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butylene terephthalat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유리섬유와 열전도성 첨가제가 함유된 PBT 수지의 기계적 물성거동에 미치는 열충격피로의 영향 (Thermal Shock Fatigue Influence on Mechanical Property Behavior of PBT Resin Embedded by Glass Fibers and Thermal Conductive Particles)

  • 김기수;최낙삼;박상대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83-89
    • /
    • 2014
  • 본 연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Polybutylene terephthalate(PBT)에 첨가물을 넣어 강도와 열전도성, 열충격내구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PBT에 유리섬유(Glass Fiber)와 Boron nitride(BN)을 복합적으로 첨가하여, 각각의 조성비에 따른 기계적 특성과 열전도 특성변화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BN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전도도는 증가하였고, 기계적 강도는 작아졌다. 열충격싸이클을 가한 결과, 비충전 PBT는 파단 신장률이 작아졌으나 충전 PBT는 강도와 열전도율이 별다른 성질변화가 거의 없었다. BN의 첨가에 따라 PBT 복합재의 열전도도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4-부탄디올의 에스테르교환 반응 특성 (Transesterification Kinetics of Dimethyl Terephthalate with 1,4-Butanediol)

  • 조임표;이진홍;조상환;조민정;한명완;강경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1호
    • /
    • pp.58-67
    • /
    • 2013
  •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는 저흡수율, 치수 안정성, 내마모성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며,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각종 정밀 부품에 사용된다. DMT (dimethyl terephthalate)와 BD (1,4-butandiol)를 사용하여 PBT의 원료단량체인 BHBT (bis-hydroxybutyle terephthalate)를 생산하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반응에 대해 연구 하였다. 촉매로는 zinc acetate가 사용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반응 중 생성 메탄올이 제거되는 반회분식 반응기를 통한 kinetics 연구가 이루어져 역반응이 고려되지 않음에 따른 모델의 부정확함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고 반응 중 DMT와 메탄올 양을 정량하여 생성되는 MHBT (methyl hydroxylbutylene terephthalate)와 BHBT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반응들에서 역반응들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반응속도 모델을 제시하였고, 이 모델들이 예측한 값들이 실험 데이터와 잘 일치함을 보였다.

Polycarbonate/polybutylene Terephthalate/Impact Modifier 블렌드의 유동특성, 기계적 성질 및 내화학성 (Flow Characteristics,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of Polycarbonate/Polybutylene Terephthalate/Impact Modifier Blends)

  • 류민영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237-244
    • /
    • 2002
  • 본 논문은 폴리카보네이트 (PC)/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충격보강제 (IM) 블렌드에서 PC와 PBT의 조성비에 따른 기계적 성질 및 유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부타디엔계 IM과 부틸아크릴레이트계 IM을 사용하여 각각의 함량에 따른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의 변화와 저온에서의 충격강도를 관찰하였다. 블렌드의 내화학성을 살펴보기 위해 PC/PBT/IM 블렌드를 유기용제인 신너에 침지시킨 후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블렌드에 PC 함량이 많아질수록 인장 및 굴곡강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열변형 온도 역시 증가하였다. 충격강도는 PC의 함량이 약 50 wt% 일 때까지 급격히 증가하며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유동성은 PC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IM의 종류에 따라서 충격특성이 다르게 관찰되었는데, 부틸 아크릴레이트계 IM은 $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부타디엔계 IM보다 충격강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0^{\circ}C$ 미만에서는 충격강도가 현저하게 낮아졌다. 내화학성 실험에서는 블렌드에서 PC의 함량이 많을수록 인장 및 굴곡강도가 감소하는 반면 충격강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유기용제에 약한 PC가 연화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 사료된다.

생분해문어단지의 제작과 Polyethylene (PE) 문어단지와의 어획 비교 (Development of the biodegradable octopus pot and its catch ability comparison with a Polyethylene (PE) pot)

  • 차봉진;이건호;박성욱;조삼광;임지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1호
    • /
    • pp.10-17
    • /
    • 2011
  • Biodegradable octopus pot was developed to reduce plastic pollution problem in the sea and fishing trouble between fishermen. It can be expect to recycle other wasted biodegrade fishing gear.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fishing efficiency between Polyethylene (PE) octopus pots and biodegradable (Polybutylene Succinate and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octopus pots which was tried to make in this study in the sea. There were caught by 237 numbers of fishing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mong the 237 numbers of fishing, 160 or 67.5% were PE pots which were more than the biodegradable pots. A comparison of the monthly catches between the PE pots and biodegradable pots shows that the catches were overall higher in the PE pots than in the other pots. The result is very similar with the comparison of total catches by each type of the pots. In terms of bycatch, the number of species, amount of catches and the number of fishing with bycatch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biodegradable pots than in the PE pots.

용융방사에 의한 생분해성 PBS/PBAT 블랜드 모노 필라멘트 제조 및 물리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butylene succinate/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blend monofilament by melt spinning)

  • 박성욱;김성훈;최혜선;조현혹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3호
    • /
    • pp.257-264
    • /
    • 2010
  • In order to improve the breaking strength and elongation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monofilament, the monofilament was produced by blending PBS and Polybutly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The PBS/PBAT blend monofilament was prepared by the melt spinning system, and the weight ratios of the compositions of PBS/PBAT was 100/0, 95/5, 90/10 and 85/15, respectively. The breaking strength, elongation, softness and crystallization of PBS/PBAT blend monofilament were analyzed by using a tensionmeter, softness measurement, X-ray diffractometer in the both dry and wet conditions. The PBS/PBAT blend monofilaments were spun in the take-up velocity of 1.19m/sec under the drawing ratio of 6.8:1 condition. The production volumes of PBS/PBAT blend monofilaments showed 20% less than that of Nylon. The breaking strength of PBS/PBAT blend monofilaments were decreased as PBAT contents increased, while elongation and softness were increased. In case of PBAT content were over 5%, the breaking strength, elongation and softness of PBS/PBAT blend monofilaments were not shown to increase in spite of increasing in PBAT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make the monofilaments with the maximized physical properties when the PBAT contents at 5%.

상분리법을 활용한 생분해성 폴리젖산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 동향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 Membranes via Phase Separation: A Review)

  • 투미스 아요드 오티토주;조영훈
    • 멤브레인
    • /
    • 제34권1호
    • /
    • pp.20-29
    • /
    • 2024
  • 분리막 기술은 해수담수화, 기체분리 등 산업용 분리 정제 공정을 비롯하여 우리 주변의 생활용품, 의료 및 헬스케어 제품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지속가능한 친환경 분리막 제조 기술 또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polylactic acid (PLA),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polybutylene succinate (PBS) 등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분리막 제조기술이 보고되어 왔다. 기존 분리막 소재와 마찬가지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들 또한 상분리 공정을 통해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총설을 통해 대표적인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 기반의 상분리 공정을 활용한 분리막 제조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개발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재활용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이용한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올리고머 제조 (Production of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Oligomer from Recycled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 조민정;양정인;노승현;조홍제;한명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37-442
    • /
    • 2016
  • 재활용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부터 PBT (Poly butylene terephthalate)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 방법은 PET와 BD (1,4-butanediol)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하여 BHBT (Bishydroxybutylterephthalate) 올리고머를 생성하는 글리콜리시스 반응과 BHBT의 축합 중합 반응을 통하여 PBT 올리고머를 생성하는 축중합 반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단기 수명 주기 제품인 버려지는 PET 페자원을 장기 수명 주기 제품인 PBT로 변환시켜 더 가치 있고 바람직한 재활용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글리콜리시스와 축중합 촉매로 zinc acetate를 사용하였고, 글리콜리시스 반응에 대하여 회분식 반응기와 반 회분식 반응기를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성되는 에틸렌글리콜(EG)의 양을 정량하여 해중합도를 추정할 수 있는 EG 수율과 부산물인 THF 생성량을 성능 척도로 하였다. 반응 도중에 EG를 제거하는 반회분식 반응기의 성능이 회분식 반응기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회분식 반응기의 경우 최적의 반응조건은 BD/PET 비율 4, 반응온도 $220^{\circ}C$ 이었으며, 최고 EG 수율은 91% 이었다. 또한 축 중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PBT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Imparting Disperse and Cationic Dyeability to Polypropylene through Melt Blending

  • Teli M. D.;Adivarekar R. V.;Ramani V.Y.;Sabale A.G.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4호
    • /
    • pp.264-269
    • /
    • 2004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improvement in disperse dyeablility as well as imparting of cationic dyeablility to difficultly dyeable polypropylene by a melt blending technique. Isotactic polypropylene (PP) was blended with fibre grad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cationic dyeab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DPET) and polystyrene (PS), individually. The resulting binary blends were spun and drawn into fibres at draw ratio 2, 2.5, and 3. The compatibility of blends, structural changes of fibres in terms of X-ray crystallinity, relative crystallinity, sonic modulus, birefringence and thermal stability were examined. The blended fibres were found to be disperse dyeable by the conventional method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yeing. And this dye ability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level of substitution. PP/CDPET blend also exhibited dyeablility with cationic dyes in addition to that with disperse dyes. The optimum level of blending was predicted keeping in view of tenacity and thermal stability of melt blend fibres. The wash fastness properties of the dyed fibres were found to be of high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