편의 논문을 정리하고,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개인의 다양한 특성과 사회적 환경과 같은 요소들이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치매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해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방법이 장기요양시설에서 개발 및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뜸치료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Moxibustion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배고은;이승환;홍진우;이인;김소연;최준용;한창우;윤영주;박성하;권정남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72-38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moxibustion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Methods: Using the keywords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benign prostatic enlargement", "prostatic hyperplasia", and "moxibustion", we searched papers in numerous databases, including 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s (NDSL),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TKP),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PubMed, Embase, and CENTRAL. The search rang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Papers not matched with inclusion criteria were exclud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RCT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of-bias tool. Where appropriate, meta-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Initially, 77 studies were found. Of these, 11 duplicate studies were removed and 27 were excluded following title and abstract screening. After the remaining 39 papers were scanned, 13 RC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these 13 RCTs, five compared moxibustion therapy and oral medication, seven compared moxibustion plus acupuncture therapy and oral medication, and one compared moxibustion plus acupuncture therapy and sham-moxibustion. The meta-analysis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use of moxibustion therapy in terms of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Quality Of Life (QOL), Maximum Flow Rate (Qmax), Prostate Volume (PV), and the efficacy rate. The meta-analysis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use of moxibustion plus acupuncture therapy in terms of IPSS, QOL, and the efficacy rate. Conclusions: This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suggests that moxibustion is effective intreating BPH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clinical treatment of BPH. However, additional large-scale clinical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MRI, Scintigraphy, FDG-PET and PET/CT for Diagnosis of Multiple Myeloma Related Bone Disease - Which is Best?

  • Weng, Wan-Wen;Dong, Meng-Jie;Zhang, Jun;Yang, Jun;Xu, Qin;Zhu, Yang-Jun;Liu, Ning-H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879-9884
    • /
    • 2014
  • Aim: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FDG-PET, PTE/CT, MRI and scintigraphy for multiple myeloma related bone disease. Methods: Through a search of PubMed, EMBASE, and the Cochrane Library,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study. We estimated pool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likelihood ratios (PLR and NLR), and two sample Z-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for differences in sensitivity, specificity, area under the curve (AUC), and the $Q^*$ index between any two diagnostic modalities. Results: A total of 17 studies were reviewed. The MRI had a pooled sensitivity of 0.88, specificity of 0.68, AUC of 0.897, and $Q^*$ index of 0.828, whereas for MIBI, the corresponding values were 0.98, 0.90, 0.991, and 0.962, respectively, and for bone scan, they were 066, 0.83, 0.805, and 0.740,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values of MIBI were 0.98, 0.90, 0.991, and 0.962, respectively. For PET and PET/CT, the values were 0.91, 0.69, 0.927 and 0.861,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UC, and $Q^*$ index between MRI, scintigraphy, FDG-PET and PET/CT. Conclusions: On the condition that X ray is taken as a reference in our study, we suggested that FDG-PET, PTE/CT, MRI and scintigraphy are all associated with high detection rate of bone disease in patients with MM. Thus, in clinical practice, it is recommended that we could choose these test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Intervention of Swallowing Disorder in Dementia Patient: A Systematic Review)

  • 박치수;함민주;홍덕기;유두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1호
    • /
    • pp.21-33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른 중재접근법과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주요 검색 데이터베이스로 CINAHL, Cochrane CENTRAL, PsycINFO, PubMed, Science Direct를 사용하였으며 2010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검색어는'Dementia', 'Alzheimer disease', 'Deglutition disorder', 'Swallowing disorder', 'Dysphagia'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5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결과 : 중등도-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 포함되었다. 중재 유형은 교정적 중재가 1편, 보상적 중재가 3편, 포괄적 중재가 1편이었다. 중등도-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행동 및 심리관리를 포함한 보상적 중재가 사용되었다.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는 경관식이에 대한 교정적, 보상적 중재 및 다학제적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 중재가 사용되었다. 각각의 연구에서 사용한 모든 중재 방법은 삼킴능력과 관련된 결과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의 진행단계에 따라 중재의 목적과 중재 요소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는 치매환자의 진행단계를 고려하여 개인화된 중재를 시행했을 때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환자의 삼킴장애를 위한 효과적 중재 설계에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