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7초

밀리미터파 W-대역에서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 해석 및 응용 (Analysis of Radar Cross Section of the Tank and Its Application at Millimeter Wave W-Band)

  • 신호근;송성찬;김지형;박용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756-75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W-대역에서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을 분석한다.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은 PO와 PTD 기법 기반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상용 시뮬레이터와 비교를 통해 계산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은 입사각, 편파, 포신 유 무에 따라서 계산하고 분석한다. 포탑의 형상 변화를 통해 레이다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것을 스텔스 전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의 연소성질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Rigida Treated by Ammonium Salts)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03-407
    • /
    • 2010
  • 건축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소나무의 화재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연소성질을 분석하였다. 자연 건조된 소나무에 $(NH_4)_2SO_4$, $NH_4H_2PO_4$, $(NH_4)_2HPO_4$ 등의 암모늄염을 이용하여 난연성을 부가하였다. 소나무의 함수율은 10.2%였으며 초기 열방출 곡선은 $(NH_4)_2HPO_4$인 경우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가장 좋은 난연성을 보였다. $HRR_{peak}$ 값은 무처리된 경우 $217\;kW/m^2$, $(NH_4)_2SO_4$, $NH_4H_2PO_4$, $(NH_4)_2HPO_4$인 경우에는 각각 $190\;kW/m^2$, $188\;kW/m^2$, $166\;kW/m^2$로 나타났다. 즉 $(NH_4)_2HPO_4$로 처리된 경우 23.5%의 감소현상이 관찰되었다. $HRR_{peak}$ 도달 시간은 무처리된 시험편(290s) 및 $(NH_4)_2SO_4$, $NH_4H_2PO_4$, $(NH_4)_2HPO_4$으로 처리된 시험편은 각각 298s, 263s, 313s로 나타났다. 연기 발생속도는 사용한 암모늄염 중 $(NH_4)_2SO_4$로 처리된 시험편이 가장 작게 관찰되어 저발연성 감연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플라스크배양에서 버들송이버섯 균사체 배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celial Growth of Agrocybe aegerita in Flask Culture.)

  • 차월석;이명렬;조배식;박세영;오동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60-566
    • /
    • 2004
  • 버들송이버섯의 균사체 대량 생산의 기초자료를 얻을 일환으로 균사의 영양생장에 필요한 적합한 조건을 연구하고자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 배양 조건 및 영양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공시배지 중 ME 배지에서 버들송이 버섯의 균사생장 및 밀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최적 온도는 $25^{\circ}C$이고, 최적 pH는 5.5이며 최적 배양일수는 12일이었다. 버들송이 버섯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탄소원에서는 다당류인 dextrin이었으며, 최적 탄소원인 dextrin의 적정농도는 3% (w/v)였다. 질소원에서는 유기태 질소원인 yeast extract이었고, yeast extract 최적농도는 2% (w/v)였으며, 최적 무기염류는 MgSO$_4$와 KH$_2$PO$_4$이고, 최적 농도는 MgSO$_4$0.05% (w/v), KH$_2$PO$_4$0.15 (w/v)를 혼합하였을 때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였다. 기본배지인 ME 배지와 본 연구에서 얻어진 최적배지로 액체 배양하여 균체량을 비교한 결과 기본배지는 배양 12일째 최대 건조 균체량 7.59 g/l을 얻었으며, 최적배지는 배양 12일째 17.6 g/l의 최대 건조 균체량을 얻어 기본배지 보다 최적배지의 균체량이 훨씬 높은 균사체 생산수율을 보였다.

맛버섯 균사체의 배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holiota nameko Mycelium)

  • 차월석;이동병;강시형;오동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8-504
    • /
    • 2003
  • 맛버섯( Pholiota nameko KACC50453)의 균사체 배양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 맛버섯 균사체의 배양에 적합한 기본 배지는 ME였으며, 최적 배양 온도는 $25^{\circ}C$, 최적 초기 pH는 5.5였다. 맛버섯 균사체 생장을 위한 최적 배지 조성은 glucose 3%(w/v),malt extrac 0.25%(w/v), yeast extract 0.25%(w/v),$KH_2PO_4$ 0.046%(w/v),$K_2HPO_4$ 0.1%(w/v),$MgSO_4$ $.$$7H_2O$0.05% (w/v)로 나타났다.기본배지(ME)와 최적배지로 액체 배양한 결과 최적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식물세포배양으로부터 파클리탁셀 회수를 위한 무기염이 첨가된 액-액 추출 (Liquid-Liquid Extraction for Recovery of Paclitaxel from Plant Cell Cultures by Adding Inorganic Salts)

  • 하건수;김진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135-1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무기염을 첨가한 액-액 추출에 의해 식물세포인 바이오매스로부터 파클리탁셀 회수 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무기염(NaCl, KCl, $K_2HPO_4$, $NaH_2PO_4$, $NaH_2PO_4{\cdot}2H_2O$)을 이용하여 추출효율을 조사한 결과, NaCl에서 가장 낮은 분배계수(0.053)로 가장 높은 파클리탁셀 수율(~96%)을 얻을 수 있었다. NaCl을 이용한 액-액 추출에서 최적의 NaCl/용매 비와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비는 각각 1%(w/v)와 26%(v/v)이었다. 또한 최적의 NaCl/용매 비와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비에서 파클리탁셀 함량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순수 파클리탁셀 함량 0.066%(w/v)에서 가장 낮은 분배계수(0.053)로 가장 높은 수율(~96%)을 얻을 수 있었다. 기존 액-액 추출의 경우 총 3회의 추출로 파클리탁셀을 95% 정도 회수 가능한 반면 무기염을 이용한 방법의 경우 단 1회 추출로 대부분의 파클리탁셀을 회수(~96%) 가능하였다.

옥내통신선과 전선간 이격거리 기술기준 개선 방안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Regulation fo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Indoor Telecommunication Lines and Power Lines)

  • 최문환;조평동;이상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79-1082
    • /
    • 2015
  • 통신선로설비 기술기준 제23조에서는 옥내통신선과 전선간 이격거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몇 가지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예외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동 기술기준의 제32조에서는 옥내통신선으로서 케이블 형태를 갖는 꼬임케이블, 광섬유케이블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이는 이격거리 기준의 예외 조건과 상충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이격거리 기준의 예외 조건 중 최대 15.4W의 PoE 공급 전력 기준을 최대 30W로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관련 기술기준 및 표준 규격을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옥내통신선과 전선간 이격거리 기술기준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연속 안정화 공법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 안정화 처리를 위한 Column 실험 연구 (The Laboratory Column Examination of Stabilization for Agricultural Land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using Sequential Stabilization)

  • 박동혁;조윤철;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4호
    • /
    • pp.39-45
    • /
    • 2010
  • In order to treat paddy soils contaminated by Pb, Cd, and As near the abandoned mine, $H_2PO_4$ was used for stabilization of Pb ($PO_4$/Pb mole ratio of 2/1). In addition, $CaCO_3$ and $FeSO_4$ were used as stabilizers for treating Cd and As (2% w/w), respectively. Leaching tests were conducted with artificial rain in the column to assess the heavy metal stabilization efficiency. The mass of heavy metals in the effluents passed through the columns were analyzed. The remaining heavy metals in the soils were also analyzed as Korean soil standard method, phytoavailability test and sequential extraction test. Lead in the effluent was not detected when $H_2PO_4$ was used as a stabilizer. This result suggests that $H_2PO_4$ is efficient for Pb stabilization. In addition results of sequential extraction scheme suggest that heavy metals are present as residual forms which is not easily extracted.

두충나무잎의 생리활성 Flavonoid 분석 (Flavonoid Analysis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 박종철;김성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01-905
    • /
    • 1995
  • 기호음료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 두충나무잎의 품질 평가를 위한 HPLC로서 함유된 flavonoid 화합물을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즉 두충나무잎의 n-BuOH 분획으로 부터 astragalin, isoquercitrin, quercetin $3-O-{\beta}-D-xylopyranosyl(1-2)-{\beta}-D-glucopyranoside$의 3종 flavonoid 성분들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은 LPLC의 THF-dioxane-MeOH-HOAc-5% $H_3PO_4-H_2O$(145 : 125 : 50 : 20 : 2 : 658) 혼합용매에서 양호한 분리능을 나타내었다. MeOH 엑스와 n-BuOH 분획 중에 astragaline의 함량은 각각 0.09%(w/w), 0.46%(w/w), isoquercitrin은 0.08%(w/w), 0.48(w/w), quercetin $3-O-{\beta}-D-xylopyranosyl(1-2)-{\beta}-D-glucopyranoside$은 0.40%(w/w), 1.22%(w/w) 함유되어있다.

  • PDF

PO필름 피복 온실의 수량 증대 및 에너지 절감 효과 (Yield Increase and Energy Saving Effect on Plastic Greenhouse Covered with Polyolefin Film)

  • 문종필;박석호;김진구;이재한;강연구;임미영;김혜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8-439
    • /
    • 2020
  • 본 연구는 PO필름과 PE필름을 온실의 피복재로 적용하였을 때 작물 수량 증대 및 에너지 절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온실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내에 위치한 단동온실(1-1W) 2동(B21, B23)과 2연동온실(1-2W형) 2동(B15, B16)을 사용하였다. 단동온실의 규격은 폭 7.2m, 길이 30m, 측고 1.5m, 동고 3.6m 이고, 연동온실의 규격은 폭 8m, 길이 40m, 측고 3.1m, 동고 5.8m의 온실로서 이 중 골조로 된 아치형 표준온실이다. 동절기 시험을 위하여 PO필름(외피 0.15mm, 내피 0.10mm)을 단동과 연동의 온실 피복재로 사용하였으며 대조구 온실로서 PE필름(외피 0.15mm, 내피 0.10mm)을 단동과 연동에 설치하였다. 시험작물은 완숙토마토 '해피니스'를 토양재배 하였고 2019년 12월3일에 정식하여 2020년 4월 30일까지 재배하였다. 온실내부 야간 설정온도는 15℃를 유지하였으며 주간에는 23~24℃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창 및 천창을 개방하였다. PO필름의 단동 및 연동온실 내부에서의 일사량, 온습도 등을 측정하였고, 재배 기간 동안의 생육량을 조사하였으며 에너지 절감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피복재별 시험온실의 온풍난방기 연료 소비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단동온실에서의 일사량은 PO필름 온실에서 PE필름 온실보다 7% 증가하였고 수확량은 20% 증대되었다. 연동온실에서의 일사량은 PO필름 온실에서 PE필름 온실보다 11% 증가되었고, 수확량은 9% 증가하였다. 또한 온실내부의 일평균 온습도 측정 결과 단동온실은 PE, PO필름 온실이 19.0℃, 19.1℃, 상대습도 75%를 나타냈고 연동온실은 PO필름 온실이 19.6℃, 상대습도 57%를 나타냈고 PE필름 온실이 18.8℃, 상대습도 63%를 나타냈다. 연료 소비량은 단동온실의 PO필름 온실이 PE필름 온실보다 12.4% 절감되었고 연동온실에서는 PO필름 온실이 PE필름 온실보다 11.5%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Tantalum and Lanthanum Addition on Electrochemical Property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 a Simulated PEMFC Environment

  • Kim, Kwang-Min;Koh, Seong-Ung;Kim, Kyoo-Young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6호
    • /
    • pp.338-343
    • /
    • 2008
  •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W-modified austenitic stainless steels containing Ta and La were evaluated in a $H_{3}PO_{4}$ type PEMFC environment. Electrochemical test was conducted in 0.05 M $H_{3}PO_{4}$ solution at $80^{\circ}C$ and electrical property was conducted by contact resistance test. XP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emical elements consisting of passive film. Addition of La and Ta in W-modifi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ows not only better corrosion resistance but also better electrical prop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