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Grade Maintenance of Long-Term Care Service Users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의 등급유지 영향요인 분석

  • 문용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 이호용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Received : 2017.09.21
  • Accepted : 2017.10.19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 grade maintenance of long-term care service users. Using 2008-2014 long-term care raw data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the predictors were examin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by long-term care beneficiaries of gra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y 3 factor groups and grade groups(1-3 grade). In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1, 3 grade, Individuals 64 or younger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those 85 and over. In the 3 grade, people of living alone, resident of rural area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disease factors, In the 1 grade, people with dementia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 2, 3grades. In the 2 grade, people with stroke, fracture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3 grade, people with cancer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service factors, In the 2, 3grade, people having more renewal number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1 grade, people who use facility benefits for more day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2 grade, people who use in-home benefits for more day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Based on the finding of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for policy consider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의 장기요양등급 유지 및 변경특성을 분석하고,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의 등급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원자료(인정 및 급여자료)를 활용하여 2008-2014년 장기요양 급여를 이용한 자를 분석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자를 등급집단(1-3등급)별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질병요인, 서비스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1, 3등급에서 64세 미만자가 80세 이상자보다 등급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3등급에서 독거자가 비독거자에 비해, 농어촌거주자는 대도시거주자에 비해 등급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질병 요인에서 1등급에서 치매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2, 3등급에서 반대로 나타났다. 2등급에서 중풍, 골절 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3등급에서 암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요인에서는 2, 3등급에서 갱신횟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1등급에서 시설이용일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2등급에서 재가이용일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제도개선에 대한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OECD, "Health at a Glance: 2015," Paris: OECD, 2015.
  2. 이준영, 사회보장론, 서울: 학지사, 2008.
  3.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년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4. 이윤경,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현황 및 문제점, 보건복지 이슈 앤 포커스(제137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5. 이호용, 문용필, 노인장기요양보험 갱신절차 효율화 방안,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6. C. Gori, J. L. Fernandez, and R. Wittenberg, "Long-Term Care Reforms in OECD countries," Policy Press: UK, 2016.
  7.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행에서의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 도입에 관한 고찰,"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2호, pp.219-242, 2013.
  8. 후생노동성(厚生勞動省), www.mhlw.go.jp, 2014.
  9. 이혜원, 김선경, 이고은, 정유진, 박지윤, "연령에 따른 인지 변화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제24권, 제2호, pp.127-148, 2012.
  10. 우종인, 이정희, 홍진표, "농촌지역 거주노인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이 한국판 MMSE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1호, pp.122-132, 1996.
  11. D. H. Kim, D. R. Na, B. G. Yeon, Y. W. Kang, K. B. Min, M. S. Lee, M. R. Lee, O. J. Pyo, C. B. Park, S. M. Kim, and S. S. Bae, "Prevalence of dementia in the elderly of an urban community in Korea,"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32, No.3, pp.306-316, 1999.
  12. 이현주, 강상경, "노년기 인지기능의 성별 및 연령 차이,"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7권, 제4호, pp.255-278, 2011.
  13. B. Miller and S. Mcfall, "The Effect of Caregiver's Burden on Change in Frail Older Person's Use of Formal Helper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2, pp.165-179, 1991. https://doi.org/10.2307/2137150
  14. 윤석한, 이광성, 조영채, "재가급여 장기요양인정 노인들의 신체기능 상태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338-2348,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5.2338
  15. 강임옥, 한은정, 박종연, "등급판정 관련 특성이 장기요양 등급률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제21권, 제3호, pp.381-396, 2011.
  16. F. Colombo, A. Liena-Nozal, J. Mercier, and Tjadens, "Help Wanted?: Providing and Paying for Long-Term Care," Paris: OECD, 2011.
  17.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월보(2016.12월), 국민건강보험공단, 2016.
  18. 권순만, 김홍수, 지속가능한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추계, 국민건강보험공단.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용역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19. 문용필, 이준영, "중.고령자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영향요인 분석: 베이비부머와 노인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32권, 제3호, pp.59-92, 2016.
  20. S. S. Bassuk, T. A. Glass, and L. F. Berkman, "Social disengagement and incident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31, No.3, pp.165-173, 1999. https://doi.org/10.7326/0003-4819-131-3-199908030-00002
  21. L. Fratiglioni, H. X. Wang, K. Ericsson, M. Maytan and B. Winblad, "Influence of social network on occurrence of dementia: a community-based longitudinal study," Lancet, Vol.355, No.9212, pp.1315-1319, 2000. https://doi.org/10.1016/S0140-6736(00)02113-9
  22.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0.
  23. 국경남, 김노을, 임승지, 박종연, 김재윤, 정우진,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미이용 관련요인 분석: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보건행정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49-356, 2014.
  24. 신은숙, 조영채, "일부 농촌지역 장기요양급여노인들의 인지기능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4493-4501, 2011.
  25. 전치혁, 강성홍, 박일수, 최인덕, 이수동, 정준용, 김은주, 장기요양 인정조사방식 개선에 대한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포항공과대학교 연구용역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
  26. 보건복지부,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방법,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3-106호(2013.6.28.)," 보건복지부, 2013.
  27. 강임옥, 한은정, 장기요양등급 인정률 발생요인분석 및 지역간 격차 개선방안,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정규연구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28. 이호용, 문용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전후 진료형태별 의료비 변화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1권, 제3호, pp.83-104, 2015.
  29. 김귀분, "노인성 치매의 현황과 전망," 대한간호, 제37권, 제1호, pp.16-24, 1998.
  30. J. W. Rowe, "Health Care of the Elderl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12, pp.827-835, 1985. https://doi.org/10.1056/NEJM198503283121305
  31. 정완교,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 한국개발연구, 제31권, 제1호, pp.142-167, 2010.
  32. 사공진, 송현종,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역별 인정률 결정요인에 대한 패널분석," 보건행정학회지, 제27권, 제1호, pp.56-62, 2017.
  33. 보건복지부, "치매특별등급 신설 등 장기요양보험 등급체계 개편에 따른 수가 신설.조정 및 보험료율 결정," 보도자료, (2014.5.2.), 2014.
  34. Swedish Association of Local Authorities & Regions, "Care of the Elderly in Sweden Today," The Swedish Association of Local Authorities & Federation of Swedish County Councils in collaboration, 2007.
  35. 문용필, 원서진, "산재경험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313-32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313
  36. 안권숙, 박승경, 조영채,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수준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480-488,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3.480
  37. 김형선, 박재영, 권인선, 조영채, "노인 장기요양보험급여 이용자들의 삶의 질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3808-3819,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10.3808
  38. 배남규, 송명수, 신은숙, 조영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5976-5985,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5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