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viscosity

검색결과 660건 처리시간 0.031초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ross-linked Polyurethane Acrylate-Based Gel Polymer Electrolyte

  • Kim, Hyun-Soo;Kim, Sung-Il;Choi, Gwan-Young;Moon, Seong-In;Kim, Sang-Pil
    • 전기화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97-201
    • /
    • 2002
  • In this study, a gel polymer electrolyte was prepared from urethane acrylate and its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were evaluated. And, $LiCoO_2/GPE/graphite$ cells were prepared and their performances depending on discharge currents and temperatures were evaluated. The precursor containing $5 vol\%$ curable mixture had a low viscosity relatively. Ionic conductivity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 at room temperature and $-20^{\circ}C$ was ca. $5.9\times10^{-3}S{\cdot}cm^{-1}\;and\;1.7\times10^{-3}S{\cdot}cm^{-1}$, respectively. GPE showed electrochemical stability up to potential of 4.5V vs. $Li/Li^+.LiCoO_2/GPE/graphite$ cell showed a good high-rate and a low-temperature performanc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in situ 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Fumed Silica Nanocomposites

  • Hahm, Wan-Gyu;Myung, Hee-Soo;Im, Seung-Soo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85-93
    • /
    • 2004
  • We have prepar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nanocomposites filled with two different types of fumed silicas, hydrophilic (FS) and hydrophobic (MFS) silicas of 7-nm diameter, by in situ polymerization. We then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changes, rheological properties,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ET nanocomposite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mages indicate that the dispersibility of the fumed silica was improved effectively by in situ polymerization; in particular, MFS had better dispersibility than FS on the non-polar PET polymer.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the nanocomposites revealed a peculiar tendency: all the fillers acted as retarding agents for the crystallization of the PET nanocomposites. The incorporation of fumed silicas increased the intrinsic viscosities (IV) of the PET matrix, and the strong particleparticle interactions of the filler led to an increased melt viscosity. Additionally, the mechanical properties, toughness, and modules of the nano-composites all increased, even at low filler content.

라텍스 입자 크기가 폴리스티렌/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재료의 유변물성 및 전기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tex Particle Size on Rheolog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styre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 강명환;노원진;이성재
    • 폴리머
    • /
    • 제35권5호
    • /
    • pp.451-457
    • /
    • 2011
  • 라텍스 기법으로 제조한 폴리스티렌(PS)/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나노복합재료의 라텍스 입자 크기에 따른 유변학적, 전기적 물성을 고찰하였다. 나노복합재료는 무유화제 유화중합과 분산중합으로 합성한 단분산 PS 입자에 MWCNT를 초음파 분산시킨 다음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PS/MWCNT 나노복합재료는 MWCNT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차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저장 탄성률, 복소 점도 및 전기 전도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MWCNT 함량에 따른 저장 탄성률 및 복소 점도 증가 효과는 라텍스 입자 크기가 큰 경우 더욱 뚜렷하였다. 입자 크기에 따른 전기적 물성은 MWCNT 함량에 따라 상이한 경향을 보여 주었는데, 함량이 적은 경우 작은 입자로 제조한 나노복합재료가 높은 전기 전도도를 보여 주었으나 함량이 증가할수록 큰 입자의 경우가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용융중합에 의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ranched Polycarbonates by Melt Polymerization)

  • 최수정;윤경화;김희승;유승윤;김연철
    • 폴리머
    • /
    • 제35권4호
    • /
    • pp.356-362
    • /
    • 2011
  •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에 화학적 구조가 다른 두 가지의 분지제를 첨가하여 용융중합으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branched PC, B-PC)를 합성하였다. 분지제의 함량은 0.001~0.005 mol% 내에서 조절하였다. 합성된 PC의 화학구조는 FTIR, $^1H$ NMR파 $^{13}C$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자량, 유리전이온도 및 분해온도는 GPC, DSC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hloro type의 분지제를 가지는 B-PC의 분자량에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유리전이온도는 분자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두 형태의 B-PC 모두 선형 PC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주파수(frequency) 영역에서 복합점도(complex viscosity)가 높게 나타났고, shear thinning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Shear thinning의 정도를 표시하는 power law index(n)는 선형회귀분석에 의해 계산되었고 0.483~0.996 범위의 값을 보여주었다. Phloro 타입의 B-PC가 높은 shear thinning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 B-PC의 유변학적 특성은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igh Temperatur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 Cho Hee-Sook;Park Soo-Jin;Ree Moon-Hor;Chang Tai-Hyun;Jung Jin-Chul;Zin Wang-Cheol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83-386
    • /
    • 2006
  • High temperatur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 has been used widely for the characterization of crystalline polymers, for which high temperature operation above the polymer melting temperature is required to dissolve the polymers. However, this high temperature operation has many advantages in SEC separation in addition to merely increasing polymer solubility. At high temperature the eluent viscosity decreases, which in turn decreases the column backpressure and increases the diffusivity of the analytes. Therefore, many reports on the high temperature operation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ave focused on shortening the analysis time and enhancing the resolution. However, the application of high temperature SEC analysis to exploit the merits of high temperature operation is scarce. In this article, therefore, we report on a new apparatus design for high temperature SEC.

저점도 Bis-GMA 유도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계 치과 수복용 복합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ymeric Dental Restorative Composites Fabricated from Bis-GMA Derivatives Having Low Viscosity)

  • 전미영;송정오;김창근
    • 폴리머
    • /
    • 제31권6호
    • /
    • pp.491-496
    • /
    • 2007
  • 고분자계 치아 수복용 복합재에서 2,2-bis[4-(2-hydroxy-3-methacryloyloxy propoxy) phenyl] propane(Bis-GMA) 70 wt%와 희석제인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TEGDMA)가 30 wt% 포함된 혼합물이 레진 기질로 사용되고 있다. Bis-GMA의 높은 점도로 인해 첨가되는 TEGDMA는 수복재의 높은 경화 수축과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TEGDMA 첨가량을 감소시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수복재를 제조하기 위해 저점도 Bis-GMA 유도체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하였다. 히드록실기를 포함하지 않는 Bis-GMA 유도체들의 경화 특성은 Bis-GMA와 비슷하였지만 이들의 흡습성과 점도는 Bis-GMA에 비해 크게 낮았다. Bis-GMA 유도체를 포함한 수복재를 제조하여 경화 수축률, 흡습성, 기계적 물성을 실험한 결과 기존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수복재보다 낮은 흡습성과 탁월한 물성을 나타내었고, 경화 수축률도 약 25% 감소하였다.

선형 및 분지화된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기계적 성질과 유동특성 (Flow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inear and Branched Polycarbonates Blends)

  • 류민영;이재식;배유리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38-47
    • /
    • 2000
  • 본 논문은 선형 폴리카보네이트와 분지화된 폴리카보네이트를 블렌드한 시스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여러가지 조성으로 두 성분을 블렌드하여 각 조성에 대해서 상용성, 기계적 성질 그리고 유동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블렌드 시스템에서 상분리는 관찰되지 않았고 상용성도 있었다. 기계적 성질은 블렌드의 각 조성에 대해서 인장강도, 굽힘강도 그리고 충격강도 등을 측정하여 검토하였으며, 흐름특성 역시 블렌드의 각 조성에 대해 용융점도, 저장탄성률 및 손실탄성률을 여러 온도에서 측정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용융점도의 분자량에 대한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선형 폴리카보네이트와 분지화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조성에 따라 기계적 물성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흐름특성은 큰 변화가 있었다. 본 블렌드 시스템에서 분지화된 폴리카보네이트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의 분자량에 대한 의존성이 컸으며, shear thinning 현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료의 기계적 물성의 변화없이 흐름특성이 다른 블렌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 PDF

유구 이전 전용 저점도형 에폭시와 박리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el off Style Low Viscosity Epoxy and Separation Media for a Moving Historic Sites)

  • 한원식;홍태기;박기정;임성진;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4권
    • /
    • pp.37-42
    • /
    • 2008
  • 유구 이전의 안정성은 고분자 재료의 물리적 우수성뿐만 아니라 작업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들 유구 이전 재료들은 토양에 함유된 수분 함량이나 낮은 온도와 같은 주위 환경의 영향이 없이 작업이 가능해야 하며, Epoxy최종 생성물로부터 Urethane 1차 생성물을 박리시키는 작업 공정 중의 안정성과 작업성도 요구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저점도의 Epoxy polymer와 경화제 및 유구 이전을 위한 박리제에 대한 합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 유구 이전 전용 저점도 Epoxy는 우수한 접착 강도와 자체 강도, 작업성 등의 물리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박리제는 우레탄과 저점도의 Epoxy 간의 우수한 박리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양이온 중합을 이용한 폴리알파올레핀의 미세구조 조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Microstructures of Polyalphaolefins via Cationic Polymerization)

  • 고영수;권완섭;노명한;임진형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346-352
    • /
    • 2015
  • 폴리알파올레핀(PAO)은 유동점, 점도지수, 열/산화 안정성이 광유 기반의 윤활유보다 우수한 합성 윤활유이다. 본 연구에서는 1-펜텐, 1-헥센, 1-옥텐, 및 1-도데센을 단량체로 사용하고 세가지 종류의 알루미늄계 루이스 산촉매로 양이온 중합을 수행하여 다양한 PAO를 합성하였다. PAO 중합 성능과 제조된 PAO의 분자량, 동점도, 유동점과 점도지수를 다양한 중합 조건에서 조절할 수 있었다. 알킬 알루미늄 할라이드계 촉매가 기존의 $AlCl_3$계 촉매에 비하여 촉매 성능이 우수하였다. PAO의 미세구조를 비행-시간형 질량분석기(TOF-MS) 해석을 통하여 PAO의 미세구조와 윤활유로의 성능(점도지수, 유동점)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PAO의 점도지수는 알파 올레핀의 탄소수 증가에 따라 상승하여, PAO의 분지길이가 점도지수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Organic Solvent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plit-type micro fiber fabrics

  • Lee, Kwang-Ju;Kim, Seong-Hun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The Korea-Japan Joint Symposium
    • /
    • pp.95-95
    • /
    • 2003
  •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organic solvent viscosity on absorption properties of split-type micro fiber fabrics is examined with real time absorption measurement device built by our research group recently. And the absorption behavior of these fabrics is analyzed by material, fineness, construction, weight, thickness, and density of fabr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