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Butylene-Terephthalate(PB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유기화 점토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나노복합체 섬유; PBT, PET, 그리고 PTT의 열적-기계적 성질 및 모폴로지 (Polyester Nanocomposite Fibers with Organoclay; Thermo-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PBT, PET, and PTT)

  • 김성종;문무경;장진해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190-197
    • /
    • 2005
  • 유기화 점토인 도데실트리페닐포스포늄-몬모릴로나이트$(C_{12}PPh-MMT)$를 이용한 세가지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기계적 성질 및 모폴로지 등을 서로 비교하였다. 매트릭스 고분자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등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나노복합체 섬유를 만들었다. 각 나노복합체 섬유의 물성들은 첨가된 유기화 점토의 양과 연신 비에 따라 변하였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섬유 중 점토의 일부는 나노크기로 잘 분산 되었으나 한편으로는 동시에 뭉쳐진 형태도 보였다. 본 연구로부터 소량의 유기화 점토의 첨가가 나노복합체 섬유의 열 안정성과 기계적 성질을 증가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음을 알았고, $5\;wt\%$ 이하의 소량의 점토만으로도 순수한 매트릭스 고분자 섬유의 강도나 탄성률보다 더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연신 비가 증가할수록 모든 고분자 복합체 섬유의 강도와 탄성률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PTT의 초기 탄성률은 연신 비에 무관하게 일정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의 내화학성 (Chemical Resistance of Polycarbonate/Poly(butylene terephthalate) Blends)

  • 류민영;최대환;김영희;나창운
    • 폴리머
    • /
    • 제34권3호
    • /
    • pp.237-241
    • /
    • 2010
  • 본 연구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PBT) 블렌드의 기계적 특성과 내화학성을 조사하였다. 내 화학성 실험을 위해 일반 신너(thinner)와 PC용 신너를 PC/PBT 블렌드에 처리한 후 물리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PC용 신너의 경우 PC/PBT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반면, 일반 신너의 경우 상대적으로 영향이 미미하였다. PC용 신너를 처리한 경우 PC 함량이 낮은 범위에서는 PC 함량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하나 PC 함량이 높은 범위에서는 PC의 낮은 화학저항성에 기인하여 기계적 물성의 하락이 크게 나타났다. 순수한 PC의경우 PC 신너에 의해 불투명해지고 이는 용매유도 결정화에 기인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CAE 해석을 통한 차량 전장시스템의 커넥터 성능향상 (Connect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Automobile Wiring Harness System using CAE Analysis)

  • 김준형;이종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5-530
    • /
    • 2003
  • Recently an automobile industry is concerned about an automobile wiring harness system. It means that development of component modules is on the increase. An importance of the connector in one part of the modules will be enhanced. A connector is made of P.B.T. (Poly Butylene Terephthalate). PBT is resistant to the high temperature. This paper deals with thermal strain of connector. According as temperature increase, effects of the temperature and thermal strains give an analysis of the deformation using ABAQUS. This apparent thermal strain results actually from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Being based on this analysis, axiomatic design applies to design parameters of the connector. As compared with CAE analysis, a performance improvement makes certain of the truth of the matter.

  • PDF

자외선 조사에 의한 폴리에스터의 광가교 (Photocrosslinking of Polyester by UV irradiation)

  • 윤득원;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5차 학술발표회
    • /
    • pp.7-7
    • /
    • 2011
  •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aterials in textile industry. It can have a low cost, silk-like handle,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Low thermal stability of PET had been a common problem limiting its high temperature application. The polyester have been known to have the disadvantage of degradation under ionized irradiation compared to crosslikable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olystylene. To improve thermal stability of PET, the PET films were photocrosslinked by UV irradiation. A hydrogen-abstractable photoinitiator was used to photocrosslink of PET by continuous UV irradiation. Photoinitiator addition increased the gel fraction. The photocrosslinking was attributed to the recombination of PET radicals generated upon UV irradiation, which was enhanced by the hydrogen abstraction of the PET polymer chains by the added photoinitiator. Also the crosslinked PET showed higher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with increasing UV energy. Polyester type films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PEN) and poly(butylene terephthalte)(PBT) were also increased the gel fraction and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by UV irradiation.

  • PDF

블렌드 조성과 상용화제가 폴리프로필렌/ABS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end Composition and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Blends)

  • 박정훈;승유택;김우년;홍존희;홍병권;유태욱;윤호규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19-24
    • /
    • 2005
  •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 고분자 블렌드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이축압출기를 통해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lzod 충격 시험기를 사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PP/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블렌드의 경우, PP-g-styrene acrylonitrile(PP-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였으며, ethylene-ethyl acrylate-maleic anhydride(E-EA-MAH-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서 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olycarbonate(PC)/Nylon-6,6 블렌드의 경우, ethylene glycidylmethacrylate(E-GMA) 상용화제를 0.5 phr 첨가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C/Nylon-6,6/poly(methyl methacrylate)(PMMA)/poly(oxymethylene)(POM)/poly(vinyl acetate)(PVC)/poly(butylenes terephthalate)(PBT) 블렌드에서 PP-g-SAN 같은 물리적 상용화제와 E-GMA 와 E-EA-MAH-g-SAN 같은 반응상용화제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PBT와 Nylon6,12의 블렌드 특성과 core/shell 구조를 갖는 PBT/Nylon6,12 미세모의 제조 및 압출조건 (Blend Characteristics of PBT, Nylon6,12 and Preparation of PBT/Nylon6,12 Micro Fib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their Extrusion Conditions)

  • 박희만;이선호;곽노석;황치원;박성규;황택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68-1075
    • /
    • 2012
  • 압출성형을 통한 core/shell 구조를 갖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Nylon6,12 미세모를 제조함에 있어 최적의 압출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압출온도와 배합비를 다르게 하여 제조한 블렌드 미세모의 상용성을 SEM 모폴로지와 DSC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UTM을 통해 압출속도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SEM 모폴로지 분석결과 압출온도가 증가할수록 분산상인 Nylon6,12 비드의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Nylon6,12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BT 매트릭스 내 Nylon6,12의 상분리 현상이 감소하였다. DSC 분석 결과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는데, 압출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녹는점에 해당하는 피크들의 경계가 사라지고, Nylon6,12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두 피크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PBT/Nylon6,12 블렌드 미세모의 인장강도와 연신율 및 굴곡강도와 굴곡탄성률 모두 압출온도가 $260^{\circ}C$ 일 때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260^{\circ}C$에서의 인장강도와 연신율, 굴곡강도, 굴곡탄성률은 각각 560 $kg_f/cm^2$와 220%, 807 $kg_f/cm^2$, 22,146 $kg_f/cm^2$였는데 이는 PBT와 Nylon6,12의 중간 값을 상회하는 수치로 두 물질이 압출성형에 의한 블렌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우수한 상용성을 보일 때의 블렌드 압출 조건들을 토대로 하여 core/shell 구조의 이중구조 미세모를 제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