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neumococcal infectio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3회 재발한 폐렴 구균성 뇌막염 1례 (A case of pneumococcal meningitis with 3 time recurrences)

  • 최승은;민기식;김종완;김광남;유기양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권1호
    • /
    • pp.94-100
    • /
    • 1996
  • Streptococcal pneumoniae is the second most coomon cause of meningitis in infancy and a major respiratory pathogen. It is the one of the most common cause of acquired pneumonia and otitis media in childhood. Intracranial extesion of acute otitis media occur somewhat more often from poorly pneumatized than from well-pneumatized temporal bones and in ears with a history of previous attacks of otitis media. We experienced a case of pneumococcal meningitis with 3 time recurrences in a 6 year-old male patient who had hospitalized with high fever, headache, vomiting and stupor mental state. He was diagnosed as CSF study and brain CT. Brain CT showed poorly pneumatized right mastoid region of temporal bone at that time. We report a case of pneumococcal meningitis with 3 time recurrences due to poorly pnematized mastoid region of temporal bone. A review of literatures was also presented briefly.

  • PDF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혈청형의 변동추이 (Trends in Serotype Distribution of Clinical Isolate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2001 to 2006)

  • 이택진;전진경;최경민;용동은;이경원;김동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115-123
    • /
    • 2006
  • 목 적 : 국내에 7가 단백결합 백신이 도입된 이후 폐구균 혈청형 분포 및 항생제 내성률 등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9월부터 2006년 8월까지 5년 간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배양검사에서 폐구균이 검출된 363명으로부터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과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여 국내에 7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이 도입된 시기를 기준으로 이에 대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 폐구균 백신 도입 이전 143명과 그 이후 220명, 모두 363명의 환자의 검체에서 폐구균이 분리되었다. 2세 미만의 소아가 32명, 2세 이상 15세 이하 27명, 15세 초과의 성인이 304명이었다. 폐구균이 분리된 임상 검체는 객담(66.4%), 혈액(11.3%), 이루(9.6%), 인두도말(3.9%) 등 순이었고, 이중 15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이루(49.2%), 혈액(18.6%), 인두도말(11.9%), 뇌척수액(6.8%) 등 순이었다. 분리된 폐구균 중 314주(86.5%)에서 혈청형 분석이 가능하였는데, 19F(14%), 19A(11%), 23F(7%), 6B(7%), 6A(6%), 3(5%), 9V(5%), 14(4%), 11A(4%), 4(3%), 29(3%), 18(2%) 순이었다. 연령대별 혈청형의 빈도순은 모든 군에서 유사하였으나, 각 군에서의 백신 혈청혈의 비율은 2세 미만(59.3%)과 2세 이상 15세 이하(63.0%)의 소아군에서 15세 초과 성인군(37.8%)에 비해 높았다(P=0.004). 연도별 혈청형의 분포는 차이가 없었으며 백신 도입 시기 전후를 비교해보았을 경우에도 차이가 없었다. 여러 항생제에 대한 비감수성 폐구균은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어, 페니실린 내성률은 2001년 58.8%에서 2006년 83.6%까지 증가하였다(P=0.046). 연령대별 항생제 내성 폐구균의 비율은 2세 미만의 소아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페니실린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한 내성률은 각각 90.6%와 90.0%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청형별 페니실린 내성 폐구균의 비율은 23F(100.0%), 19F(96.0%), 9V(82.4%), 6B(75.0%), 14(68.8%), 4(60.0%)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 혈청형들을 포함한 전체 백신 혈청형의 페니실린 내성률은 84.2%였다. 결 론 : 아직 7가 단백결합 백신에 의한 혈청형의 분포 변화나 페니실린 내성균주의 감소는 확인 할 수 없었으나, 소아에서 분리되는 폐구균 중 백신 혈청형의 비율이 매우 높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백신접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폐렴구균 균혈증에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 내성 여부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neumococcal Bacteremia in Adults : The Effect of Penicillin Resistance on the Mortality of Patients with Pneumococcal Bacteremia)

  • 황보빈;윤호일;이상민;최승호;박계영;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민경업;김유영;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184-194
    • /
    • 1999
  • 연구배경: 페니실린의 출현으로 폐렴구균 감염증의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하기는 했으나 폐렴구균 균혈증의 사망률은 여전히 높다. 최근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치료 항생제 선태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한국은 페니실린 내성 폐렴 구균의 빈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저자 등은 서울대학병원에서 폐렴 구균 균혈증의 임상상과 페니실린 내성 여부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1990년 1월에서 1997년 7월까지 혈액배양에서 폐렴 구균이 증명되었던 66예 중에서 병록 검토가 가능했던 5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령의 중앙값은 56세였고, 50세 이상이 62%를 차지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시행한 기왕력이 있었던 예는 없었다. 기저 질환은 48예(96%)에서 있었다. 동반된 국소 병변으로는 폐렴이 21예(42%)로 가장 많았고,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이 7예(14%), 담도염 5예(10%), 뇌막염 4예(8%), 간농양 2예(4%), 인두편도염 2예(4%), 부비동염 1예(2%), 봉와직염이 1예(2%)에서 관찰되었고, 원발성 균혈증이 7예(14%)가 있었다. 총 사망 예는 12예(24%)였다. 이 중 폐렴은 9예로 총 폐렴 예의 42%가 사망하였고, 뇌막염 2예, 원발성 균혈증 1예가 사망하였다. 페니실린 내성군은 내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63예 중 25예(40%)를 차지하였다. 페니실린 내성률은 1991년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페니실린 내성군에서 최근 3개월 내 항생제 사용 예가 많았고 (p=0.022) 최근 입원 예가 많아(p=0.030) 페니실린 내성 감염의 위험 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감수성 군과 내성군 간의 연령, 기저 질환의 중증도, 병원 감염 여부, 면역 억제 여부, 속이나 급성신부전의 빈도 등은 양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률은 페니실린 감수성군에서 23%, 내성군에서 2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페니실린 내성 여부는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폐렴구균 균혈증의 사망률은 전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폐렴구균 예방 접종의 적응증이 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예방 접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A Case on Streptococcal Pneumonia Associated with Leptomeningitis, Osteomyelitis and Epidural Abscess in a Patient with AIDS

  • Jeon, Jae Woong;Yoon, Hee Jung;Kim, Joo Seok;Ryu, Il Hwan;Choi, Ji Wook;Kim, Min Gyu;Na, Young Min;Yun, Hyeon Je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2호
    • /
    • pp.80-83
    • /
    • 2014
  • Patients with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are at higher risks of bacterial pneumonia than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pathogen is the most commonly involved Streptococcus pneumoniae. We hereby report a case of pneumococcal pneumonia associated with leptomeningitis, osteomyelitis and epidural abscess in a patient with AIDS. He is being successfully treated with ampicillin/sulbactam and clindamycin. And because the pneumococcal infection is usually associated with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in the setting of AIDS, we should consider for pneumococcal vaccinations among the AIDS populations.

건강한 소아에서 발생한 원발성 폐렴구균성 복막염 1례 (Primary Pneumococcal Peritonitis in a Healthy Child)

  • 양정수;이민혜;최명범;박찬후;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1호
    • /
    • pp.83-87
    • /
    • 2002
  • Primary peritonitis usually refers to a bacterial infection of the peritoneal cavity without a demonstrable intra-abdominal source. Most cases occur in children with ascites resulting from nephrotic syndrome or cirrhosis. Rarely, it may occur in previously healthy children less than 7years of age, usually a girl. Distinguishing primary peritonitis from appendicitis may be impossible in patients without a history of nephrotic syndrome or cirrhosis. Accordingly, the diagnosis of primary peritonitis is made only at laparotomy. We report one case of primary pneumococcal peritonitis in a 27-month-old female who underwent explorative laparotomy to discover the cause of suspicious intestinal perforation and mechanical ileus. Later, pneumococci were cultured in blood and gram-positive diplococci were isolated from the pus of peritoneal cavity.

  • PDF

폐구균의 질병양상 및 항균제 내성률의 변화 (Changing Patterns of Antibiotic-resistant Rates and Clinical Features in Pneumococcal Infections)

  • 장광천;신경미;용동은;이경원;김동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1호
    • /
    • pp.81-86
    • /
    • 2003
  • 목 적 : 폐구균은 중이염, 폐렴등의 흔한 원인이며 패혈증 및 뇌수막염 등 중증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폐구균의 항균제 내성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예방접종이 개발되어 우리나라에서도 곧 시행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구균에 의한 질병분포 및 내성률에 대한 변화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시행한 배양검사상 폐구균이 확인된 환아 306명을 대상으로 임상양상과 진단명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선천성 심질환이나 혈액종양질환을 앓고 있는 환아는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월별 빈도와 연도별 내성률의 변화 및 연령에 따른 중증감염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 검사 당시 연령은 2개월부터 15세까지의 분포를 보이며 평균연령은 7.9세이었고, 연령별로는 6세 미만이 7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2세 미만이 42%이었다. 남녀 비는 1.6 : 1이었다. 2) 월별 분포는 봄에 해당하는 3월과 4월이 42%로 높았고 여름에 해당하는 8월과 9월이 6%로 낮았다. 3) 질병별로는 폐렴 29.2%, 중이염 19.3%, 패혈증 17.6%, 뇌막염 9.5%순이었고,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4)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률은 1991년 65%에서 2000년에 84%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다. 다제내성의 경우도 1991년 10%에서 2000년 78.3%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결 론 : 6세 미만의 어린 소아에서 중증감염을 일으키는 원인의 하나인 폐구균은 점차 내성률 및 다제내성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전국적 조사가 필요하며, 이의 예방을 위해 폐구균의 예방접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PDF

2008년 대한소아과학회 예방접종 스케줄 (Immunization schedule Recommended by Korean Pediatric Society, 2008)

  • 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1호
    • /
    • pp.1-4
    • /
    • 2008
  • Immunizations are among the most cost-effective and widely used public health interventions. This is a report a revision of recommendation of immunization for children by Korean Pediatric Society. Immunization. Vaccin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1) Vaccines that are recommended to all infants and children (BCG, hepatitis B vaccine, DTaP, Td, Polio vaccin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MMR, varicella vaccine, influenza vaccine [6-23 months of age], H. influenzae type b vaccine), 2) those that can be administered to all infants and children, but decision of administration is made by parents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hepatitis A vaccine, influenza vaccine [healthy children ${\geq}24$ months of age], rotavirus vaccine, human papilloma virus vaccine), 3) those that should be given to high risk group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high risk patients ${\geq}24$ months of age], influenza vaccine [high risk patients ${\geq}24$ months of age], typhoid vaccine), and 4) those administered for control of outbreaks or prevention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mmunization schedule recommended by Korean Pediatric Society in 2008 is presented.

  • PDF

한국인에서 Streptococcus pneumoniae 분리주의 폐구균 표면 단백 A (Pneumococcal Surface Protein A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s from Koreans)

  • 김경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206-1211
    • /
    • 2005
  • 목 적 : 현재 연구 개발되고 있는 PspA에 근거한 폐구균 단백 백신은 기존의 백신과 달리 여러 종류의 혈청형에 대해 동시에 광범위한 방어 면역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동물 실험에서 PspA는 폐구균 보균과 호흡기 감염 뿐 아니라 패혈증에 대해서도 방어 면역을 형성함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소아와 어른에게서 분리된 폐구균에서 PspA 백신에 포함된 PspA family인 family 1과 family 2의 분포를 알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총 89주의 폐구균을 대상으로 항혈청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응집 방법으로 폐구균 피막의 혈청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PCR을 이용하여 family 1과 family 2의 시발체를 사용하여 분리된 폐구균의 PspA family를 정하였다. 결 과 : 총 89주의 폐구균 분리주에서 17 종류의 폐구균 혈청형이 분류되었다. PspA 종류는 79주(88.8%)에서 결정되었는데 20주(22.5%)가 family 1, 59주(66.3%)가 family 2이었다. 아홉주(10.1%)에서 family 1과 2에 모두 양성 반응을 보였으므로 family 1과 2 단백을 포함하는 PspA 백신의 가능한 방어 범위는 98.9%이었다. 각 PspA family들은 균이 분리된 사람의 나이, 분리된 곳, 혹은 페니실린에 대한 감수성 등과 의미 있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피막 혈청형에 따라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분리된 폐구균 분리주의 98.9%가 PspA family 1과 2에 속하였으므로 이를 포함한 백신은 폐구균에 대해 혈청형과 관련 없이 좀 더 광범위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좀더 다양하고 많은 폐구균 분리주를 대상으로 PspA family의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PspA 백신의 개발과 적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농흉의 임상적 고찰110 (Clinical study of empyema thoracis: a review of 110 cases)

  • 최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4호
    • /
    • pp.533-538
    • /
    • 1983
  • The author made a clinical study of IIO cases of empyema thoraci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at department of chest surgery, chosun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1979 through June 1983. 1. In age and sex distribution, 45 cases [41%] was under the age of 15 years, 65 cases [59%] was above the age of 15 year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2.6:1. 2. The predisposing factors were pneumonia 45 cases [41%] and pulmonary tuberculosis 40 cases [36.5%]. 3. The cardinal symptoms were dyspnea, chest pain, fever, cough in order. 4. Etiologic organisms were confirmed in 69% which requested in 87 cases. Staphylococcal infection were 19 cases, Streptococcal infection were 13 cases, pneumococcal infection were 11 cases. 5. In treatment of empyema, thoracentesis 4 cases, closed thoracotomy 50 cases, open drainage 29 cases, decortication 14 cases and thoracoplasty 13 cases. In children, only thoracentesis and closed thoracotomy was favorable result in treatment. 6. 103 cases were discharged with recovery and improvement but 7 cases were early discharged by their economic or personal condition without improved.

  • PDF

소아에서의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비인두 폐렴구균 보균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Virus Infection and Pneumococcal Colonization in Children)

  • 이현승;최영준;조은영;이현주;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3호
    • /
    • pp.207-21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소아에서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폐렴구균의 상기도 보균율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5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18세 미만 소아로부터 채취한 비인두 흡인물을 대상으로 폐렴구균을 배양하고 RT-PCR을 통해 호흡기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와 B, parainfluenza virus 1, 2와 3,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와 B, adenovirus, rhinovirus A/B, human metapneumovirus, human coronavirus 229E/NL63, OC43/HKU1)를 검출하여 호흡기바이러스 검출과 폐렴구균 보균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중앙 연령은 27개월이었다. 총 1,367건의 비인두 흡인물 중 폐렴구균이 배양된 검체는 228개(16.7%)이었고,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된 검체는 731개(53.5%)이었다. 흔히 분리된 바이러스는, rhinovirus(18.4%),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A (10.6%), adenovirus (6.9%), influenza virus A (6.8%) 순으로 나타났다. 폐렴구균 보균율은 호흡기바이러스 양성인 경우가 21.3% (156/731)로 음성인 경우 11.3% (72/636)보다 높았다(P<0.001). 검출된 호흡기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서는 influenza virus A [24.7% (23/93) vs 16.1% (205/1274), P=0.001], RSV A [28.3% (41/145) vs 15.3% (187/1222), P=0.001], RSV B [31.3% (10/32) vs 16.3% (218/1335), P=0.042], rhino-virus A/B [22.6% (57/252) vs 15.3% (171/1115), P=0.010]가 양성인 소아는 음성인 소아에 비하여 폐렴구균 보균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소아에서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 폐렴구균 보균율이 높았다. 향후 호흡기바이러스와 폐렴구균의 보균에 의한 호흡기 감염병의 임상발현 기전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