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ning techniques

검색결과 919건 처리시간 0.039초

Validating the Structural Behavior and Response of Burj Khalifa: Synopsis of the Full Scal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Programs

  • Abdelrazaq, Ahmad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7-51
    • /
    • 2012
  • New generation of tall and complex buildings systems are now introduced that are reflective of the latest development in materials, design, sustainability, construction, and IT technologies. While the complexity in design is being overcome by the availability and advances in structural analysis tools and readily advanced software, the design of these buildings are still reliant on minimum code requirements that yet to be validated in full scale. The involvement of the author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lanning of Burj Khalifa since its inception until its completion prompted the author to conceptually develop an extensive survey and real-tim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program to validate all the fundamental assumptions mad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lanning of the tower. The Burj Khalifa Project is the tallest structure ever built by man; the tower is 828 meters tall and comprises of 162 floors above grade and 3 basement levels. Early integration of aerodynamic shaping and wind engineering played a major role in the architectural massing and design of this multi-use tower, where mitigating and taming the dynamic wind effect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criteria established at the onset of the project design.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and foundation system behaviors of the tower are the key fundamental drivers for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a state-of-the-art survey an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programs. Therefore,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execution of the survey and real-tim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programs to confirm the structural behavioral response of the tower during construction stage and during its service life; the monitoring programs included 1) monitoring the tower's foundation system, 2) monitoring the foundation settlement, 3) measuring the strains of the tower vertical elements, 4) measuring the wall and column vertical shortening due to elastic, shrinkage and creep effects, 5) measuring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tower under its own gravity loads (including asymmetrical effects) resulting from immediate elastic and long term creep effects, 6) measuring the building lateral movements and dynamic characteristic in real time during construction, 7) measuring the building displacements, accelerations, dynamic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behavior in real time under building permanent conditions, 8) and monitoring the Pinnacle dynamic behavior and fatigue characteristics. This extensive SHM program has resulted in extensive insight into the structural response of the tower, allowed control the construction process, allowed for the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response in effective and immediate manner and it allowed for immediat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predicted behavior. The survey and SHM programs developed for Burj Khalifa will with no doubt pioneer the use of new survey techniques and the execution of new SHM program concepts as part of the fundamental design of building structures. Moreover, this survey and SHM programs will be benchmarked as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generation of SHM programs for all critical and essential facilities, however, but with much improved devices and technologies, which are now being considered by the author for another tall and complex building development, that is presently under construction.

도시 열환경개선을 위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바람길 유동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Wind Flows in Wind Corridor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s)

  • 서보용;정응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사례로 도시내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3단계로 이루어졌는데, 1단계에서는 지역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간의 기상학적 관계를 비교하였다. 2단계에서는 도심지역과 교외지역으로 구분하여 국지적 바람유동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KLAM_21을 활용하여 국지적 바람유동과 도시공간전체의 바람길 형성 및 유동과의 공간적 관계에 대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대표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 사이에는 기상학적으로 상관성이 낮았다. 둘째, 도심지역 5개와 교외지역 2개 측정지점에서의 국지적 바람유동에 대한 관측결과에서는 지점별로 다양한 풍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측정지점 인근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이 국지적 바람유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KLAM_21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AWS 측정자료와 비교 검증한 결과 수치모델링분석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한 도시의 국지적 바람유동은 도시열섬현상의 개선을 위한 공간적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것으로 판단된다. 즉, 도시계획 수립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도시열섬발생지역과 공간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계획적 기법을 적용한다면 도시열섬 현상을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 인식 조사 (Practitioners'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Universities)

  • 주신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3-2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경도입 40년을 즈음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의 요구에 조경교육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두 257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조경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교과목 유형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조경업무 단계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전반적인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대학 졸업 직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교육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 교육에 대한 요구로도 현실적인 전문지식, 인접분야에 대한 이해 등의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입사원 교육을 통해서 실무스킬이나 컴퓨터, 법제도 관련 사항을 보완하고 있었다. 대학 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전임교수는 물론이고, 학생과 실무자들의 공동의 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과목별로는 식재설계, 조경설계, 조경재료, 조경계획, 조경시공 및 관리 등의 과목이 중요한 과목으로 조사되었으나 부분적으로는 분야별 특성이 나타났다. 업무단계별로는 중요도 측면에서는 계획, 설계, 시공관련 과목이 고르게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었으나, 실무활용도 측면에서는 계획과 설계과목으로 한정되어 현대학 교육이 계획과 설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학문연구를 기본으로 하는 대학입장에서 실무자 의견을 그대로 교육과정에 반영할 될 수는 없겠으나, 현실을 반영한 교육에 대한 요구와 계획, 설계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균형감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응답자가 수도권에 집중되었으며 실무자 의견 조사에 한정되어,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서는 교육자나 피교육자의 의견이 포함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日本)에서 계류변(溪流邊)의 환경복원(環境復元) 발전전략(發展戰略)(V) -한국적(韓國的) 적용(適用)을 중심(中心)으로- (Strategy Prospects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Stream Side in Japan(V)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Application of Korean Style-)

  • 박재현;우보명;권태호;이헌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0-89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stream side in Japan, and to consider the methodology which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stream side in Korea. 1. We should establish a new paradigm of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which can emphasize the restoration of the stream side ecosystem and reduce soil movement in the areas. Also, in the past, the objective of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was to fix soil by constructing permanent structures. The direction of future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needs to be new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technology to prevent large scale soil movement but allow small scale soil movement to conserve sound ecosystem and biotic habitats. 2. In the past, the goal of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planning was to fix the amount of soil movement by constructing permanent facilities.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planning in the future needs to change the techniques which could prevent soil movement from large scale of soil disasters, but allow soil movement effectively to a small and middle scale's soil movement. Also, it is considered to change erosion control dams from non passing type to passing type. 3. In the point of ecological conservation aspects, we should evaluate the effects of new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methods which are emphasized on the restoration of the stream side ecosystem. Also,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construction projects for restoring stream and river ecosystem should be planned for perfectly restorating their ecosystems by the way of sustain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4. The restoration direction of stream and river ecosystems needs to be restoring the diversity of small geographies such as waterway, shoal and puddles rather than flattening stream bed. And the restoration of the stream side ecosystem should provide continuity of the stream side environment which allows desirable biological habitats, and environmentally sound facilities to harmonize with the environment.

  • PDF

Plan Dose Evaluation of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Planning (3D-CRT) of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Experience of a Tertiary Care University Hospital in Pakistan

  • Abbasi, Ahmed Nadeem;Hafiz, Asim;Ali, Nasir;Khan, Khurshid Ahm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5989-5993
    • /
    • 2013
  • Background: Radiation therapy is the mainstay of treatment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Importance of tumor coverage and challenges posed by its unique and critical location are well evident.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our radiation treatment plan through dose volume histograms (DVHs) to find planning target volume (PTV) dose coverage and factors affecting it.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vered 45 histologically proven nasopharyngeal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definitive 3D-CRT and chemotherapy between Feb 2006 to March 2013 at the Department of Oncology, Section Radiation Oncology, Aga Khan University Hospital, Karachi, Pakistan. DVH was evaluated to find numbers of shrinking field (phases), PTV volume in different phases and its coverage by the 95% isodose lines, along with influencing factors. Results: There were 36 males (80%) and 9 females (20%) in the age range of 12-84 years. Stage IVA (46.7%) was the most common stage followed by stage III (31.1). Eighty six point six-percent received induction, 95.5% received concurrent and 22.2%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The prescribed median radiation dose was 70Gy to primary, 60Gy to clinically positive neck nodes and 50Gy to clinically negative neck regions. Mean dose to spinal cord was 44.2Gy and to optic chiasma was 52Gy. Thirty seven point eight-percent patients completed their treatment in three phases while 62.2% required four to five phases. Mean volume for PTV3 was $247.8cm^3$ (50-644.3), PTV4 $173.8cm^3$ (26.5-345.1) and PTV5 $119.6cm^3$ (18.9-246.1) and PTV volume coverage by 95% isodose lines were 74.4%, 85.7% and 100% respectively. Advanced T stage, intracranial extension and tumor volume > $200cm^3$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decreased PTV coverage by 95% isodose line. Conclusions: 3D CRT results in adequate PTV dose coverage by 95% isodose line. However advanced T stage, intracranial extension and large target volume require more advanced techniques like IMRT for appropriate PTV coverage.

하천의 치수-환경기능 복합 고려 수리시설물 사전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ante Hydraulic Facilities Assessment Techniques Combinedly Considering Flood Control - Environmental Functions)

  • 이태근;심규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17-529
    • /
    • 2020
  • 하천에는 다양한 시설물이 존재하며 상호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여러 가지 순기능, 역기능으로 발현된다. 이 중 하천을 연속적으로 횡단하는 보는 홍수기 홍수위 상승, 평수기 하천유지유량 및 수심확보 등 다양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 계획은 홍수량 소통시 홍수위와 여유고 확보여부만을 검토하는 치수관점에 국한된 평가를 토대로 수행되었고, 최근 들어 하천에 대한 환경기능 확보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하천의 환경생태유량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천 내 수리시설물 계획 시 환경생태유량을 적용한 환경기능적 측면의 분석 및 평가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수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시설물 평가 및 계획기법을 개발하고,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구리시 왕숙천 내 돈댓보를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을 도입하여 현황, 철거, 시설물 재설치 case별로 수리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와 동시에 주변 하천 시설물 현황을 고려하여 영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 치수관점의 홍수위 평가도 함께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보를 자연형 여울로 재설치하는 계획을 도출하였으며 치수, 하천환경적 측면에서 타당성과 주변 하천 시설물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가 향후 하천 시설물 계획 시 활용되면 하천의 치수, 환경기능을 복합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관의 시각량 산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연속경관 시퀀스 분석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Technique of Sequence Landscaping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Visual Amount Calculation Program of Landscapes)

  • 구민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2-25
    • /
    • 2016
  • 본 연구는 경관을 시간의 개념을 포함한 연속적 시퀀스로 분석하기 위해 연속경관의 무수히 많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 프레임들이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들의 시각량을 수치화하여 데이터화한 다음 시퀀스 리듬으로 산출하여 경관계획, 설계 시 필요한 정량적인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경험자 시선흐름에 근접하도록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연속적 경로인 경관회랑에 따라 경관구역과 경관통제점에 컴퓨터 Motion 기법들을 각각 적용하였다. 동영상에서 일정간격으로 많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 프레임별 경관 구성요소들의 시각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하기 위해서 CRVP Koo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검증한 다음 대상지에 적용해 보았다. 적용결과, 각 경관의 구성요소별로 수치화된 정량적인 리듬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Photoshop에서 수작업한 결과와 오차도 매우 작았으며, 수작업의 단점을 극복할 수도 있었다. 도출된 시퀀스 리듬은 경관의 경험자 체험에 근접한 것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정량적인 분석기법 도출이 가능하였으며, 경관계획이나 설계를 위한 정량적인 데이터와 분석기법으로 활용 가능하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 조사방법이 빔 파라미터 및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Dosimetric Evaluation of Static and Dynamic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and Delivery)

  • 김성규;김명세;윤상모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2호
    • /
    • pp.114-122
    • /
    • 2006
  •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는 다엽콜리메타의 구동방식에 따라 static 방법과 dynamic 방법이 있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정도관리는 치료계획의 정도관리, 치료정보의 전달에 관한 정도관리, 치료전달 과정에 대한 정도관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static 방법과 dynamic 방법에 대하여 같은 조건으로 치료계획 정도관리를 시행하여 dynamic 방법의 환자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 다엽콜리메타의 움직임이 static 방법인 stop and shoot 방법과 다엽콜리메타의 움직임이 dynamic 방법인 sliding window 방법과 비교검토한 결과 임상표적용적(clinical target volume, CTV)의 크기가 직경 3 cm인 경우에서는 중심점에서의 선량분포 차이가 0.2%였으며, 선량분포의 90% 면적의 차이가 2.7%였으며, CTV의 크기가 직경 7 cm인 경우에서는 중심점에서의 선량분포 차이가 0.2%였으며, 선량분포의 90% 면적의 차이가 2.2%였으며, CTV의 크기가 12 cm인 경우에서는 중심점에서의 선량분포 차이가 0.4%였으며, 선량분포의 90% 면적의 차이가 2.9%였다. 실제 폐암 환자에서도 CTV의 크기에 따라 static 방법과 dynanic 방법에서 중심점에서의 선량 차이는 0.3%에서 0.6%를 나타내고 있다. 가상 펜텀에서는 CTV의 크기에 따라 중심점에서의 측정 선량이나 90% 등선량 곡선 면적이 차이가 없었고, 실제 폐암환자에서는 중심점의 측정선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90%등선량곡선의 면적은 CTV 가 커짐에 따라 두 방법간에 차이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공공도서관 성과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 이미경;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3-329
    • /
    • 2012
  •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성과관리에 기여하고자 도서관서비스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반영한 효율성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이 분석모형을 적용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효율성 제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미 국내외 연구에서 기존 공공부문에서 사용되는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으나, 도서관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고 측정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도출을 시도한 연구도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서비스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해봄으로써 효율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공공도서관에 투입량을 기준으로 산출량은 증가될 수 있으므로 현재 투입 수준에 맞게 산출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 지속적으로 투입양을 증가시켜야 한다. 효율성 영향요인은 이용자수, 물리적 환경, 전문 인력, 문화 프로그램 기획력, 전자자료 등으로 분석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용자수, 전문 인력, 문화프로그램 기획력이 효율성과 인과관계를 갖고 있었다.

행정구역에 기초한 어촌지역의 유형구분과 지역개발방향 (The Classific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s Direction of Rural Fishing Area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

  • 김정태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81-93
    • /
    • 2013
  • The selection of land for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the standard used to classify fishing villages has been determined based on the guidelines developed by fishing village cooperatives. The approach fishing village cooperatives follows is likely to classify fishing villages without first reflecting on the overall development environment of the region, such as other industries and workers in the area. It also acts as a barrier for business promotion or evaluation, because the cooperatives do not match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hich are the units of administration, and the main policy enforcement agent in regional developmen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ategories to situate the development direction, as well as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fishing villages based on eup, myeon, and dong administrative units as defined by the Fishing Villages and Fishery Harbors Ac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2010, and analyzed 826 eups, myeon, and dongs with fishery households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2-Step cluster analysis methods. Therefore, 95% of the variance was explained using the covariance matrix for types of fishing villages, but it was analyzed as one component focusing on the number and ratio of fishery households, and used the cluster-type analysis, which focused on the sizes of fishing villages. The clust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1) the development type based on the number of fishermen in the eups, myeons and dongs was analyzed as village size (682); (2) administrative district size (121); and (3) total eups, myeons and dongs (23), which revealed that the size of most fishing villages was small. We could explain 73% of the variance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three principal component scores, namely fishery household power, fishery industry power, and fishing village tourism power. Most fishing villages did not have a clear development direction because all business areas within the region were diversified, and 552 regions could be categorized under the harmonious development type, which is in need of balanced development. The fishery industry type typified by industrial strength included 159 regions in need of an approach based on industrialization of fishery product processing. Specialized production areas, which specialized in producing fishery products, were 115 regions with a high percentage of fishermen.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various situations in terms of size and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existed. However, because several regions exist in the form of small village units, it was necessary to approach the project in a manner that directed the diversific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places for local residents to relax or enjoy tourism experiences within the region, while considering the overall conditions of the relevant eups, myeons, and dongs. Reinforcement of individual support for fishermen based on the Fisheries Act must take precedence over providing support for fishermen through reg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by focusing on industrializing the processing techniques of fishery products. Areas specialized in the production of fishery products are required to consider the facilities for fisheries production, and must make efforts to increase fishery resources, such as releasing f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