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eryngii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5초

LED광의 파장을 달리하여 재배한 새송이버섯의 식품기능적 특성 (Food Function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Cultivated with Different Wavelength of LED Lights)

  • 김도희;최혜진;조우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45-651
    • /
    • 2012
  • LED광의 파장을 달리하여 재배한 새송이버섯의 식품기능적 특성과 무기질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총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청적, 청녹, 적녹 혼합광을 제외한 모든 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31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아미노산은 대조구에서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8종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청색광을 포함한 모든 구(Blue, $B^*R$ $B^*G$, $B^*R^*G^*U$) 및 녹색광에서 재배한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중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ornithine, lysine 등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beta}$-alanine, ${\beta}$-aminoisobutyric acid, 1-methylhistidine, citrulline 등은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새송이버섯의 무기질은 K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Na, Mg, Ca, Fe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Mn의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a은 청색광을 제외한 모든 LED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Fe은 녹색광과 청적 혼합광, K은 적색광과 UV-A, Mg은 적색광, UV-A, 적녹 혼합광에서 함량 증진이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청색광, 적색광, 녹색광, 청적 및 청녹 혼합광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적녹 혼합광을 제외한 모든 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균사배양 및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ycelial Growth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 강미선;강태수;강안석;손형락;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3-80
    • /
    • 2000
  • 공시배지 중 MYPA 배지에서 큰느타리의 균사생장 및 밀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5^{\circ}C$이고, 최적 pH는 6.0이었다. 최적 회전진탕배양 일수는 7일이었고, 큰느타리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배지조성은 탄소원 soluble starch 3%(w/v), 질소원 malt extract 0.25%(w/v), yeast extract 0.25%(w/v), 무기염류 $CaCl_2{\cdot}2H_2O$ 0.05%(w/v)이었다. 기본배지인 MYP 배지와 최적 배지로 액체배양하여 균체량을 비교한 결과, 최적배지에서 균체생산량 및 생장수율이 높았다. 큰느타리의 균사생장과 균밀도에 최적인 톱밥수종은 참나무 톱밥이었고, 첨가제는 미강과 밀기울 30%(v/v)이었으며, 최적 수분함량은 70%(v/v)이었다. 반면에 자실체 생산을 위한 최적 첨가제는 발겨 20%(v/v)이었다.

  • PDF

표고와 새송이버섯이 대장암 세포 증식 및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eryngii Extracts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 황용주;남혜경;장문정;노건웅;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질병에 약리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버섯류 중 표고버섯과 새송이 버섯을 택하여 열수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인간의 대장암 세포인 HT-29및 Caco-2와 한국인 위암세포인 SNU484에 첨가한 후 세포증식과 세포사멸을 이끄는 caspase-3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장암 세포인 H-'29와 Caco-2에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 적으로 세포 수가 감소하였으며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세포증식이 더 억제되었다.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을 HT-29에 첨가 후 배양시간에 따른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더니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증식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96시간의 처리에 HT-29증식이 매우 억제됨을 볼 수가 있었다. 세포의 caspase-3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을 48 mg/mL 이 상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2배 이상 casuase-3 활성이 증가였으므로 알에서 본 HT-29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사멸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짐작된다. 위 암세포인 SNU484에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을 첨가한 경우에는 세포증식의 억제효과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caspase-3 활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즉 위암에는 이 두 종류의 버섯은 효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은 caspase-3 활성 을 증가 시켜 대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므로 대장암에 대한 항암 물질로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게껍질 첨가배지가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의 균사생장과 자실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Crab Shell to Sawdust Substrat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eurotus eryngii)

  • 조우식;류영현;김종수;박소득;석순자;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2-25
    • /
    • 2008
  • 큰느타리(P. eryngii)는 최근에 생산과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소요되는 재배용 톱밥배지 제조시 수산부산물인 게껍질의 첨가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게껍질 첨가수준별 균사생장특성은 1, 2, 4% 처리구는 배양완성일수가 $22{\sim}23$ 일로 대조구인 톱밥 + 미강(80 : 20) 배지와 비슷하였으나 6% 처리구는 28일, 8% 처리구는 34일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장이 지연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게껍질 1% 첨가시 생체중 91 g로 대조구 68 g에 비해 34%가 많았다. 자실체의 CaO 함량은 4% 첨가구가 0.05%로 무첨가구의 0.01%에 비하여 5배정도 많았다. 큰느타리 배지재료로 게껍질을 이용한 결과 수량 및 자실체의 CaO 함량 증가효과가 있었으며 유용한 배지재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 균주의 유전적 유연관계 (Genetic Relationship of Pleurotus ferulae Strains)

  • 최재선;이동희;장후봉;강보구;구창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용 및 약용버섯인 아위(阿魏)버섯(Pleurotus ferulae) 균주와 느타리버섯속(Pleurotus spp.) 종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RAPD 분석결과 이들 버섯 종들은 유사도 80% 수준에서 7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노랑느타리(P. cornucopiae), 사철 2호(P. florida), 여름 2호(P. sajor-caju)는 각각의 그룹으로 분류 되었고, 큰느타리 균주인 26060과 P. fuscus var. ferulae 균주인 26065은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4개의 느타리 균주는 흑평을 제외한 수한 1호, 원형 1호, 춘추 1호가 한그룹을 형성하였고, 아위버섯 균주 중 일본설이를 제외한 박달, 아위, 천산 1호, 아위예산 균주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였다. 아위버섯 균주인 일본설이는 느타리 균주인 흑평과 같은 그룹에 속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이 당뇨쥐의 혈당 및 혈중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eurotus eryngii on the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in Diabetic Rats)

  • 강태수;강미선;성재모;강안석;손형락;이신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6-90
    • /
    • 2001
  • 큰느타리버섯이 streptozotocin 당뇨 유발 흰쥐의 혈당 및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 계열의 수컷 쥐를 3군(정상 및 당뇨 대조군, 큰느타리버섯군)으로 나누어 2주간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그 결과, 식이 및 물 섭취량은 큰느타리버섯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적었다. 2주 후의 체중은 큰느타리버섯군과 당뇨대조군 모두 초기 체증에 비해 약 18%정도 감소하였다. 큰느타리버섯군의 혈당 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16.9% 유의적인 감소 값을 보였으며, 총 당화혈색소 (total glycosylated hemoglobin, GHb)의 함량도 큰느타리버섯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큰느타리버섯군과 당뇨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함량 및 동맥경화지수(Atherosclerotic index, AI)는 서로 유의성이 없었으나 HDL-콜레스테롤은 큰느타리버섯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약 28%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중성지질 함량은 큰느타리버섯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나 인지질 함량은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큰느타리버섯은 당뇨쥐의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최적 추출 및 특성 (Optimal Ext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Lignocellulytic Enzymes from Various Spent Mushroom Composts)

  • 임선화;이윤혜;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0-166
    • /
    • 2013
  •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팽이버섯(Flammulina velvtipes)과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느티만가닥버섯(Lyophyllum ulmarium),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 잣버섯(Lentinus lepideus), 버들송이버섯(Agrocybe cylindracea)의 수확 후 배지 (spent mushroom compost, SMC)로부터 ${\alpha}$-amylase (EC 3.2.1.1), lignin peroxidase (EC 1.11.1.14), laccase (EC 1.10.3.2), xylanase (EC 3.2.1.8), ${\beta}$-xylosidase (EC 3.2.1.37), ${\beta}$-glucosidase (EC 3.2.1.21) 및 cellulase (EC 3.2.1.4)의 활성을 추출 buffer별로 조사하였다. 물과 0.25% Triton X-100가 효소 회수율이 높았으며 xylanase는 팽이버섯 SMC에서 153 U/g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laccase는 큰느타리버섯 SMC에서 8.0 U/g로 가장 높았다. ${\alpha}$-amylase (3.6 U/g)와 cellulase (3.2 U/g)는 버들송이 SMC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큰느타리버섯 SMC 추출물의 laccase와 cellulase 활성은 상용 효소와 필적하는 효소활성을 보여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Pleurotus eryngii 로부터 항암물질의 분리 (Antitumor Sterol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Pleurotus eryngii)

  • 이영훈;박기훈;이병원;조용운;최영주;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2-288
    • /
    • 2006
  • 새송이버섯으로부터 활성추적법으로 항암활성이 있는 물질인 에르고스테롤 프록사이드를 분리하였다. 이 스테롤의 구조는 분광법과 NMR법으로 확인하였으며 분자식은 $C_{28}H_{44}O_3$이었다. 폐암과 난소암에 $IC_{50}$값은 각각 $7{\mu}M$$14{\mu}M$이었다. DNA단편화 실험에서 이 화합물은 암세포의 chromosimal DNA 를 사닥다리모양으로 분해하였고, 세포 분열주기의 억제실험에서 G1단계를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Identification of Mating Type Loci and Development of SCAR Marker Genetically Linked to the B3 Locus in Pleurotus eryngii

  • Ryu, Jae-San;Kim, Min Keun;Ro, Hyeon-Su;Kang, Young Min;Kwon, Jin-Hyeuk;Kong, Won-Sik;Lee, Hyun-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9호
    • /
    • pp.1177-1184
    • /
    • 2012
  • In order to estimate how diverse the mating types in Pleurotus eryngii from different regions are, pairings between monokaryons derived from inter- and intra-groups were done. Sixteen and 15 alleles were identified at loci A and B from the 12 strains. In the P. eryngii KNR2312, widely used for commercial production, four mating loci, A3, A4, B3, and B4, were determined. Those loci, except A3, were found in 4 strains out of 12 strains. To improve breeding efficiency, especially in mating type determination, RAPD and BSA were performed to screen for a mating type specific marker. The SCAR marker 13-$2_{2100}$ was developed based on the RAPD-derived sequence typing B3 locus. The sequence analysis of 13-$2_{2100}$ revealed that it contained a conserved domain, the STE3 super-family, and consensus sequences like the TATA box and GC box. It seems likely that the SCAR marker region is a part of the pheromone receptor gene.

미강 대체 배지원료에 따른 큰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eryngii by using alternative substrates to rice bran)

  • 오태석;이윤혜;김창호;조용구;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7-60
    • /
    • 2017
  • 큰느타리에 대한 국내산 자포니카타입의 벼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미강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선발하기 위해 파키스탄에서 생산된 인디카 타입의 벼에서 생산된 미강과 옥수수주정박, 호마박, 케이폭박을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다. 혼합배지별 이화학성 중 총탄소함량은 T1에서 가장 높았고, 총질소함량은 T4에서 가장 높았다. C/N은 T2가 대조구와 대등하였고, 갓직경과 대길이는 T1과 T2에서 컸다. 수량 및 생물학적 효율은 T2에서 다른 처리구 보다 높았으며, 대조구와 대등한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미강팰릿을 큰느타리 병재배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