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alea mino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Three Echinostome Species from Wild Birds in the Republic of Korea

  • Choe, Seongjun;Lee, Dongmin;Park, Hansol;Oh, Mihyeon;Jeon, Hyeong-Kyu;Lee, Youngsun;Na, Ki-Jeong;Kim, Youngjun;Lee, Hang;Eom, Keeseon 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13-520
    • /
    • 2014
  • Three echinostome species, i.e., Patagifer bilobus, Petasiger neocomense, and Saakotrema metatestis, are newly recorded in the trematode fauna of the Republic of Korea. They were recovered from 3 species of migratory birds (Platalea minor, Podiceps cristatus, and Egretta garzetta), which were donated by the Wildlife Center of Chungbuk (WCC) and the Conservation Genome Resource Bank for Korean Wildlife (CGRB). Only 1 P. bilobus specimen was recovered from the intestine of a black-faced spoonbill (P. minor), and characterized by the bilobed head crown with a deep dorsal incision and 54 collar spines. Twenty P. neocomense were recovered from the intestine of a great crested grebe (P. cristatus), and they had a well-developed head crown with 19 spines and 2 testes obliquely located at the posterior middle of the body. Total 70 S. metatestis were collected from the bursa of Fabricius of 1 little egret (E. garzetta). It is characterized by stout tegumental spines covered in the entire leaf-shaped body, posterior extension of the uterus, presence of the uroproct and a well-developed head crown with 12 pairs of collar spines on each side. By the present study, these 3 echinostome species are newly added to the trematode fauna in Korea.

Yubu Island, the Important Waterbird Habit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Its Conservation

  • Lee, Han-Soo;Yi, Jeong-Yeon;Kim, Hwa-Chung;Lee, Si-Wan;Paek, Woon-Kee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15-121
    • /
    • 2002
  • Yubu Island is located within the estuary of the Geum River, South Chungcheong Province $(35^{\circ}59'N,\;126^{\circ}36'E)$, Korea. The island is surrounded by a broad and sandy mudflat, which is typical i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is located 4km off from Gunsan City. Less than 100 humans live on the island, occupying 30 houses. After we discovered that this island was a very important waterbird habitat especially for the East Asian subspecies of the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Waterbirds were monitored once every month from August 1999 to July 2000. The highest number of oystercatchers counted was 3,200 in December 1999, and the birds seemed to remain in the area continuously from September to next February. About 200 breeding and non-breeding birds remained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August, early migrants returned to the island, with the number reaching 1,060 individuals. This island is also very important for other waterbirds. Endangered or significant species occurring at this site, and their maximum counts were: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5),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17), brant Branta bernicla (1), common shelduck Tadorna tadorna (8,000), hooded crane Grus monacha (2), spoon-billed sandpiper Ewynorhynchus pygmeus (7), dunlin Calidris alpina (6,500), great knot Calidris tenuirostris (24,000),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2,500), spotted greenshank Tringa guttifer (4) and Saunders's gull Larus saundersi (1,200). During the 12 month survey period, we observed 52 waterbird species and the total of the maximum counts for the separate species was 73,308, implying that perhaps 150,000 birds could be using the immediate area, if a turnover rate of 2 was assumed.

멸종위기종 저어새의 둥지 재료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해양 쓰레기가 보호 활동으로 줄어들다 (Plastic Marine Debris Used as Nesting Materials of the Endangered Species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Decreases by Conservation Activities)

  • 이기섭;장용창;홍선욱;이종명;권인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49
    • /
    • 2015
  • 해양 생물에 대한 교란은 해양쓰레기의 악영향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서해안에 있는 수하암이라는 섬에서 수행된 조사를 바탕으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를 포함하고 있는 저어새 둥지의 비율이 계산되었다.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있는 둥지의 비율은 2010년 71%에서 2011년 37%, 2012년 33%로 줄어들었다. 전체 둥지의 개수는 2010년 28개에서 2011년 38개, 2012년 43개로 늘어났다. 이 번식지에 2011년과 2012년에 나뭇가지와 볏짚 등의 자연물 둥지 재료가 공급되었는데, 이런 보호 활동이 위와 같은 변화의 한 원인으로 보인다. 해양쓰레기의 악영향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보호 활동이 필요하다.

칠산도의 저어새 번식 현황과 둥지장소 특성 (Breeding status and nest site characteristics of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on Chilsando Islands, Korea)

  • 권인기;강정훈;이기섭;이지연;김인규;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03-709
    • /
    • 2015
  • 전라남도 영광군에 위치한 칠산도는 1991년 국내에서 최초로 저어새 번식이 확인된 이래로 전 세계 개체군의 증가와 더불어 2000년대 중반부터 번식개체군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칠산도의 저어새 번식 현황 및 둥지장소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2013년 5월에서 8월까지 번식기 동안 번식쌍 수, 둥지터 크기, 경사도, 둥지기반 재료, 둥지간 거리, 둥지주변 엄폐물의 유무, 섬 내 번식 면적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칠산도에서 2013년에 번식을 시도한 49개의 둥지 중 25개 둥지에서 최소 1개체 이상의 유조가 이소에 성공하였다. 25개 둥지에서 이소한 유조는 총 55개체였으며, 둥지 당 평균 이소성공 유조는 2.2개체였다. 사산도와 육산도를 대상으로 저어새 둥지장소의 특성에 대한 조사 결과 섬 내에서 저어새가 실제 번식한 면적은 사산도의 경우 $77.8m^2$(섬 전체 면적의 0.10%), 육산도의 경우 $93.4m^2$(섬 전체 면적의 0.09%)로 섬 내 좁은 지역에 밀집하여 번식하였다. 둥지장소는 돌 위보다 주로 흙 위나 흙과 나무가 복합된 형태의 지면에 유채(Brassica napus)가 있는 장소가 선택되었다. 저어새의 둥지터 크기는 평균 장경 $49.59{\pm}6.53cm$, 평균 단경 $41.00{\pm}5.82cm$, 둥지의 위쪽 평균 경사도는 $20.85{\pm}9.96^{\circ}$, 아래쪽 평균 경사도는 $34.09{\pm}17.75^{\circ}$였으며, 가장 가까운 둥지간의 평균 거리는 $130.82{\pm}84.17cm$였다(n=22). 22개의 번식 둥지 중 15개 둥지(68.2%)가 엄폐물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둥지 앞쪽으로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5개(33.3%), 둥지 뒤쪽으로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9개(60.0%), 앞뒤 모두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1개(6.7%)로 둥지 후방부에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구지도, 칠산도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Juvenile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Home Range in Gujido and Chilsando Islets, South Korea)

  • 손석준;강정훈;권인기;김달호;이기섭;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9-105
    • /
    • 2020
  • 철새는 다양한 번식지와 월동지를 이용하며, 특히 멸종위기 종의 번식지와 취식지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종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저어새는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국제적인 멸종위기 종으로 전 세계 번식 개체군의 대부분이 한반도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며, 대만과 홍콩, 중국 남부 지역, 일본, 제주도 등에서 월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 인천 구지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와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를 대상으로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을 분석, 비교하였다. 구지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북한 황해남도와 강령군 등의 해안지역에서 행동권을 보였으며, 행동권 크기는(Mean±SD) MCP 425.49±116.95 ㎢, KDE 95% 43.61±18.51 ㎢, KDE 50% 7.46±3.68 ㎢이었으며, 칠산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영광 백수 갯벌 및 부안 새만금 간척 지역에서 MCP 99.38±55.29 ㎢, KDE 95% 19.87±6.05 ㎢, KDE 50% 1.16±0.53 ㎢의 행동권을 보여 구지도 번식 개체가 칠산도 번식 개체에 비해 더 넓은 행동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번식지인 구지도, 칠산도에서 이소한 저어새의 행동권은 주로 갯벌 지역이었으며, 이 인근 일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도로, 건설, 인간의 출입 등 인간의 방해를 최소화하는 서식지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한강-임진강 합류부 환경·생태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방향: 이동성 생물종 보전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on Ecological Conservation along the Han and Imjin Rivers Confluence: Focusing on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 최현아;한동욱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5-160
    • /
    • 2022
  • 남북 공유하천 논의는 기존 수자원 분야 협력에서 생태보전협력 방향으로 논의 확대가 필요하다. 한강-임진강 공유하천 합류부 수계의 경우 기후 위기 대응 측면에서 하구 생태계의 온전성이 보전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남북대화를 위한 의제로서 남북 서식지를 공유하는 이동성 생물종의 보호를 중심으로 남북 생태보전 협력이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한강-임진강 합류부는 법정보호종인 재두루미, 큰기러기, 개리, 저어새, 수달, 삵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서식지 보전 측면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임진강 공유하천 합류부 생태보전을 위한 북한과의 협력을 위해 환경·생태협력 여건을 분석 후 향후 진행 가능한 협력사업을 제시하였다. 이때, 현시점을 준비 단계로 보고 남북관계 변화에 따라 향후 남북 간 직접 교류가 가능한 상황을 고려한 단계별 생태보전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북한과의 협력은 공유하천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하는 과학교류, 대중인식 증진 활동의 결과를 교류하는 작업이 수반될 때 실제 협력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