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directions

검색결과 1,118건 처리시간 0.025초

북한의 신축 건축물 예측을 통한 통일 후 한반도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의 시장 분석 -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 (Market Analysis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of the United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New Building Prediction in North Korea - Focused on Building Energy Conservation Plan, Building Energy Rating Certification, and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

  • 곽영훈;신성은;박진영;도화용;김혜정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75-85
    • /
    • 2016
  • This research aims to predict and analyz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market of Korean Peninsula after unification. First, it analyzes prospected unification time period, then it forecasts number of new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buildings to be constructed based on estimated number of residences in short at the time in North Korea. There exists a good chance that North Korea's new building market forms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 as unification would thoroughly proceed which would result levels of economic culture social politics in quasi-equal state. Thus, assuming the ratio of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building against population is similar in both Korea's, the number against North Korea's house supplied population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expected numbers in North Korea, number of proceeded Building Energy Conservation Plan, Building Energy Rating Certification, and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are predicted. The research shows certification market related to green building in united Korean Peninsula to be \660 billion over 10 years. Not only certifications to newly built buildings but also including existing buildings, this market is to grow to a considerable extent. As this would largely influence eco-constructive materials, energy plant/equipment, and other relevant markets as well, it would require to make thorough preparations. In sum, to stabilize green building market even before the unification, the research proposes the necessities of appropriate systems in consideration of North Korea, through in-depth discussions and establishment of technology and policy directions in green building sector, such as building energy management and emission reduction technology.

글로벌무역인력 양성을 위한 합리적인 무역학 교과과정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Direction of Modification of the Trade and International Business Curriculum for Global Trade Expert)

  • 박광서;유광현
    • 무역상무연구
    • /
    • 제37권
    • /
    • pp.329-360
    • /
    • 2008
  • In Korea, the major of international trade and business introduced in the 1960s to supply trade expert to trading companies, and the heyday of the trade major was in the 1980s. However the trade major fell into decay from the middle of 1990s. The purpose of trade education in university is to supply high qualified employees to societies and companies. The problem is that companies have difficuties for recruiting of trade expert,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graduates have few job oppertunies. It has some discrepancies between education and field.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direction of modification of the trade and international business curriculum for global trade expert. We research international trade and business departments' curriculums of GTEP universities. GTEP stands for global trade expert incubating program started from 2006 which have charge of MOCIE and KITA. First, in the title of department, a lot of former researchers have taken up the position to return "Trade" or "International Trade". We think more important fact is not the title of department but the curriculum, so we insist on a harmony between the department title and curriculums. The focus of modification of curriculum is to educate global trade expert, so we need to know about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nd companies' needs also. Second, We propose the directions for modification of curriculum are "convergence" and "specialty". Trade major is a mixed study in nature and trade major try to treat lots of subjects such as trade, business adminstration, economics,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commerce, logistics and marketing etc to catch up changing global business circumstanses and companies' needs. So convergence of adjacent field is very important in study and training. Specialty means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for global trade expert. It is difficult to learn every knowledge and skills for employer's needs in 4 years and 140 credits. A students who has studied basic subject in trade, management, economics can choose 1 or 2 specailty subject such as trade and e-commerce, global marketing,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commerce and policy, servive trade, foreign language and cross culture etc. In concusion, the concept of convergence and specialty is not separation but harmony each other, so we propose to promote two concept together for modification of the trade and international business curriculum for training of global trade expert.

  • PDF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의 등급유지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Grade Maintenance of Long-Term Care Service Users)

  • 문용필;이호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6-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의 장기요양등급 유지 및 변경특성을 분석하고,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의 등급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원자료(인정 및 급여자료)를 활용하여 2008-2014년 장기요양 급여를 이용한 자를 분석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자를 등급집단(1-3등급)별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질병요인, 서비스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1, 3등급에서 64세 미만자가 80세 이상자보다 등급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3등급에서 독거자가 비독거자에 비해, 농어촌거주자는 대도시거주자에 비해 등급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질병 요인에서 1등급에서 치매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2, 3등급에서 반대로 나타났다. 2등급에서 중풍, 골절 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3등급에서 암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요인에서는 2, 3등급에서 갱신횟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1등급에서 시설이용일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2등급에서 재가이용일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제도개선에 대한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환경서비스업과 물류서비스업의 예측 및 인과성 검정 (Prediction and Causality Examination of the Environment Service Industry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 선일석;이충효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6호
    • /
    • pp.49-57
    • /
    • 2014
  • Purpose - The world now recognizes environmental disruption as a serious issue when regarding growth-oriented strategies; therefore, environmental preservation issues become pertinent. Consequently, green distribution is continuously emphasized. However, studying the prediction and association of distribution and the environment is insufficient. Most existing studies about green distribution are about its necessity, detailed operation methods, and political suggest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together, for green distribu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RIMA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service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ies,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VAR (vector auto regressive) was us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This study used 48 quarters of time-series data, from the 4th quarter in 2001 to the 3rd quarter in 2013, about each business type's production index, and used an unchangeable index. The production index about the business type is classified into the current index and the unchangeable index. The unchangeable index divides the current index into deflators to remove fluctuation. Therefore, it is easy to analyze the actual production index. This study used the unchangeable index. Results - The production index of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production index of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consider the auto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rtial autocorrelation coefficient; therefore, ARIMA(0,0,2)(0,1,1)4 and ARIMA(3,1,0)(0,1,1)4 were established as final prediction models, resulting in the gradual improvement in every production index of both types of business. Regarding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s production index, it is predicted that the 4th quarter in 2014 is 114.35, and the 4th quarter in 2015 is 123.48. Moreover, regarding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s production index, it is predicted that the 4th quarter in 2014 is 110.95, and the 4th quarter in 2015 is 111.67. In a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impacts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but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does not impact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Conclusions - This study predicted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with the ARIMA model, and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rough the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the VAR Model. Prediction reveals the seasonality and gradual increase in the two industries. Moreover,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impacts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but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does not impact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This study contributed academically by offering base line data needed in the establishment of a future style of management and policy directions for the two industries through the prediction of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and test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which is insufficient in existing stud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deeper considerations of advanced studies are deficient, and the effect of causality between the two types of industries on the actual industry was not established.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Childcare Policies In Korea)

  • 박경자;황옥경;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13-538
    • /
    • 2013
  • 우리나라는 1921년 태화기독교 여성관 탁아프로그램으로 보육이 시작된 이후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는 등 질적인 보육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이 꾸준히 발전해왔다. 약 90년 정도 된 보육의 역사에서 보육정책을 담당하는 부처는 시대에 따라, 그리고 관련 법의 규정에 따라 보건사회부, 농업진흥청, 내무부, 문교부, 노동부 등 여러 부처로 분산되어 왔으나, 1991년 제정된 영유아보육법에 의해 보건복지부로 일원화되었고 2004년에는 여성가족부로, 2007년에는 다시 보건복지부로 이관되었다.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1991년 제정된 영유아보육법을 기점으로 교육부 관할의 유치원과 보건복지부 관할의 어린이집의 이원체제로 운영되어 왔다. 최근 출산율의 급속한 저하로 인해 출산율 회복을 위한 정책 개발과 보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보육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현재 보육정책의 주요 특징과 앞으로 다가올 시대를 위해 보육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ICT융합벤처기업 임직원들의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ICT Convergence Venture Companies -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 이형곤;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265-2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를 기반으로 다양한 융복합 기술, 제품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ICT융합벤처기업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이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변수 역할을 탐구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수도권 소재 15개 ICT융합벤처기업의 임직원 301명이 최종 표본으로 확정되었다.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ICT융합벤처기업 임직원의 직무특성 3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 2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적 지원은 모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단, 역할모호성에 대한 동료의 지원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ICT융합벤처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 후,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퍼지 TOPSIS를 이용한 신임교수선택을 위한 집단의사결정 (Group Decision Making for New Professor Selection Using Fuzzy TOPSIS)

  • 김기윤;양동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229-239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의 신임교수선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TOPSIS 방법을 퍼지 환경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 각 후보자에 대한 평가와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는 사다리꼴 퍼지 수로 표현되는 언어적 용어로 기술된다. 여기서 두 사다리꼴 퍼지 수들 간의 거리는 vertex 방법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TOPSIS 개념에 따라서, 근접계수를 구해서 모든 후보자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1) 신임교수선택을 위한 4 개 평가기준(연구실적, 교육연구역량, 인성, 전공 적합성), 2) 집단의사결정을 위한 퍼지 TOPSIS 방법의 5단계 절차, 3) 신임교수선택 사례를 통해서 4명 후보자들의 우선순위를 도출했다. 본 논문의 결론은 퍼지 자료를 분석하려는 전문가에게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인사관리에서 직원선택문제를 해결하는 다기준 의사결정 도구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했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했다.

기업조직 구성원의 기업가정신과 개인 및 집단 창의성 관계에서 조직학습지향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of Corporate Members and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 송찬섭;노연숙;이다정;이선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99-110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조직 구성원의 기업가정신과 조직학습지향성, 개인창의성, 집단창의성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조직차원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의 관계를 다루었다. 특히 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학습지향성의 매개효과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과 개인 및 집단 창의성, 조직학습지향성의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경북의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08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은 개인·집단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고 조직학습지향성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기업가정신이 조직학습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학습지향성이 개인·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 차원에서 기업가정신과 조직학습지향성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문화적 측면에서 조직 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 사업 형태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배달 서비스와 카셰어링 서비스 중심으로 (An Explorative Study of Consumer Response on O2O Service Types: Focusing on Delivery and Car sharing service)

  • 성정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9-135
    • /
    • 2020
  • 본 연구는 현재 O2O서비스의 소비자 반응을 서비스 사업 형태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O2O서비스의 품질요인이나 기술수용이론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사업 형태별로 소비자가 중요시 여기는 요인과 소비자 반응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O2O 서비스 중에서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음식배달 서비스와 카셰어링 서비스를 선정, 비교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2O서비스는 소비자의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이므로 개인정보보안에 대한 이슈와 소비자와 플랫폼 업체 간의 발생되는 중개플랫폼의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마지막으로 O2O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개인과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사회적 규범을 주요 요인으로 살펴보았다. 30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O2O서비스 중 배달 서비스가 카셰어링 서비스보다 상대적으로 개인정보보안, 중개플랫폼의 신뢰, 사회적 규범이 낮은 소비자 집단에서 서비스태도에 더 호의적이었다. 다만 사회적 규범의 경우, 사회적 규범이 높은 소비자 집단에서 카셰어링 서비스가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제공되는 서비스제품 유형(식품 관련 서비스 vs. 자동차관련 서비스)이 다름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전통시장 이용객의 장소인식과 정책적 함의 (Place Recognition of Traditional Market Customers and Policy Directions for Revitalizing Communities)

  • 김도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17-5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을 소재지 입지에 따라 도시형과 농어촌형으로 구분하고, 이들 유형에 대해 각각 서울 종로구의 통인시장과 경북 봉화군의 봉화상설시장을 사례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들 시장을 방문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지역주민의식에 대해 설문한 결과, 지역의 전통시장을 소개할 의향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지역주민으로서의 자부심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당 지역의 전통시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지역공동체 지역문화 지역경제 부문 등 모두 24개의 항목을 설정하여 설문하였다. 그 결과 통인시장과 봉화상설시장의 이용객들은 자기 지역의 전통시장이 다른 지역주민에게 인정받는 시장이길 기대하는 정도가 강하고, 자기 지역의 전통시장이 언론에 소개되면 기분이 좋은 정도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지역의 전통시장이 발전하면 지역이 발전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정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전통시장의 발전을 위해 지역주민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의지도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전통시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공간을 인간의 삶을 담고 있는 장소로 바라보아야 한다. 또한 전통시장 문제를 인간적 문화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시장의 활성화는 '더욱 전통시장다움'에서 해법을 찾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