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Distribution Policy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9초

당뇨병 합병증으로 인한 하지 절단율의 지역적 변이 및 지역 특성 요인과의 관계 분석 (Regional Variation in the Incidence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Factors)

  • 원성훈;김재형;천동일;이영;박수연;정광영;박근현;조재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1-130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s and regional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2016.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city·gun·gu.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age- and sex-adjusted incidence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s and the regional variables were selected to represent two aspect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and medical factors. Along with traditional ordinary least square (OLS) regression analysis,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was applied for spatial analysis. Results: The age- and sex-adjusted incidence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 varied according to region. OLS regression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health and medical factors (number of healthcare institution and doctors per 100,000 population). In GWR, the effects of regional factors were not consistent. Conclusi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cidence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s and the effects of regional factors varied according to the region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health policy related to diabetic foot care.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 김화환;최형관;이민석;장문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8-135
    • /
    • 2017
  • 도시 생애 주기에 따른 도시 노후화와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도시 쇠퇴의 가시적인 지표로 대표적인 사례인 공폐가의 발생과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 역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 광주광역시 공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폐가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지역에 따른 공폐가 발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공폐가 발생의 유형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제작한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의 10가지 도시 쇠퇴 진단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공폐가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이 시군구별 집계 자료에 제한되었던 것을 극복하여, 공폐가의 실제 위치를 행정동 단위로 분석하여 자세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폐가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및 공폐가 발생 유형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은 행정동 단위에서 정적인 공간적 자기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국지적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 공폐가 발생이 집중되어 있었다. 공폐가 발생과 도시 쇠퇴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삼각도표를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공폐가 발생 지역을 원인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 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지역별 공폐가 발생의 원인을 유형화하여 도시 노후화 현황과 지역별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통산업의 한일비교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Korea and Japan Comparison Study of Distribution Industry: Focus on Input-out Analysis)

  • 조광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5호
    • /
    • pp.171-192
    • /
    • 2011
  • 본 논문은 한일 양국 유통산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각국의 산업별 국민경 제의 점유율, 유통산업의 생산성, 산업연관분석 등을 수행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농림어업의 국내총생산 점유율은 한일 양국 모두 하락하고, 제조업은 한국이 증가하고 일본이 하락하는 반면 유통산업은 한국이 하락하고 일본이 상승했다. 고용인구의 점유율은 모든 산업이 한일 양국 모두 하락하고, 상대적 노동생산성은 농림어업, 유통산업 등이 한일 양국 모두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반면 제조업은 충족하고 있다. 유통산업에 대한 국내총생산의 연도별 추이는 한일 양국 모두 영향력계수에 비하여 감응도 계수가 크다. 한일 양국 간 유통산업에 대한 국내총생산의 연도별 영향력계수는 일본에 비하 여 한국이 큰 반면 감응도계수는 한국에 비하여 일본이 크다. 최종수요의 생산유발효과는 한 국에 비하여 일본이 큰 반면 수입유발효과는 일본에 비하여 한국이 크다. 유통산업비의 상승은 섬유 및 가죽제품, 음식료품, 목재 및 종이제품 등의 산업부문에 한일 양국 모두 직접 간접적인 파급효과가 크다. 한일 양국 간 비교하면 대부분의 산업부문, 기업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등은 한국에 비하여 일본이 파급효과가 크다. 한일 양국의 시차 간 유통산업의 영향력은 유사한 반면 감응도는 일본에 비하여 한국이 약 화되는 것으로 보아 한국의 유통산업은 적극적인 방향을 정책수립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유통산업은 투자부문에서 한국은 공공주도형의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일본은 민간주도형의 경향을 나타냈다. 앞으로 한국의 유통산업은 일본과의 시차를 감안한다면 경제발전과 안정단계 에 진입하면서 민간주도형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정책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 할 것이다.

  • PDF

효율적인 상품 배치를 위한 경로 가중치 데이터 분석 시스템 설계 (Design of Path Weighting Data Analysis System for Efficient Product Arrangement)

  • 김봉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67-172
    • /
    • 2016
  • 상권 분석은 유통 구조의 개선, 운영 원가의 절감 등의 이유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상권 분석을 통해 매출 증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상권 분석 시스템은 유동 인구 및 주변 상점들의 환경 분석을 통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상품 배치를 위한 경로 가중치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는, 기존 매출 중심의 상권 분석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매장 안에서 고객 경로 이용 형태에 가중치를 적용한 데이터 분석 시스템이다. 기존의 POS 시스템과의 연동으로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등 매장내의 효율적인 상품 배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경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중치를 적용한 통계 데이터로 변환하여 관리자에게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출력함으로써 매장에서 상품 배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동통신정책의 공공선택 분석 (The Public Choice Analysis of Korean Mobile Telecom Policy)

  • 신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93-499
    • /
    • 2015
  • 우리나라는 1995년 이동전화 가입자수가 백만명, 1998년 천만명을 돌파한 이래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대비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률이 110%를 넘어섰다. 현재는 어린이나 학생 등 비경제 활동 인구들까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명백히 필수재가 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보급대수가 냉장고, 세탁기, 진공청소기 및 승용차를 추월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의 생활화로 이동통신단말기와 서비스는 아주 중요한 필수재로 자리매김하였으나 단말기 대금과 서비스요금 을 비롯한 통신관련 비용은 가계의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그런데 공정한 경쟁을 통하여 소비자 후생 나아가 사회적 후생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시장의 실패를 방지해야할 정부는 적시에 적절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동통신전화가 상용화된 199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의 이동통신정책중 이동통신망 공동이용, 번호이동, 단말기 유통과 이통서비스의 분리, 망중립성 확보는 주인-대리인문제(principal agent problem) 등 공공선택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노정하고 있다.

TPM 활동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PM activity factors on Corporate performance)

  • 연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1-15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TPM을 대한 주제로 작성된 논문 중 검증이 가능한 1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5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각 연구논문에서 제시한 t값을 투입하여 CMA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4개 가설에 있어서 I-square 값이 모두 75%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이질성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모든 연구의 모집단 효과크기는 같다는 귀무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질성의 원인은 분석에 사용된 개별연구의 응답자분포, 연구조건, 연구시기, 연구지역 등의 연구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효과크기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연구특성별로 구분할 수 있는 개별연구들의 요약 통계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별연구들에서는 효과차이를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요약통계량이 제시되지 않아서 이질성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것이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보건영향평가제도도입을 통한 보건과 환경의 통합적 접근방안 연구 (Integration Approach Environment and Health through Introduce to Health Impact Assessment)

  • 김임순;한상욱;김윤신;김대선;문정숙;이철민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4호
    • /
    • pp.34-47
    • /
    • 2004
  • Althoug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in Korea has been improved markedly over the past two decades, by enlarging the range of projects for assessment, instituting pub lic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similar measures, it remains deficient in its coverage of human health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EISs). Health Impact Assessment(HIA) can supply the necessary correctives. HIA is a combination of procedures, methods and tools by which a policy, programme, projects or legislative procedure may be judged for its potential effects on the health of a popul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se effects within it. The principle of health protection is, however, established as a primary concern in EIA processes, in practice health is scarcely mentioned or the discussion is limited to a description of effects through the biophysical environment. The whole range of possible effects on health, including those mediated by socio-economic factors is often ignored, and no effective mechanism are in place to successfully incorporating health criteria and expertise into environmental, assessment(EA) that include ElA, SEA. These are foremost among the current issues facing EIA in Korea.

일부 급성질환의 지역간 입원의료이용 변이에 관한 연구 -위장질환과 충수염질환을 중심으로- (A Study on Small Area Variations of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in Some Acute diseases -Focused on Gastric Diseases and Acute Appendicitis)

  • 권영채;김광환;장동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193-200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 환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위장질환과 충수염질환을 대상으로 지역간 입원의료이용의 변이정도와 양상을 파악하고, 변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변이를 최소화하여 의료 이용을 적정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Extremal Quotient(EQ)와 변이계수(CV) 지표를 사용하여 변이수준을 파악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입원의료이용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장질환의 소규모 지역별 성 연령 표준화에 따른 입원율의 경우 EQ 15.1, CV 0.4의 변이를 보였으며,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 변이 10대 상위군이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또한, 인구만명당 병상수, 의사수, 특수의료장비수에 따라 입원의료이용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둘째, 충수염질환에서는 EQ 12.41, CV 0.4를 나타냈고, 회귀분석을 통해 입원의료이용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의 정책적인 함의로는 급성질환자의 입원의료이용의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역별 병상의 적정한 공급 관리와 효율적인 자원배분 및 의료서비스의 질적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정책 방안이 추진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A development of system dynamics model for water, energy, and food nexus (W-E-F nexus)

  • Wicaksono, Albert;Jeong, Gimoon;Kang, Doosu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0-220
    • /
    • 2015
  • Water, energy, and food security already became a risk that threatens people around the world. Increasing of resources demand, rapid urbanization, decreasing of natural resources and climate change are four major problems inducing resources' scarcity. Indeed, water, energy, and food are interconnected each other thus cannot be analyzed separately. That is, for simple example, energy needs water as source for hydropower plant, water needs energy for distribution, and food needs water and energy for production, which is defined as W-E-F nexus. Due to their complicated linkage, it needs a computer model to simulate and analyze the nexus. Development of a computer simulation model using system dynamics approach makes this linkage possible to be visualized and quantified. System dynamics can be defined as an approach to learn the feedback connections of all elements in a complex system, which mean, every element's interaction is simulated simultaneously. Present W-E-F nexus models do not calculate and simulate the element's interaction simultaneously. Existing models only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and energy resources that needed to provide food, water, or energy without any interaction from the product to resources. The new proposed model tries to cope these lacks by adding the interactions, climate change effect, and government policy to optimize the best options to maintain the resources sustainability. On this first phase of development, the model is developed only to learn and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elements based on scenario of fulfilling the increasing of resources demand, due to population growth. The model is developed using the Vensim, well-known system dynamics model software. The results are amount of total water, energy, and food demand and production for a certain time period and it is evaluated to determine the sustainability of resources.

  • PDF

발전주의 복지국가에서 사회투자국가로: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From a Developmentalist Welfare State to a Social Investment State: A Case Study of Japan)

  • 권순미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231-257
    • /
    • 2018
  • 일본은 동아시아 발전주의 복지모델을 대표하는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이 논문은 일본이 최근 사회투자국가로 전환했다고 주장한다. 제도적 경로 의존성에 따라 발전주의적 성격이 여전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고령화등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한 발전주의 복지국가의 제도적 비조응성이 증대하면서 민주당정권의 '제3의 길'에서 시작된 사회투자국가 노선은 '일본 1억 총활약 플랜'으로 상징되는 아베노믹스 제2단계로 계승되었다. 이 연구는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강조하는 새로운 복지국가 패러다임이 정책 아이디어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여성의 고용 활성화, 아동에 대한 투자, 돌봄 지원정책 등 일-가족 양립과 관련한 공공정책 영역에서 포괄적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