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al diseases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5초

다량의 흉수를 동반한 난소 과자극 증후군 1례 (A Case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with Massive Pleural Effusion)

  • 박형관;김유일;황준화;장일권;김영철;이여일;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84-691
    • /
    • 1997
  • 배란장애에 의한 불임증의 치료로 hMG/hCG등의 생식선 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배란 유도법이 많아 시용되는데 이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난소 과자극 증후군(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이 드물게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전신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로 인해 체액 저류가 야기되어 부종 및 수, 심한 경우 다량의 흉수 등으로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32세 여자환자에서 배란유도에 의한 불임치료를 목적으로 hMG 투여후 다량의 삼출성 흉수를 동반한 중증 난소과자극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고 흉관 10L이상의 흉수를 제거하고 기타 대증요법을 통해 완치되었던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결핵성 흉막염 치료 후 잔류된 만성 흉막삼출에서 발생한 가성유미흉 1예 (A Case of Pseudochylothorax Developed from Chronic Pleural Effusion after Treatment of Tuberculous Pleurisy)

  • 박은경;정숙희;배준호;류상열;이재형;김상훈;조영욱;채정돈;이병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5호
    • /
    • pp.458-461
    • /
    • 2009
  • A pseudochylothorax, a chyliform pleural effusion, is a rare disease of pleural effusion that contains cholesterol crystals or high lipid content that is not the result of a disrupted thoracic duct. Most of the cases were found in patients with long-standing pleural effusion due to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such as old tuberculous pleurisy or chronic rheumatoid pleurisy. We experienced a case of pseudochylothorax in a 74-year-old man, who was being treated for pulmonary tuberculosis and pleurisy 10 years ago. The diagnosis was confirmed on pathological study of the pleural effusion, which contained cholesterol crystals having a diagnostic rhomboid appearance.

Medical Thoracoscopy in Pleural Disease: Experience from a One-Center Study

  • Kim, Soo Jung;Choi, Sun Mi;Lee, Jinwoo;Lee, Chang-Hoon;Lee, Sang-Min;Yim, Jae-Joon;Yoo, Chul-Gyu;Kim, Young Whan;Han, Sung Koo;Park, Young Si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2호
    • /
    • pp.194-200
    • /
    • 2017
  • Background: Medical thoracoscopy (MT) is a minimally invasive, endoscopic procedure for exploration of the pleural cavity under conscious sedation and local anesthesia. MT has been perform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nce February 2014. This paper summarizes the findings and outcomes of MT cases at this hospital. Methods: Patients who had undergone MT were enrolled in the study. MT was performed by pulmonologists, using both rigid and semi-rigid thoracoscopes. During the procedure, patients were under conscious sedation with fentanyl and midazolam.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clinical data. Results: From February 2014 to January 2016, 50 procedures (47 cases) were performed (diagnostic MT, 26 cases; therapeutic MT, 24 case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66 years (59-73 years), and 38 patients (80.9%) were male. The median procedure duration from initial incision to insertion of the chest tube was 37 minutes. The median doses of fentanyl and midazolam were $50{\mu}g$ and 5 mg, respectively.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out unexpected events. Of the 26 cases of pleural disease with an unknown cause, 19 were successfully diagnosed using MT. Additionally, diagnostic MT provided clinically useful information in the other six patients. Therapeutic MT was very effective for treatment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or empyema. The median number of days with chest tube drainage was 6 (3 days for diagnostic MT and 8 days for therapeutic MT). Conclusion: MT is a useful and necessary procedure for both diagnosis and treatment of pleural diseases.

A Case of Pleural Paragonimiasis Confused with Tuberculous Pleurisy

  • Song, Junwhi;Hong, Goohyeon;Song, Jae-Uk;Kim, Wooyoul;Han, Seo Goo;Ko, Yousang;Chang, Boksoon;Jeong, Byeong-Ho;Eom, Jung Seop;Lee, Ji Hyun;Jhun, Byung Woo;Jeon, Kyeongman;Kim, Hong Kwan;Koh, Won-J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4호
    • /
    • pp.175-178
    • /
    • 2014
  • Here, we report a case of pleural paragonimiasis that was confused with tuberculous pleurisy. A 38-year-old man complained of a mild febrile sensation and pleuritic chest pain. Radiologic findings showed right pleural effusion with pleural thickening and subpleural consolidation. Adenosine deaminase (ADA) activity in the pleural effusion was elevated (85.3 IU/L), whereas other examinations for tuberculosis were negative. At this time, the patient started empirical anti-tuberculous treatment. Despite 2 months of treatment, the pleural effusion persisted, and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was performed. Finally,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pleural paragonimiasis based on the pathologic findings of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containing Paragonimus eggs. This case suggested that pleural paragonimiasis should be considered when pleural effusion and elevated ADA levels are observed.

흉막액 Cholesterol 농도에 대한 진단적 의의 (A Diagnostic Significance of Pleural Fluid Cholesterol Level)

  • 김영균;권순석;김관형;한기돈;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3호
    • /
    • pp.262-26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the pleural fluid cholesterol level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and in differentiating tuberculous exudates from non-tuberculous exudates, 52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were involved in this prospective study. By predefined criteria, 40 of these effusions were classified as exudates (Group I) and 12 as transudates (Group II). Group I was subdivided into tuberculous exudates (Group A) and non-tuberculous exudates (Group B). The followings are parameters used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pleural protein (P-PROT) 3.0 g/dl, pleural protein/serum protein ratio (P/S PORT) 0.5, pleural LDH (P-LDH) 200 IU, pleural LDH/serum LDH ratio (P/S LDH) 0.6, pleural cholesterol (P-CHOL) 50 mg/dl and pleural cholesterol/serum cholesterol ratio (P/S CHOL) 0.4. Mean values of the parameters in each group were compared, and then misclassified rate and the dignostic efficiency for each parameter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P-CHOL ($94.98{\pm}73.86\;mg/dl$) in Group I was higher than that ($36.5{\pm}26.5\;mg/dl$) in Group II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P-CHOL between Group A and Group B. 2) Mean P/S CHOL ($0.64{\pm}0.39$) in Group I was also higher than that ($0.27{\pm}0.15$) in Group II (p<0.01),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an P/S CHOL between Group A and Group B. 3) Misclassified rates for each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were as follows; P-PROT 1.9%. P/S PROT 3.8%. P-CHOL 9.6%, P/S CHOL 11.5%, P/S LDH 11.5%, and P-LDH 17.3%. 4) Diagnostic efficiencies for each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were as follows; P-PROT 98.1%, P/S PROT 96.2%. P-CHOL 90.4%. P/S CHOL 88.5%, P/S LDH 88.5%, and P-LDH 82.7%.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pleural fluid chloesterol level could be used as a supportive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but could not be used as a parameter in differentiating tuberculous exudates from non-tuberculous exudates.

  • PDF

여출액과 삼출액의 감별진단을 위한 흉막액과 혈청에서의 Cholinesterase 비율의 진단적 의의 (Pleural Fluid to Serum Cholinesterase Ratio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ransudates and Exsudates)

  • 조호;김현일;엄민섭;권한진;오용열;김광석;김휘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781-787
    • /
    • 2000
  • 연구배경 : 1972년 Light's criteria가 나온 이후 흉막액의 여출액과 삼출액의 감별에 이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그 이후 여러 논문에서 많은 예의 오류가 나타나 여러 가지 흉막액의 감별율 위한 방법들, 즉 흉막액 cholesterol값, cholesterol값의 흉막액 및 혈청에서의 비용, 흉막액 및 혈청에서의 알부민 구배율, alkaline phosphatase값 등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으나 Light's criteria보다 더 나은 분류 방법이라고 밝혀진 것이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흉막액 cholinesterase와 흉막액 및 혈청 cholinesterase값의 비율이 삼출액과 여출액에 대한 감별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흉막액 원인의 구분이 가능했던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막액을 추출하여 Light's criteria, 흉막액 cholesterol값, 흉막액 및 혈청 cholesterol값의 비율, 흉막액으로 cholinesterase값, 흉막액 및 혈청 cholinesterase값의 비율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흉막액 원인의 구분이 가능했던 43명의 환자에서 33명이 삼출액, 10명이 여출액으로 분류되었다. 흉막액 cholinesterase값의 평균은 여출액이 335.0 U/L, 삼출액이 1,928.1 U/L(p=0.002) 이었고 2명(4.7%)에서 검사의 오류를 보였으며 흉막액과 혈청에서의 cholinesterase값의 비율의 평균은 여출액이 0.15, 삼출액이 0.56(p=0.002)이었고 1명(2.3%)에서 검사 오류를 보였다. 흉막액 cholesterol값의 평균은 여출액이 22.7 mg/dL, 삼출액이 86.1 mg/dL(p=0.002)이었고 1명(2.3%)에서 검사의 오류를 보였으며, 흉막액 및 혈청 cholesterol값의 비율에서의 평균은 여출액이 0.17. 삼출액이 0.73(p=0.002)이었고 1명(2.3%)에서 검사의 오류를 보였다. Light's criteria에서는 43례중 4례 (9.3%)에서 검사의 오류를 나타냈다. 결론 : 여출액과 삼출액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 흉막액 및 혈청 cholinesterase비율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며 더불어 Light's criteria를 비롯한 다른 기준들과 병용 검사시 진단 율을 더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결핵성흉막염 환자에서 흉수 내 아데노신 탈아민효소(Adenosine deaminase)의 활성도와 CT에서 흉막의 조영증강 양상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Pleural Adenosine Deaminase Level and Patterns of Pleural Enhancement in Patients with a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on CT Scan)

  • 이화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6호
    • /
    • pp.486-491
    • /
    • 2007
  • 배 경: 결핵성흉막염환자에서 흉수 내 아데노신 탈아민효소(ADA) 활성도와 CT에서 흉막의 조영증강 양상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2002년 2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결핵성흉막염으로 진단되고 동시에 조영증강 CT를 시행한 44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핵성흉막염의 진단은 흉수 내 ADA활성도와 추적검사(24/44), 객담도말이나 배양(16/44), 흉막배양(3/44), 그리고 흉막조직검사(1/44)로 얻었다. 흉수 내 ADA활성도 값이 40-70 U/L인 환자는 I군(12명)으로, 71 U/L이상인 환자는 II군(32명)으로 분류하였다. CT에서 흉막의 조영증강 유무, 최대 흉막두께, 조영증강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흉막의 조영증강 양상은 미만성(diffuse)인지 국소성(focal)인지, 매끈(smooth)한지 불규칙(irregular)한지, 혹은 단절성(Interrupted)인지 연속적(continuous)인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I군과 II군 사이에 CT 소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방법은 T 검정, 카이제곱검정 그리고 비율의 검정을 사용하였다.결 과: 44명 모두 CT에서 흉막의 조영증강이 관찰되었다. I군과 II군의 흉막의 최대 두께는 각 $1.83{\pm}1.03mm$ (1-4 mm), $3.63{\pm}1.78mm$ (18 mm)이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002). 특히, I군의 흉막비후의 두께는 모든 예에서 4 mm 이하이었고, 5 mm 이상으로 흉막이 두꺼워진 경우는 II군에서만 31.3%(10/32) 있었다. I군은 미만성이고 단절성인 흉막비후(diffuse, interrupted pleural enhancement)를 보인 예가 91.7% (11/12), 미만성이고 연속적인 흉막비후를 보인 예가 8.3%(1/12)있었고, II군은 각각 62.5%(20/32), 37.5% (12/32) 있었다. I군보다 미만성이고 연속적인 흉막비후(diffuse and continuous pleural enhancement)를 보인 예가 II군에서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748).

악성 흉막 삼출증의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빈도와 특성 (The Incidences and Characteristics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s According to Histologic Types)

  • 임재준;김우진;이재호;유철규;정휘순;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565-573
    • /
    • 1998
  • 연구배경: 악성 흉막 삼출증은 폐암에 합병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지만 그 외에 유방암, 난소암, 위암등에서도 호발하며 조직학적 아형에 따라 나누면 선암이 가장 흔하며 편평상피세포암이 악성 흉막 삼출을 일으키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보고되어왔다. 연자들은 악성 흉막 삼출증의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빈도와 흉수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 법: 1992년 1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흉수의 세포진 검사나 경피적 혹은 흉강경을 이용한 흉막 조직 검사 결과 악성 흉막삼출증로 확인된 84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직 표본과 의무기록을 통해 조직학적 아형을 구분하고 임상적 양상과 생화학적 지표 등을 조사하고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결 과: 총 84명의 대상 환자 중 남자 52명, 여자 32명으로 남녀 성비는 1.6:1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56세였다. 환자의 주 증상은 호흡곤란이 42명으로 가장 흔했고 기침과 객담, 흉막성 흉통 등의 순서였으며 평균 생존 기간은 6.4개월이었다. 그 중 혈성 흉수의 빈도는 66%. 림프구 우위성은 39%, 삼출성 흉수는 93%였고 조직학적 아형은 선암 54예(33예가 폐암), 편평상피세포암 10예 (8예가 폐암), 악성림프종 10예, 소세포암 8예 그리고 악성 중피종과 백혈병이 각각 1예였고 각각의 혈성 흉수, 림프구 우위성, 삼출성 흉수의 빈도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생화학적 수치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악성 흉막 삼출을 일으킨 원인 질환은 폐암이 49예로 가장 많았고 그외 원발 부위 불명확 악성 종양 7예, 위암, 유방암이 각각 5예, 담관암이 3예 그리고 난소암, 급성 백혈병, 악성 중피종이 각각 1예 씩 이었고 각각의 혈성 흉수, 림프구 우위성, 삼출성 흉수의 빈도, 생화학적 지표의 차이도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같은 시기의 서울대학교병원의 폐암의 조직학적 아형의 빈도가 편평상피세포암 47%, 선암 33%, 소세포암 12%, 대세포암 2%인 것과 비교해보면 선암에서 악성 흉악 삼출증이 호발하며 편평 상피 세포암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악성 흉막 삼출증 환자를 조직학적 아형이나 원발 악성 질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혈성 흉수, 림프구 우위성, 삼출성 흉수의 빈도의 차이는 없었다.

  • PDF

Pleuroperitoneal communication-associated pleuritis as an uncommon cause of fever of unknown origin in a child on peritoneal dialysis: a case report

  • Juhee Park;Heeyon Yoon;Jiwon Jung;Jina Lee;Joo Hoon Lee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7권1호
    • /
    • pp.46-53
    • /
    • 2023
  • Pleuroperitoneal communication (PPC) is a rare mechanical complication of peritoneal dialysis (PD), which causes dialysate to move from the peritoneal cavity to the pleural cavity, resulting in pleural effusion. Typically, PPC is discovered through pleural effusion in PD patients who are not in volume overload statu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pleural effusion caused by PPC is that it is not resolved by increasing ultrafiltration by dialysis. In this report, we present a 7-year-old girl with PD after birth with the history of various infectious PD-related complications, presenting with fever ongoing for 6 months. PPC-associated pleuritis was suspected as the cause of fever, which eventually developed after long-term PD and induced complicated pleural effusion, lung inflammation, and prolonged fever for 6 months.

흉막 결핵의 진단에 있어서 흉수 검체양에 따른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의 민감도 (Sensitivity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Pleural Tuberculosi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leural Effusion Specimens)

  • 문진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3호
    • /
    • pp.184-191
    • /
    • 2007
  • 연구 배경: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있어서 흉수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는 매우 낮은 민감도를 보였으며, 이는 흉수 내의 결핵균의 수가 적은 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흉수의 검체양을 증가시켰을 때 결핵성 흉수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의 민감도가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결핵성 흉막염에 대한 감별 진단이 필요하였던 53명의 환자에 대하여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각각의 환자로부터 얻은 흉수를 10 ml, 25 ml, 50 ml로 양을 달리 하여 결핵균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Cobas Amplicor MTB (Roche Diagnostic Systems)를 이용하였다. 결핵성 흉막염은 흉수에서 결핵균이 배양된 경우, 흉막 생검에서 결핵이 진단된 경우, 가래에서 결핵균이 배양된 경우 및 기타 원인이 배제된 상태에서 임상적으로 결핵성 흉수가 의심되며 항결핵제 투약으로 흉수가 호전된 경우를 포함하였다. 결 과: 53명의 환자 중 26명이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되었다. 흉수에 대한 항산균 바름질, 결핵균 배양, 아데노신 디아미나아제 측정 및 흉막 생검의 민감도는 각각 3.8%, 15.4%, 88.5%, 84.6%이었다. 10 ml, 25 ml, 50 ml의 흉수를 이용한 결핵균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는 각각 3명(11.5%), 4명(15.4%), 3명(11.5%)에서 양성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symmetry exact 검사). 결 론: 결핵균의 수가 극히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흉수 등의 검사물에 대해서는 결핵균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이 극히 제한적이며, 검사물의 양을 증가시키더라도 민감도는 향상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