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oning Light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2초

성인여성의 옷차림에 나타난 소비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 Sensibility of Adult Women's Town Wear)

  • 이은령;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guidance in more objective and proper clothing design and a strategy of fashion marketing from consumer sensibilities about adult women's town wear in un-limited circumstance.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sensibility and consumer sensibility of Good and Bad women's town wear, 2) to compare fashion sensibility with consumer sensibility of Good and Bad women's town wear, and 3) to investigate a dimension of Good and Bad women's town wear in fashion sensibility. Because they can affect estimators, the collected photos at shopping mall, department stores, and churches (S/S, F/W: April 28, 2004~May 1, 2005) were prepared removing face and background and attached on gray board. To investigate consumer sensibilities, the stimulus were 80 photos (40 for 'good', 40 for 'Ba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bi-polar 25 pairs adjective scale of consumer sensibility was distributed 600 female (20's~40's) living in Busan (June 28, 2005~July 11, 2005).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MDS. The results of pract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ashion sensibility on the preference in Good and Bad women's town wear is closely related in 'want to buy-do not want to buy' and buying need is 'like-dislike'. For the fashion sensibility dimension at Good women's town wear, X axis showed from Young to Adult and Y axis showed from Hard to Comfortable following positioned design characters. For the fashion sensibilities dimension at Bad women's town wear, X axis showed from Young to Adult, Y axis showed from Normal to Unique, and Z axis showed from Heavy to Light following positioned design characters.

LiDAR의 높이 및 밀도 정보를 이용한 도시지역의 3D기반 분류 (3D based Classification of Urban Area using Height and Density Information of LiDAR)

  • 정성은;이우균;곽두안;최현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373-383
    • /
    • 2008
  • 지표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법 중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어온 기법은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과 같이 평면적인 정보 수집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본 논문에서 다루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레이저 측량기술을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고해상도의 비정규분포 Point 형태의 3차원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와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의 결합을 통해 좌표 값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LiDAR의 3차원 Point 정보와 좌표 값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한 3차원 모델링 수행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LiDAR의 반사강도와 기하/지형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자료를 취득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여 도시지역을 높이와 밀도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으로 분류하였다. LiDAR를 통해 획득된 원시자료로부터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Point Data의 개수를 지면과 비지면 요소의 비율로 추정하여 지형과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3차원 토지피복분류도를 작성하였다. 신호의 강약을 구분하는 기준은 통계적 방법(Jenk's Natural Break)을 통해 추정된 값을 사용하였으며, 지표면 반사비율에 따라 세부지역으로 구분하여 크게 고밀도 저밀도 식생지역과 비식생지역으로 구분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Atmospheric Turbulence on the Ground Calibration of a Star Sensor

  • Xian Ren;Lingyun Wang;Guangxi Li;Bo Cui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8권1호
    • /
    • pp.38-44
    • /
    • 2024
  • Under the influence of atmospheric turbulence, a star's point image will shake back and forth erratically, and after exposure the originally small star point will spread into a huge spot, which will affect the ground calibration of the star sensor. To analyze the impact of atmospheric turbulence on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star's center of mass, this paper simulates the atmospheric turbulence phase screen using a method based on a sparse spectrum. It is added to the static-star-simulation device to study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turbulence in star-point simulation,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star points under different atmospheric refractive-index structural constan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tructure function of the atmospheric turbulence phase screen simulated by the sparse spectral method has an average error of 6.8% compared to the theoretical value, while the classical Fourier-transform method can have an error of up to 23% at low frequencies. By including a simulation in which the phase screen would cause errors in the center-of-mass position of the star point, 100 consecutive images are selected and the average drift variance is obtained for each turbulence scenario; The stronger the turbulence, the larger the drift variance. This study can provide a basis for subsequent improvement of the ground-calibration accuracy of a star sensitizer, and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effect of atmospheric turbulence on the beam.

대전시 상징물과 도시 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Image of the Landmarks in Daejeon)

  • 변재상;김대수;이정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3-63
    • /
    • 2010
  • 도시의 미래 모습을 결정하는 도시경관계획의 단계에서 도시 이미지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 형성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선행과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다차원척도법과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하여 계량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들의 인지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량화된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전시 이미지는 주로 역사성, 역동성, 규모성 등에 의해 평가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대전시는 전체적으로 새롭고 변화하는 이미지가 강한 도시로 인식되었으며, 공무원들에게는 소박한 느낌의 도시, 전문가들에게는 평범한 느낌의 도시로 인식되고 있었다. 따라서 소박하고 평범한 이미지에 대응할 수 있는 대전시 정체성과 개성을 찾는데 보다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2. 대전시의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상징물 혹은 상징적인 공간으로는 갑천이나 둔산 신도심, 대덕연구단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유성온천과 원도심, 엑스포 공원 등은 대전시와 이미지가 크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대전시의 이미지를 희석시키는 낙후된 시설과 상징물들의 현대적 리모델링이 필요하다. 3. 도시 이미지의 선호도를 알 수 있는 ‘좋은-싫은’의 형용사 이미지의 경우, 일반인과 전문가들에게 있어서는 모두 싫어하는 경향을 나타나고 있었으나, 공무원들은 좋아하는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세 집단 모두 좋아하는 둔산 신도심이나 대덕연구단지 등과 같은 현대적 첨단산업의 이미지를 투영시킬 필요가 있다. 4.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이미지 분포도에서 대전시는 행정도시와 수평적 도시의 특성이 강한 도시로 분류되었다. 기존의 단순한 도시 이미지 분석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분석 내용을 토대로 비교적 명확한 진단을 통해, 도시의 미래상 및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다중에너지 영상 획득을 위한 Depth-Encoding 고분해능 단일광자단층촬영 검출기 개발: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연구 (Development of a High Resolution SPECT Detector with Depth-encoding Capability for Multi-energy Imaging: Monte Carlo Simulation)

  • 백철하;황지연;이승재;정용현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1호
    • /
    • pp.93-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I-125 (35 keV) 와 Tc-99m (140 keV)에 대해 고해상도를 지닌 SPECT 영상을 동일한 검출기로 획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코드인 DETECT2000과 GATE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검출기는 두께 3.0 mm의 CsI (Tl) 블록형 섬광체와 하마마츠사의 H8500C PSPMT로 이루어져 있다. 35 keV 감마선을 방출하는 I-125 핵종을 영상화할 때는 두꺼운 섬광체를 사용 할 경우, 일반적인 앵거방법으로는 빛 퍼짐이 많아지기 때문에 내인성 공간분해능이 저하되지만, 최대우도 함수와 색인테이블을 사용하여 감마선 반응 위치를 추적하면 내인성 공간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TECT2000 시뮬레이션 결과 1.0 mm 이내의 내인성 공간분해능을 획득하였다. 140 keV를 방출하는 Tc-99m를 영상화할 경우에는 I-125 전용인 1.0 mm 두께의 섬광체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3.0 mm 두께의 섬광체를 사용하였을 때 2.3배 이상 향상된 민감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검출기의 장점은 저에너지의 I-125 선원에 대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섬광체를 사용하더라도 최대우도함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해능의 감소가 없다는 점과 Tc-99m 선원에 대해 민감도의 저하가 적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검출기를 사용하면 고에너지와 저에너지를 가진 핵종을 모두 영상화할 수 있다.

미숙아의 발달지지를 위한 간호중재에 관한 문헌연구 (Literature Review Nursing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Support on Preterm Infants)

  • 김태임;심미경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55
    • /
    • 2001
  • Recently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or its lack, on both normal and preterm infants. Particularly numerous studies suggest that premature infants are not necessarily understimulated but instead are subjected to inappropriate stimulation. Developmental support and sensory stimulation have become clinical opportunities in which nursing practice can impact on the neurobehavioral outcome of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al care has been widely accepted and implement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cross the country. Increasingly, attention and concern in caring for low-birth-weight infants and premature infants has led clinicians in the field to explore the effects of a complex of interventions designed to create and maintain a developmentally supportive environment; to provide age-appropriate sensory input; and to protect the infant from inappropriate, excessive and stressful stimulation. The components of developmental care include modifications of the macro-environment to reduce NICU light and sound levels, care clustering, nonnutritive sucking, and containment strategies, such as flexed positioning or swaddling. Sensory stimulation of the premature infants is presented to standardize the modification of a developmental intervention based on physiologic and behavioral cues.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stimuli are those that are sensitive to infant cues. Evaluation of infant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ds to specific intervention stimuli may help to identify more appropriate interventions based on infants' cues. A critical question confronting the clinician is that of determining when the evidence supporting a change in practice is sufficient to justify making that change. There are acknowledged limitations in the current studies. Many of the studies examined had small sample sizes; used nonprobability sampling; and used a phase lag design, which introduces the possibility of threats to internal validity and limits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ults. Although many issues regarding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interventions remain unresolved, the available research base documents significant benefits of developmental care for LBW infants in consistent outcomes, without significant adverse effects. Particularly, although the individual studies vary somewhat in the definition of specific outcomes measured, instrumentation used, time and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preparaion of the care providers, in all studies, infants receiving the full protocol of individualized developmentally supportive care had improvements in some aspect of four areas of infant functioning: level of respiratory or oxygen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oral feeding; length of hospital stay, and infant behavioral regulation. In summary, based on the available literature,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interven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standard practice in neonatal intensive care. And this implementation needs to be coupled with ongoing research to evaluate the impact of a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programs on the short- and long-tenn health outcomes of LBW infants.

  • PDF

산림지역에서 LiDAR 측량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LiDAR Measurement in Forest Area)

  • 이상훈;이병길;김진광;김창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5-553
    • /
    • 2009
  • 국가 공간정보 중 지형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수치표고모형(DEM)을 사용한다.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항공 LiDAR를 활용한 방법은 지형의 변화에 신속하게 자료를 획득할 수 있고, 사진측량기법에 비해 기상조건에 따른 제약을 덜 받는다. 이러한 항공 LiDAR는 최근 국가공간정보의 제작에 다양하게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다양한 식생이 우거진 한반도의 산림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항공 LiDAR 측량의 정확도가 얻어지는 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식생이 존재하는 산림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택하여 수목의 특성에 따라 항공 LiDAR 자료의 정확도가 어떻게 다른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낮은 식생이 존재하는 나대지를 포함하고 있는 지역과 이 나대지의 경계부분과 인접하고 있는 다양한 수목이 존재하는 산림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에 대하여 대상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검사점을 선점하고 GPS 측량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측량된 검사점과 항공 LiDAR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활엽수 지역에서는 상당히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 LiDAR 측량에서도 촬영시기를 낙엽이 떨어진 이후로 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양극성 자기유도센서의 성능 향상을 위한 퍼지 추론 시스템 (Improvement of Bipolar Magnetic Guidance Sensor Performance using Fuzzy Inference System)

  • 박문호;조현학;김광백;김성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58-63
    • /
    • 2014
  • 자기테이프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량무인운반차들(AGCs)은 디지털 자기유도센서를 사용한다. 디지털 자기유도센서는 On/Off 타입으로 자기테이프의 위치측정 정밀도가 10~50 mm의 오차를 가진다. 또한 경량무인운반차에 설치된 모터의 자기장이나 주변 환경의 외부 자기장, 지자기 등으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기 힘들다. 이러한 오차로 인하여 경량무인운반차의 주행 시에 잦은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정도가 심할 경우 이탈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양극성 아날로그 자기유도센서에 퍼지 추론 시스템의 적용을 제안한다. 퍼지는 다른 알고리즘에 비하여 내고장성과 불확실성에 강인하고, 실시간 작동에 유리하며, 비선형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선행과제에서 제작한 양극성 아날로그 자기유도센서로 threshold를 두어 디지털 자기유도센서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석위치 값을 계산한다. On으로 인식된 아날로그 Hall sensor의 출력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출력으로 디지털출력 값을 개선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자기유도센서보다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산림관통 터널 입출구부 위치와 훼손 면적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s of Tunnel Entrance and Areas Affected by Deforestation in the Forest in Korea)

  • 김동필;홍석환;최송현;이상철;안미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4-111
    • /
    • 2017
  • 터널은 산림 훼손면적이 다른 공법에 비해 입구부와 출구부만 훼손하면서 도로가 지하로 건설되기 때문에 훼손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터널 건설 시 산림이 훼손되는 터널입출구부를 중심으로 주변 지형과 관계를 살펴보고, 훼손면적을 최소화하고 지형 훼손을 저감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진입유형별 훼손면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국내 주요도로의 터널 150개를 선별하여 입구부와 출부구를 합쳐 300개 지점에 대해 진입유형을 구분하고 터널 진입부 훼손면적과 터널 상부 훼손면적을 산출하였다. 터널조성 위치에 따른 통계분석결과 진입유형별 훼손면적은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경사면직교형은 다른 진입유형에 비해 터널입출구부의 훼손면적은 작았으며, 반대로 골짜기진입형, 경사면평행형은 다른 진입유형에 비해 훼손 면적이 크게 나타났다. 지형을 고려한 터널위치 선정은 터널 1개소 당 최대 약 1.5ha 정도의 산림훼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Mandibular Kinesiograph 및 Myo-monitor 를 이용(利用)한 중심위(中心位), 중심교합(中心咬合), myo-co의 상호위치(相互位置) 및 자유로간격(自由路間隔)에 관(關)한 실험적연구(實驗的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ositional relations of centric relation, centric occlusion and myo-co, and free-way space using Mandibular Kinesiograph and Myo-monitor)

  • 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3-86
    • /
    • 1980
  • Recently, the controversy continues as to whether maximum intercuspation of teeth should occur at the terminal hinge position(the condylar theory) or at the myo-co(the neuromuscular theory). There is also much controversy regarding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myo-co.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with the positional relations of centric relation, centric occlusion and myo-co, and free-way space using Mandibular Kinesiograph and Myo-monitor in the 40 subjects without stomatognathic problems. Mandibular Kinesiograph(M.K.G.) was originally conceived as a research instrument to track mandibular movement and position. As its use in research progressed, its great diagnostic value became apparent in case by case. And Myo-monitor was developed as a means of applying the neuromuscular approach to occlusion. Thus the Myo-monitor technique is an intra-systemic approach to occlusal positioning using patient's own musculature, and Myo-monitor is used to relax the musculature by a light myopulse induced electronically.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daptive free-way space before muscle relaxation was an average of $1.6{\pm}60mm$, and the true free-way space after muscle relaxation using Myo-monitor was an average of $2.4{\pm}0.74mm$. 2. It took an average of $25{\pm}3.11$ minutes to relax the mandibular musculature by Myo-monitor and administration of 5mg. Diazepam and an average of $38{\pm}4.73$ minutes by Myo-monitor without administration of Diazepam. 3. Myo-co existed anterior to centric occlusion, with an average of $0.53{\pm}0.31$ mm, and centric relation existed posterior to centric occlusion, with an average of $0.57{\pm}0.58mm$ before muscle relaxation and with an average of $0.57{\pm}0.43mm$ after muscle relaxation. 4. Centric relation coincided with centric occlusion in 5 of 40 subjects(12.5%), and posterior to centric occlusion in the rest of cases (87.5%). 5. Myo-co existed anterior to centric occlusion in 38 of 40 subjects(95%), except 1 subject that coincided with centric occlusion and 1 subject that existed posterior to centric occlusion. 6. Myo-co and centric relation existed inferior to centric occlusion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was various with individual difference. 7. The total displacement from centric occlusion to centric relation was an average of $0.74{\pm}0.64mm$ before muscle relaxation, and an average of $0.68{\pm}0.53mm$ after muscle relaxation, and the total displacement from centric occlusion to myo-co was an average of $1.07{\pm}0.58m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