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 propylene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19초

Novel Composite Membranes Comprising Silver Salts Physically Dispersed in Poly(ethylene-co-propylene) for the Separation of Propylene/Propane

  • Kim, Jong-Hak;Min, Byoung-Ryul;Kim, Yong-Woo;Kang, Sang-Wook;Won, Jong-Ok;Kang, Yong-S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343-347
    • /
    • 2007
  • Novel composite membranes, which delivered high separation performance for propylene/propane mixtures, were developed by coating inert poly(ethylene-co-propylene) rubber (EPR) onto a porous polyester substrate, followed by the physical distribution of $AgBF_4$. Scanning electron microscopy-wavelength dispersive spectrometer (SEM-WDS) revealed that silver salts wer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EPR layer. The physical dispersion of the silver salts in the inert polymer matrix, without specific interaction, was characterized by FT-IR and FT-Raman spectroscopy. The high separation performance was presumed to stem from the in-situ dissolution of crystalline silver ionic aggregates into free silver ions, which acted as an active propylene carrier within a propylene environment, leading to facilitated propylene transport through the membranes. The membranes were functional at all silver loading levels, exhibiting an unusually low threshold carrier concentration (less than 0.06 of silver weight fraction). The separation properties of these membranes, i.e. the mixed gas selectivity of propylene/propane ${\sim}55$ and mixed gas permeance ${\sim}7$ GPU, were stable for several days.

폴리프로필렌/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블렌드의 기계적 성질 및 웰드라인 물성에 미치는 폴리프로필렌-옥텐 공중합체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oly(propylene-co-octene) as a Compatibilizer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Weldline Characteristics of Polypropylene/Poly(ethylene-co-octene) Blends)

  • 구효선;손영곤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3호
    • /
    • pp.251-25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메탈로센 (metallocene) 촉매로 중합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제로 사용한 복합 폴리프로필렌 (PP)에 상용화제로 프로필렌-옥텐 공중합체의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사용된 프로필렌-옥텐 공중 합체는 실험실에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하였다. 상용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복합 PP의 경우 웰드라인에서 기계적 물성이 매우 낮았는데 상용화제의 첨가에 따라 웰드라인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용화제 가 첨가된 복합 PP라도 웰드라인이 없는 시편에서는 물성개선이 크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제조된 상용화 제의 분자량이 매우 낮기 때문이었다. 적절한 조건에서 분자량이 높은 프로필렌 옥텐 공중합체를 제조한다면 상용화제로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내수성 향상을 위한 수성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borne Polyurethane for Water Resistance)

  • 최민지;정부영;천정미;박큰별;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18권1호
    • /
    • pp.8-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polyester polyol을 사용한 수성 폴리우레탄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olyester polyol, poly(propylene carbonate) (PPC),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사용하여 수성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PPC를 사용하여 합성된 수성 폴리우레탄의 물성은 FT-IR, GPC, DSC 및 UTM 등을 통해 평가하였다. PPC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합성된 수성 폴리우레탄의 기계적 물성은 증가하였으며 polyester polyol과 PPC의 비가 9 : 1일 때 가장 높은 값의 내수성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을 통한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Low Molecular-weight Poly (Propylene Carbonate)-Poly (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s through $CO_2$/Propylene Oxide Copolymerization)

  • 이상환;;전종엽;이분열
    • 청정기술
    • /
    • 제17권3호
    • /
    • pp.244-249
    • /
    • 2011
  •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을 통하여 고분자 사슬 내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가 공존하는 저분자량의 블록 공중 합체를 합성하였다. 고활성의 촉매를 사용한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 반응에 단말기로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분자량 조절제로 투입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단말기 한쪽 끝에만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였을 때는 PEG-block-PPC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지고, 단말기 양쪽 끝 모두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였을 때는 PPC-block-PEG-block-PPC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는 $^1H$-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구조 분석을 하였고 GPC를 통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유연 기판 소재로 응용을 위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나프탈레이트)의 치수안정성 연구 (Dimensional Stability of Poly(ethylene/propylene naphthalate) as a Flexible Substrate Application)

  • 김재현;허혜영;정태형;한준희;강호종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71-376
    • /
    • 2009
  •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에틸렌글리콜과 함께 1,3-프로판디올을 혼합사용하여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나프탈레이트)를 합성하고 이를 유연 기판 소재로 적용하기 위한 물성을 살펴보았다. NMR 실험 결과, 에틸렌과 프로필렌 segment가 함께 공존하는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나프탈레이트)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에틸렌과 함께 프로필렌 segment가 존재하는 경우 합성된 폴리에스터의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유리전이온도와 열분해온도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합성된 폴리(에틸/프로필렌 나프탈레이트)의 주사슬에 에틸렌 보다 상대적으로 긴 프로필렌이 공존함에 따라 주사슬 배향이 어려워 열팽창계수가 감소함에 따라 합성 시 1,3-프로판디올 첨가에 따른 다소간의 내열온도 감소에도 저수축 유연기판 소재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Structural Effects on the Tensile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Zeolite-filled Polypropylene Derivative Composites

  • Jagannath, Jagannath Biswas;Kim, Hyun;Yim, Chai-Suk;Cho, Jungh-Wan;Kim, Geon-Joong;Choe, Soon-Ja;Lee, Dai-S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5호
    • /
    • pp.443-450
    • /
    • 2004
  • We have studied the effects that inorganic zeolite powder have on structurally different copolymer [poly(propylene-co-ethylene)] and terpolymer [poly(propylene-co-ethylene-co-l-butene)] systems and the possibility of preparing suitable porous composite films. The impact strength and yield stress of the composites did not improve upon any further loading of zeolite, but the modulus increased gradually with respect to the filler loading. The experimental modulus of each of the two systems was compared with theoretical models. We performed a morphological study of the filler mixing efficiency and image analysis. The number-, weight-, and z-average air hole diameter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draw ratio as well as the zeolite load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these two matrices can provide a new choice for preparing future multiphase polymeric porous films by stretching them unidirectionally. In particular, we suggest that a 40 wt% zeolite loading at a draw ratio of 4 is useful for porous film applications.

폴리염화비닐의 친환경 가소제로서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izer for Poly(vinyl chloride))

  • Zhao, Yan;Liang, Hongyu;Wu, Dandan;Bian, Junjia;Hao, Yanping;Zhang, Guibao;Liu, Sanrong;Zhang, Huiliang;Dong, Lisong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47-255
    • /
    • 2015
  •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PPA) was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izer in flexible poly(vinyl chloride) (PVC). Thermal,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PVC/PPA blends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ynamic mechanical analysis, tensile te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small amplitude oscillatory shear rhe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PPA lower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VC. The introduction of PPA could decrease tensile strength and Young's modulus of the PVC/PPA blends; however, elongation-at-break was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the plastic deformation. The plasticization effect of PPA was also manifested by the decrease of dynamic storage modulus and viscosity in the melt state of the blen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PA had a good plasticizing effect on PVC.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poly(propylene glycol)diacrylate 막의 이산화탄소 기체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CO_2$ Throug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Membrane)

  • 임지원;남상용;이선용;윤태일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250-257
    • /
    • 2004
  • 이산화탄소 분리에 이용하기 위하여 PEG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와 PPG (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를 광학 중합반응(Photopoly merization)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PEG와 PPG는 분자량이 각각 258과 540이었다. PEG와 PPG의 질량 혼합비(wt%)를 9:1, 8:2, 7:3, 6:4, 5:5로 변화시키면서 막을 제조하였다. $25^{\circ}C$에서 PEG/PPG (9:1)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28.9 barrel 으로 나타났으며, 선택도($PCO_2$/$PN_2$)는 57.9로 나타났다. 같은 온도에서 PEG/PPG(5:5)로 조성을 변화시켰을 때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40.4 Barrer, 기체선택도($PCO_2$/$PN_2$)는 51.8를 나타냈다 이산화탄소의 투과도는 5:5 > 6:4 > 7:3 > 8:2 > 9:1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35^{\circ}C$로 승온을 하는 경우에 PEG/PPG (9:1)는 45.4 Baller, 선택도($PCO_2$/$PN_2$)는 48.2을 나타냈으며, PEG/PPG (5:5)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78.9 Barrer을 나타내고 선택도($PCO_2$/$PN_2$)는 33.2로 나타났다. 각각의 온도에서 이산화탄소의 기체선택도($PCO_2$/$PN_2$)는 PPG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ynthesis and Adhesion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 Adhesives for Footwear according to Polyol Blending

  • Choi, Min Ji;Jeong, Boo Young;Cheon, Jung Mi;Chun, Jae Hwa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2권1호
    • /
    • pp.81-85
    • /
    • 2017
  •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resistance, we synthesized waterborne polyurethane by using polyester polyol, poly(propylene carbonate) (PPC),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and dimethylolpropionic acid (DMPA). The properties of the synthesized waterborne polyurethane using poly(propylene carbonate) (WPUP) were evaluated by FT-IR, $^1H-NMR$, GPC, DSC, TGA, and UTM. The mechanical properties increased while the adhesion propertie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PC. The highest water resistance was shown when the ratio of polyester polyol to PPC was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