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on matching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3초

이웃 블록과 중첩된 탐색영역에서의 MAD 분포 및 부표본화를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The Distribution of Mean Absolute Difference at The Search Region Overlapped with Neighbor Blocks and Subsampling)

  • 이법기;정원식;이경환;최정현;김경규;김덕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B호
    • /
    • pp.1506-151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움직임 탐색영역에서의 MAD 분포 및 블록내 화소의 부표본화를 이용한 두가지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두 가지 방법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영역에서 현재 블록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구하여 이용하였으며, 이때 사용되는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는 이웃 블록의 MAD와 현재 블록과 이웃 블록간의 MAD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블록 정합은 블록내 화소를 부표본화한 뒤 행하였다. 제안한 첫 번째 방법에서는 블록 MAD의 최소 범위를 이용하여 이웃 블록과 움직임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구한 기준 MAD가 블록 MAD의 최소 범위보다 큰 탐색점에 대하여서만 블록 정합을 행함으로써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계산량을 크게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블록 MAD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각 탐색점에서의 실제 MAD는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실제 MAD 분포의 확률적인 모델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컸뼜\ulcorner모의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움직임 추정 오차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CI 시스템의 손 추적을 위한 수정 블록 정합 알고리즘 (The Modified Block Matching Algorithm for a Hand Tracking of an HCI system)

  • 김진옥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9-14
    • /
    • 2003
  • GUI(Grophic User Interface) 기반의 상호작용은 컴퓨터를 더 사용하기 간단하고 쉽게 만들었다. 그러나 GUI 기반의 상호작용은 자연스럽고 직관적이며 적응적인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호 작용 기능을 쉽게 지원하지는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시퀀스에서 손을 추적하고 가상 현실에서 포인팅 장치로 마우스를 대체하기 위해 각 비디오 프레임에서 손을 인식하는데 유용한 방법인 수정 BMA를 제안했으며 이를 이용해 초당 30 프레임의 HCI 시스템을 구현했다. HCI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준은 정확한 움직임 벡터 포착과 그의 실시한 처리이다. 수정 BMA는 실시간 처리를 위해 손의 위치, 움직임 방향을 고려한 손 영역을 분할, 손 영역의 색상 분포를 예측하는데 적용했다. 실험 결과는 YCbCr 좌표를 이용한 수정 BMA가 실시간 처리와 인식율을 보장함을 보여 준다. YCbCr 색상 좌표는 각 픽셀 색상의 휘도를 제거한 RGB 색상 좌표보다 더 적은 비트로 코딩 가능하며 주변 상황에 덜 민감하다. 수정 BMA를 이용한 손 추적은 가상현실, 게임과 장애인을 위한 HCI시스템 적용가능하다.

  • PDF

비디오 정합을 위한 오디널 특징의 유일성 및 강건성 분석 (Analysis of Uniqueness and Robustness Properties of Ordinal Signature for Video Matching)

  • 정광민;김정엽;현기호;하영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76-584
    • /
    • 2006
  • 내용기반 비디오 정합은 원본의 클립에서 특징(signature)을 구한 후 복사본의 특징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한다. 특히 정확한 위치의 프레임을 정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원본과 복사본의 프레임율, 잡음, 해상도, 압축형식에 따라 정합 율이 달라질 수 있다. 비디오 특징 중 오디널(ordinal) 특징은 일반적으로 우수한 정합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나 비디오 특징의 구별 능력을 나타내는 유일성 실험(uniqueness test)과 잡음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강건성 실험(robustness test)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지 않았다. Hua등은 유일성 실험에서 해상도, 압축형식 등을 고려하였지만 강건성 실험에서 영상에 잡음을 첨가하는 대신 압축 형식이 변환된 영상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널 특정의 유일성 분석과 함께 실질적인 잡음 모텔을 도입하여 오디널 특징의 강건성 실험 방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트랄로키누맙과 두필루맙의 매칭 조정 간접 비교 (Matching-adjusted Indirect Comparison (MAIC) of Tralokinumab Versus Dupilumab for the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Adult Atopic Dermatitis)

  • 김태경;신근수;김효진;김유진;최이정;이동훈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8-185
    • /
    • 2023
  • Objective: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recurrent inflammatory skin disease. Both tralokinumab and dupilumab have been recommended in the European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adult patients with severe AD. In Korea, dupilumab has been approved for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D, and reimbursed for those with severe AD. Since there is no clinical trial directly comparing tralokinumab and dupilumab, we conducted indirect comparison to assess the clinical usefulness in patients with AD. Methods: We selected clinical trials for indirect comparison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patient data were available for the tralokinumab clinical trial, and aggregated data were available for the dupilumab clinical trial. Therefore, we employed the Matching-Adjusted Indirect Comparison (MAIC) method. The treatment efficacy was assessed based on whether patients achieved a 75% reduction on the 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EASI 75) after drug administration.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atients achieving EASI 75 between tralokinumab and dupilumab was 4.7% (95% CI: -7.9 to 17.3). Considering the non-inferiority margin for the EASI 75 achievement rate is -10%, tralokinumab is deemed non-inferior to dupilumab as the lower bound of the CI for the difference in the EASI 75 achievement rate between tralokinumab and dupilumab was within -10%. Conclusion: We conducted a MAIC analysis comparing tralokinumab and dupilumab based on EASI 75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ralokinumab is non-inferior to dupilumab and can be implemented in Korean clinical settings with a therapeutic position comparable to dupilumab.

평면 구조물의 단일점 일치를 이용한 2차원 레이저 거리감지센서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Autonomous Calibration of a 2D Laser Displacement Sensor by Matching a Single Point on a Flat Structure)

  • 정지훈;강태선;신현호;김수종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18-222
    • /
    • 2014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autonomous calibration method for a 2D laser displacement sensor (e.g. laser vision sensor and laser range finder) by matching a single point on a flat structure. Many arc welding robots install a 2D laser displacement sensor to expand their application by recognizing their environment (e.g. base metal and seam). In such systems, sensing data should be transformed to the robot's coordinates, and the geometric relation (i.e. rotation and translation) between the robot's coordinates and sensor coordinates should be known for the transformation. Calibration means the inference process of geometric relation between the sensor and robot. Generally, the matching of more than 3 points is required to infer the geometric relation. However, we introduce a novel method to calibrate using only 1 point matching and use a specific flat structure (i.e. circular hole) which enables us to find the geometric relation with a single point matching. We make the rotation component of the calibration results as a constant to use only a single point by moving a robot to a specific pose. The flat structure can be installed easily in a manufacturing site, because the structure does not have a volume (i.e. almost 2D structure). The calibration process is fully autonomous and does not need any manual operation. A robot which installed the sensor moves to the specific pose by sensing features of the circular hole such as length of chord and center position of the chord. We show the precision of the proposed method by performing repetitive experiments in various situations. Furthermore, we applied the result of the proposed method to sensor based seam tracking with a robot, and report the difference of the robot's TCP (Tool Center Point) trajectory.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ensures precision.

ON/OFF-스위치의 위치 인식 방법 (A Detection Method of Position of ON/OFF-Switch)

  • 조병모;이권연;손명식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통권20호
    • /
    • pp.30-37
    • /
    • 2007
  • 본 논문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의 OFF-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각각의 스위치에는 병렬로 각기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수동 소자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ON된 스위치에는 병렬로 연결된 수동 소자의 주파수 특성에 관계없이 평탄한 특성을 갖으며, OFF된 스위치의 경우에는 연결된 수동소자의 주파수 특성이 스위치의 양 단자에 나타난다. OFF된 스위치의 위치 인식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의 양 단자에 백색 잡음(Maximum-Length Sequence)을 입력하고, 각각의 스위치를 OFF한 상태에서 출력 단자에서 스펙트럼을 계산하여 미리 참조 스펙트럼을 작성하고, 작성된 참조 스펙트럼과 입력 스펙트럼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가장 근접한 참조 스펙트럼을 OFF된 스위치의 스펙트럼으로 인식한다. 이를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계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매칭으로 OFF-스위치의 위치를 감지한다.

  • PDF

AR 게임을 위한 위치추정 정확도 향상 알고리즘 (Algorithm to Improve Accuracy of Location Estimation for AR Games)

  • 한서우;서덕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32-40
    • /
    • 2019
  • 실내에서 위치를 추정하는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하다. 실내에서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방법과 하드웨어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방법은 정확도가 높지만, 하드웨어 설치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설치비용이 들지 않지만, 정확도가 떨어진다. AR 게임을 위한 위치추정에 제일 중요한 목표는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Perspective-N-Point (PnP)의 해를 얻어야 한다. PnP 문제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위치를 추정하고 싶은 공간의 삼차원 좌표와 그 공간에서 찍은 영상이 필요하다. 삼차원 좌표와 매칭 되는 이차원 좌표 6쌍을 통해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어떤 점들을 선택하면 정확도가 높아지는지 확인할 비공면도(non-coplanarity degree)를 추가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점 6개 이상인 상황에서 비공면도가 커질수록 위치추정 정확도가 높아질 확률이 높다. 제안한 방법의 장점은 모든 기존 위치추정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과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것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전립선암의 소분할 방사선치료 시에 위치표지자 삽입의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Implanted Fiducial Markers for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of Prostate Cancer)

  • 최영민;안성환;이형식;허원주;윤진한;김태효;김수동;윤성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91-98
    • /
    • 2011
  • 목 적: 전립선암의 소분할 방사선치료에서 골반뼈를 기준으로 한 준비자세(setup)와 전립선에 삽입된 위치표지자(fiducial marker)를 이용한 준자세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전립선암으로 근치적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은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 1주일 전경에 경직장초음파 검사 하여 3개의 위치표지자를 직장을 통하여 전립선에 삽입하였다. 방사선치료계획용 컴퓨터단층촬영과 매 방사선치료 전에 직장 관장을 하였다.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노발리스 장치를 이용하여, 매일 3.5 Gy씩 총 59.5 Gy를 계획하였다. 분할조사 전에 서로 수직인 두 방향의 kV X-선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의 위치표지자와 방사선치료계획의 디지털재구성사진에서 관찰되는 위치표지자를 융합하여, 환자의 자세를 조정하고 준비자세를 하였다.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계획의 디지털재구성사진과 kV X-선 영상의 골반뼈를 가상적으로 융합하여,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를 구하였다. 결 과: 67회의 분할조사를 분석하였다.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의 평균은 $0.94{\pm}0.62$ mm (범위, 0.09~3.01 mm; 중앙값 0.81 mm)였고 좌우, 상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차이의 평균은 각각 $0.39{\pm}0.34$ mm, $0.46{\pm}0.34$ mm, $0.57{\pm}0.59$ mm였다.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의 평균은 $3.15{\pm}2.03$ mm (범위, 0.25~8.23; 중앙값, 2.95 mm)였고, 상하 방향의 위치 차이(평균, $2.29{\pm}1.95$ mm)가 전후(평균, $1.73{\pm}1.31$ mm), 좌우(평균 $0.45{\pm}0.37$ mm) 방향보다 유의하게 컸다(p<0.05).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와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들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가 3 mm 이상이었던 경우는 전체 분할방사선조사 횟수의 1.5%와 49.3%였고, 5 mm 이상이었던 경우가 각각 0%, 17.9%였다. 결 론: 위치표지자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준비자세를 함으로써 계획용표적체적의 여유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전립선 주변의 정상조직에 대한 방사선량을 감소시켜 보다 안전하게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체 팬텀(Rando Phantom)을 이용한 CBCT의 Setup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Setup Usefulness of CBCT using Rando Phantom)

  • 장은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34-238
    • /
    • 2011
  • 온보드영상장치(OBI)를 사용하고 있는 콘빔CT(CBCT)를 이용하여 인체 팬텀 자세 및 위치와 모의치료시 인체 팬텀 자세 및 위치를 비교하여 CBCT의 3D 타깃 위치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제방사선 치료와 동일한 과정으로 모의 치료계획을 하기 위해서 인체 팬텀(The Rando Phantom) 을 set up 한다. 기준점에 놓인 인체팬텀에서 CBCT를 이용하여 평행이동 및 회전이동 하였다. 이때 얻어진 영상들의 위치 차이에 대한 평균 및 편차를 인체 팬텀의 실제 이동 값과 비교하였다. 실험은 10회씩 반복하여 오차의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CBCT로 획득한 영상과 모의치료 시 획득한 CT영상을 비교하는 3D/3D 매칭에서 평균 setup의 residual error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lateral $0.2{\pm}-0.2$ mm, longitudinal $0.4{\pm}0.3$ mm, vertical $-0.4{\pm}0.1$ mm 로 각각 0~4 mm의 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모의실험 된 회전 내용은 $0.4{\pm}0.2$ mm, $0.3{\pm}0.3$ mm, 그리고 $0.3{\pm}0.4$ mm이다. 회전에 의한 error는 $0{\sim}0.6^{\circ}$ 범위이다. 인체 팬텀을 이용한 CBCT 3D/3D 매칭은 모의 치료 시와 환자 치료 시 정확한 정합을 함으로써 error를 최소화 하였다.

로봇 위치 예측에 기반을 둔 ICP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도 작성 (Map Building Using ICP Algorithm based a Robot Position Prediction)

  • 노성우;김태균;고낙용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75-58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로봇 위치 예측 기반을 둔 ICP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도를 작성한다. 제안한 방법은 데드레크닝으로 로봇 위치를 예측하고 ICP 알고리즘으로 지도를 작성 한다. 기존 방법은 기준데이터와 새 데이터의 센서 값만을 이용하여 로봇의 위치와 지도를 작성한다. 기존 방법은 현재 데이터와 기준 값과의 간격의 차이가 조금만 멀어져도 보정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제안한 방법으로 지도를 작성할 경우에는 지도의 틀어진 정도가 기존 방법으로는 지도를 보정 할 수 없지만 제안한 방법은 지도 보정을 할 수 있음을 실제 실험을 통해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