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al biops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3초

흉막유출증의 원인규명에 기관지내시경의 역할 (The Role of Bronchoscopy in Determining the Etiology of Pleural Effusion)

  • 김창호;손지웅;김관영;김정석;채상철;원준희;김연재;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97-403
    • /
    • 1998
  • 연구배경: 흉막휴출증에서 기관지내시경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으며, 임파구 우세인 삼출성의 확진을 위한 침습적인 검사로 지금까지 흉막생검이 표준적인 방법이었으나, 최근에 폐암에 따른 악성흉수의 증가와 함께 객혈 및 방사선적 다른 동반된 소견이 있는 환자에서는 기관지내시경검사가 더 효과적인 진단방법일 수 있다. 방 법: 흉막유출이 있는 평균 53세의 112예 환자(남자 75예, 여자 37예)에서 원인규명을 위한 단계적인 수순으로 비침습적인 객담검사 및 흉수분석을 시행하고 원인미상으로 확진을 위한 침습적인 검사가 요구되는 임파구 우세의 삼출성 흉막휴출증환자에서는 임의순으로 흉막생검과 기관지내시경검사를 실시하여 객혈 및 방사선적으로 다른 동반된 소견의 존재유무에 따른 진단율을 비교하고, 기관지내시경의 추가적인 진단적 역할을 조사하였다. 결 과: 흉막유출의 원인으로 결핵이 57예(51%)로 가장 많았고, 침습적인 검사의 비교에서는 동반된 다른 소견에 관계없이 기관지내시경검사 보다 흉막생검이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 흉막생검후 원인미상인 예에서의 기관지내시경에 의한 추가적인 진단율은 동반된 소견의 존재시 36%, 흉막유출단독시 7%였으며 전체적인 흉막유출증 환자에서 기관지내시경의 진단적 기여는 4.5%였다. 결 론: 삼출성 흉막유출증의 원인으로 결핵이 가장 흔한 지역에서, 삼출성 흉막유출증의 원인진단을 위한 침습적인 검사의 필요시 임상적 및 방사선적 동반된 소견유무에 관계없이 일차적으로 흉막생검이 기관지내시경보다 효과적이며, 추가적인 진단에 대한 기관지내시경검사의 역할은 동반된 소견이 없는 예에서는 극히 제한적이다.

  • PDF

흉수 환자에서 Minithoracoscopy를 이용한 흉막 생검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Accuracy of 2-mm Minithoracoscopic Pleural Biopsy for Pleural Effusion)

  • 김우진;이희영;이성호;조성준;박원서;김자경;이승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2호
    • /
    • pp.138-142
    • /
    • 2004
  • 연구배경 : 삼출성 흉수의 원인을 알기위해 일반적으로 흉막천자를 통한 미생물학적, 세포학적 검사와 cope needle을 사용한 흉막생검이 사용되나,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약 20%에서 원인 진단에 이르지 못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삼출성 흉수환자에서 기존의 맹검적 흉막생검을 대신하여 2mm 흉강경을 시행한 경우의 진단적 정확성 및 합병증의 발생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삼출성 흉수의 진단을 위해 강원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6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객담 검사 및 1회 이상의 흉수천자를 통한 미생물 배양검사, 세포진 검사 등을 통해 흉수의 원인을 알 수 없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2mm 흉강경을 이용하여 육안소견 및 병리소견을 확인하였다. 결 과 : 총 15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중앙연령은 56세(범위 21-77세), 남녀의 비율은 10:5였다. 흉강경 이전에 시행했던 흉수천자에서 11명(73.3%)이 림프구최다, 3명(20.0%)이 호중구최다, 1명(6.7%)이 호산구최다의 소견을 보였다. 흉강경을 통한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서 12명(93.3%)의 환자에서 정확한 진단을 얻었으며, 이들의 진단은 결핵성 흉수가 8명(66.7%), 악성흉수가 4명(33.3%)이었고, 세균성농흉이 2명이었다. 흉강경으로 진단되지 않은 1명은 폐흡충증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서 사망은 없었고, 새로 발생한 발열이 6명(40%), 기흉이 1명(6.7 %) 있었다. 결 론 : 원인을 알 수 없는 삼출성 흉수 환자에서 2mm 흉강경은 매우 정확도가 높고 안전한 검사로서, VATS보다 환자에게 부담을 적게 주면서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Diagnosed by Endobronchial Ultrasound- 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 Kang, Byungju;Kim, Mi Ae;Lee, Bo Young;Yoon, Hwan;Oh, Dong Kyu;Hwang, Hee Sang;Choi, Changm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2호
    • /
    • pp.74-78
    • /
    • 2013
  • A 61-year-old woman came to the hospital with dyspnea and pleural effusion on chest radiography. She underwent repeated thoracentesis, transbronchial lung biopsy, bronchoalveolar lavage, and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with talc pleurodesis, but diagnosis of her was uncertai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howed multiple lymphadenopathies, so she underwent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of mediastinal lymph nodes. Here, we report a case of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that was eventually diagnosed by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This is an unusual and first case in Korea.

유두상 갑상선 암에 의한 흉막 전이 1예 (A Case of Pleural Metastasis from Papillary Tthyroid Carcinoma)

  • 정재헌;신상윤;손명균;이영주;김세현;기정혜;최윤정;홍용국;한창훈;이선민;김정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2호
    • /
    • pp.188-193
    • /
    • 2007
  • 악성 흉수의 원인은 폐암, 유방암, 및 악성 림프종, 백혈병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며 내분비 종양에 의한 악성 흉수는 매우 드물며 특히 유두상 갑상선 암에 의한 흉수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유두상 갑상선 암이 폐 전이를 거치지 않고 유방 전이를 거쳐 흉막 전이 일으킨 것으로 보이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아울러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악성 흉수의 원인 감별에 유두상 갑상선 암도 고려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결핵성 흉막염에서 항결핵제 치료 후의 잔여 흉막비후와 관련된 인자 (Factors Associated with Residual Pleural Thickening After Chemotherapy in Tuberculous Pleurisy)

  • 이기만;안종준;서광원;박지현;이미숙;황재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5호
    • /
    • pp.607-614
    • /
    • 2001
  •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염은 항결핵제 치료 후에도 잔여 흉막의 비후가 많은 예에서 관찰되며 이로 인해 흉막박피술까지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초기에는 치료후의 잔여 흉막비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확실히 밝혀진 것이 없다. 이에 저자는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초기에 임상 및 흉수의 분석을 통하여 잔여 흉막비후의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결핵성 흉막염으로 확진된 6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후 잔여 흉막비후가 없는 군(1군 ; 37)과 잔여 흉막비후가 있었던 군(2군 ; 26 명)으로 나누었으며, 분석 요소는 임상특징, 방사선학적 소견, 흉막생검 소견 및 흉수 검사로 양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임상적 특징 : 호흡곤란, 기침 및 흉통, 발열의 유무 및 증상 시작부터 치료개시까지의 기간, 말초혈액에서의 총 백혈구치는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방사선학적 및 흉막조직 검사 소견 : 흉수의 양 및 폐결핵 유무 및 진단 초기에 흉수의 소방화유무는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늑막 생검 조직의 현미경적 검사에서 육아종이 보였던 경우가 1군(30%)에 비해 2군(62%)이 많았다. 항산균 염색 검사에서 결핵균이 별견된 경우가 1군의 8%에 비해 2군이 38%로 유의하게 많았다 (p<0.05). 3. 흉수 검사 소견 : 흉수의 검사상 총 백혈구치 및 백혈구 감별산정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ADA 및 단백질값, 포도당치도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락트산탈수소효소치는 1군의 $860{\pm}71$(mg/dL)에 비해 2군이 $1370{\pm}208$(mg/dL)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결 론 : 결핵성 흉막염의 치료 후 잔여 흉막 비후는 흉막 생검조직에서 육아종이 있는 경우, 항산균 염색검사에서 결핵균이 발견된 경우, 흉수 검사상 락트산탈수소효소가 높은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Role of Primary Tumor Resection in Patients with Pleural Metastasis Encountered at the Time of Surgery

  • Park, Samina;Chung, Yongwoo;Lee, Hyun Joo;Park, In Kyu;Kang, Chang Hyun;Kim, Young T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3호
    • /
    • pp.114-120
    • /
    • 2020
  • Background: Evidence is lacking on whether the resection of lung parenchymal cancer improves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unexpected pleural metastasis encountered during surgery. We conducted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to determine the role of lung resection in the long-term survival of these patients. Methods: Among 4683 patients who underwent lung surgery between 1995 and 2014, 132 (2.8%) had pleural metastasis. After excluding 2 patients who had incomplete medical records, 130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Only a diagnostic pleural and/or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90 patients, while the lung parenchymal mass was resected in 40 patients. Result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29.8 months. The 5-year survival rate of the resection group (34.7%±9.4%) was superior to that of the biopsy group (15.9%±4.3%, p=0.016).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primary tumor resection (p=0.041), systemic treatment (p<0.001), lower clinical N stage (p=0.018), and adenocarcinoma histology (p=0.009)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 favorable outcome. Interestingly, primary tumor resection only played a significant prognostic role in patients who received systemic treatment. Conclusion: When pleural metastasis is unexpectedly encountered during surgical exploration, resection in conjunction with systemic treatment may improve long-term survival, especially in adenocarcinoma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p16과 RARB2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메틸화 검사를 이용한 악성 흉수의 진단 (Diagnosis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by using Aberrant Methylation of p16 and RARB2)

  • 나서희;이수미;구태형;신봉철;허정훈;엄수정;양두경;이수걸;손춘희;노미숙;배호정;김기남;이기남;최필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4호
    • /
    • pp.285-292
    • /
    • 2008
  • 연구배경: 악성 흉수가 있는 환자는 예후가 좋지 않아 이를 감별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흉수 내 세포진 검사가 음성일 경우 진단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흉수 탈락 세포에서 추출한 DNA에서 종양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retinoic acid receptor b2 (RARB2)와 p16 유전자의 과메틸화 측정이 악성 흉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43명의 환자에서 흉수를 천자하여 흉수 내 탈락 세포에서 메틸화 특이 PCR 방법으로 RARB2와 p16 유전자의 과메틸화를 측정하고, 이를 흉막 생검 및 흉수 세포진 검사법과 비교하였다. 결과: 43명의 환자 중 17명은 폐렴, 결핵에 의한 양성 흉수 환자였고, 26명은 흉막 침범 폐암 환자였다. 17명의 양성 흉수에서는 흡연 유무와 상관없이 RARB2와 p16 유전자의 과메틸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6명의 악성 흉수에서 과메틸화는 각각 14명, 5명에서 관찰되었으며, 두 유전자 중 어느 한 쪽이라도 과메틸화가 생긴 경우는 15명이었다. 흉막 생검, 흉수 내 세포진 검사, RARB2 단독, p16 단독, 두 유전자 동시 측정 과메틸화 검사의 민감도는 각각 73.1%, 53.8%, 53.8%, 19.2%, 57.7%이었고, 음성 예측도는 각각 70.8%, 58.6%, 58.6%, 44.7%, 60.7%로서 두 유전자를 동시에 검사할 때의 민감도와 음성 예측도는 흉막 생검보다는 낮았지만, 흉수 내 세포진 검사보다는 높았다. 또, 소세포암에서 p16를 이용한 민감도가 14.3%로 떨어져서 조직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p16과 RARB2 유전자의 과메틸화의 발견은 악성 흉수를 양성과 감별하는데 높은 특이도를 보였고, 민감도 역시 흉수 내 세포진 검사보다 높은 방법이었다. 폐암의 세포 유형에 따른 분자 생물학적 병리를 이해하고 적절한 유전자를 선정한다면 이런 결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흉수의 감별진단에서 Adenosine Deaminase (ADA) 및 동종효소의 유용성 (Diagnostic Value of Adenosine Deaminase(ADA) and its Isoenzyme in Pleural Effusion)

  • 김건열;권숙희;박재석;지영구;이계영;김윤섭;전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88-396
    • /
    • 1998
  • 연구배경: 흉수의 원인을 규명하는 방법으로는 임상소견, 흉수 분석, 그리고 흉막생검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적극적인 검사에도 불구하고 약 20%의 환자에서 흉수의 원인을 모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핵성 흉막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보는 흉막질환이지만 흉수에서 결핵균 양성율은 20-30%에 불과하고 흉막생검 양성율도 50%를 넘지 않아 감별진단이 어려운 경우를 임상에서 종종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흉수의 감별진단에 있어 흉수에서의 ADA(adenosine deaminase) 및 동종효소의 활성도 측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 부터 6월까지 단국대병원 내과에 흉수로 입원한 54명의 환자들의 흉수와 혈청에 대해 ADA 및 동종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흉수의 원인으로는 결핵성 흉수가 25명, 부폐렴성 흉수가 10명, 악성 흉수가 14명, 여출성 흉수가 5명이었으며, 이들 중 소방형 흉수를 보인 경우는 결핵성 흉수가 5명, 부폐렴성 흉수가 6명이었다. 총 ADA 활성도와 동종효소 활성도 측정은 spectrophotometry로 시행하였으며, ADA2 동종효소의 활성도 측정은 ADAl의 강력한 억제제인 EHNA(erythro-9-(2-hydroxy-3-nonyl) adeni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결핵성 흉수에서의 총ADA 활성도는 악성 흉수보다 높았으나 (p<0.l), 결핵성 흉수와 부폐렴성 흉수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결핵성 흉수 : $148.9{\pm}89.9IU/L$, 부폐렴성 흉수 : $129.0{\pm}119.4IU/L$, 악성흉수 : $60.7{\pm}17.8%$). 흉수에서 총 ADA에 대한 ADA2 동종효소의 활성도의 비 (ADA2%)는 결핵성 흉수에서 부폐렴성 흉수에 비해 유의하게 놓았으나(p<0.05), 결핵성 흉수와 악성 흉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결핵성 흉수: $57.2{\pm}10.7%$, 부폐렴성 흉수 : $35.9{\pm}17.8%$, 악성 흉수 : $60.7{\pm}17.8%$). 소방형 흉수의 경우 총 ADA 활성도는 결핵성흉수와 부폐렴성 흉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결핵성 흉수 : $157.8{\pm}100.8$ IU/L, 부폐렴성 흉수 : $164.3{\pm}132.3$ IU/L), ADA2% 는 결핵성 흉수에서 부폐렴성 흉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5)(결핵성 흉수 : $53.3{\pm}3.9%$, 부폐렴성 흉수 : $27.8{\pm}7.9%$). 결 론: 흉수에서 ADA동종효소의 측정은 결핵성 흉수와 부폐렴성 흉수의 감별진단에 유용하며 특히 소방형 흉수의 경우와 같이 임상적으로 강별이 용이치 않은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원발성 흉막중피종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Mesothelioma of the Pleura)

  • 심태선;김호중;최형석;이혁표;서지영;김영환;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135-142
    • /
    • 1991
  • We reviewed 15 cases of mesothelioma of the pleura, of which three cases were localized benign form and 12 cases were malignant diffuse form. The tumors were distributed equally in both sexes, and occured most commonly in fifth to seventh decades. The history of exposure to asbestos was present in only one case. The chief complaints were mainly chest pain and dyspnea. Associated symptoms were cough, sputum, hemoptysis, weight loss, anorexia, chill. On physical examination, unilateral, decreased breathing sound was main feature. The simple chest radiograph showed masses in all localized mesotheliomas (100%) and in 2 diffuse mesotheliomas (17%). 8 cases of diffuse mesotheliomas (67%) showed unilateral pleural effusions. Pleural effusions were mainly bloody (67%), and almost all were exudates. In all localized mesotheliomas, final diagnosis was made by open thoracotomy. In diffuse mesotheliomas, final diagnosis was made by open thoracotomy in 7 cases, chest wall mass biopsy in 2 cases, thoracoscopic biopsy in 1 case, pleural biopsy in 1 case, and pleural biopsy combined with axillary lymph node biopsy in 1 case. Localized mesotheliomas were treated by simple excision with good prognosis. In diffuse mesotheliomas, surgical treatment (pleuropneumonectomy, pleurectomy),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alone or in combination, were used with dismal prognosis. The prognostic factors were not found due to the small number of cases, incomplete follow up, and early drop o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