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uitary tumor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4초

초기에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임상, 내분비학 및 방사선학적 경과 (Clinical, endocrinological and radiological courses in patients who was initially diagnosed as idiopathic central diabetes insipidus)

  • 정승준;이성용;신충호;양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110-1115
    • /
    • 2007
  • 목 적 :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 중에서 일부는 후에 뇌종양이 발견된다. 이에 저자들은 요붕증 진단 시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으로 진단 받은 20명의 환자들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내분비학적 경과를 추적 관찰하여 기질성 원인으로의 진행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방 법 : 1984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중추성 요붕증으로 진단 받았던 환자들 중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뚜렷한 기질적 원인의 증거가 없었던 20명의 환자들에서 후향적으로 임상소견과 검사소견을 검토하였다. 중추성 요붕증 진단 시 뇌종양, 선천성 중추신경계 기형이 있는 경우는 제외시켰다. 결 과 : 남아 15명, 여아 5명이었고, 진단 시 평균 연령은 $7.8{\pm}3.6$(2.1-14.7)세로, 야뇨증이 11명, 두통이 4명, 구토가 2명에서 있었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8.6{\pm}5.1$(1.5-18)년 이었다. 추적관찰 도중 뇌종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는 6명(30%)이었다(생식세포종 5명, 랑게르한스 조직구증 1명; 추적기간 $2.6{\pm}2.1$년). 성장호르몬결핍증은 10명(50%)에서 관찰되었다. 복합 뇌하수체전엽호르몬결핍은 뇌종양 환자군에서 비뇌종양 환자군에서보다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60% vs. 7%, P=0.037). 진단 시 뇌하수체 줄기 비후는 9명(47%), 뇌하수체 후엽 신호 소실은 9명(47%)에서 관찰되었으며, 추적 중 새롭게 뇌하수체 줄기 비후가 생긴 3명의 환자 모두에서 뇌종양이 발생하였다. 결 론 :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 환자의 일부는 추적관찰 중 뇌종양을 발견할 수 있는데, 특히 복합 뇌하수체전엽호르몬결핍증이 동반되거나, 뇌하수체 줄기 비후가 새롭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욱 세심한 뇌종양에 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뇌하수체 선종의 방사선치료 결과 (The Result of Radiotherapy for Pituitary Adenoma)

  • 이현주;양광모;조흥래;손승창;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297-303
    • /
    • 1997
  • 목적 : 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뇌하수체 선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통해 방사선치료 역할을 규명해 보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 1984년 5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인제대학교부속 백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를 받은 뇌하수체 선종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적기간은 12-146개월(중앙값 97개월)이었다. 성비는 남:여=17. 10이었다. 기능성 선종과 비기능성 선종은 각각 22례, 5례였고, 기능성 선종중 유즙분비, 성장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분비는 각각 11, 9, 2례에서 나타났다. 미세선종은 4례였고, 거대선종중 2cm 이하는 9례, 2cm 이상은 14례이었다. 치료방법은 11례에서 접형골 경유 선종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9례에서 개두술과 종양제거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방사선 치료만 받은 환자는 7례였다. 방사선 치료는 4MV 선형가속기로 5040-5580cGy(중앙값 5040cGy)/5-7주를 조사하였다. 결과 : 5년 및 10년 전체생존율은 95.5%이었고, 국소관해율은 23/26(88.5%)이었다. 치료전 시력감소를 호소한 환자의 12/15(80%)에서 치료후에 시력회복을 보였으며, 시야결손환자는 l1/12(91.7%)에서 치료후 시야회복을 보였다. 호르몬 수치가 추적가능하였던 환자 12명중 유즙 분비종은 54(71.4%), 성장호르몬 4/4, 부신피질 호르몬 III에서 회복을 보였다. 임상적으로 치료후 합병증은 범하수체기능저하증이 2례에서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미미하였다. 무병생존율의 예후인자로 호르몬 분비 유무(기능성 VS 비기능성), 종양크기, 조사선량 및 조사야 크기 등을 분석하였는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뇌하수체 선종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 및 방사선치료단독으로 높은 생존율과 국소 관해율을 보여주었고, 수술후 종양에 의한 증상 및 징후의 회복에 효과가 있었다. 예후인자 분석에서 호르몬 분비유무, 종양크기, 조사선량 및 조사야 크기 등이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뇌하수체선종의 방사선치료후 혈중 호르몬치의 변화 (Radiation Therapy for Pituitary Adenoma -Changes in Endocrine Function after Treatment-)

  • 윤세철;장홍석;김성환;신경섭;박용휘;손호영;강준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185-195
    • /
    • 1991
  •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는 1983년 3월부터 1990년 4월 사이 7년여 동안에 뇌하수체선종으로 확진되었던 74명의 환자($7\~65$세, 평균 37세, 남:여=39:35)에 대하여 뇌하수체부위에 외부방사선치료를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V 선형 가속기를 사용하여 선원중심축거리 80 cm, $4{\times}4{\times}4\~8{\times}8{\times}8cm^3$ 조사야로 3문조사하였다(180cGy/일, 5회/주, $20\~65$Gy). 5예에서는 정위다방향고선량단일조사($15\~25$ Gy/l회)를 실시하였다. 이 환자들의 수술전후 및 방사선치료 후에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를 실시하여 종양의 호르몬분비에 따른 분류와 방사선치료가 호르몬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조사하였다. 호르몬분비에 따른 뇌하수체선종의 분류는 프로랙틴종 23예($29\%$), 성장호르몬분비종 20예($26\%$),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종 6예 ($8\%$) (쿠싱병 4예와 넬슨증후군 2예)였으며 4예 ($5\%$)에서는 프로랙틴과 성장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였다. 한편, 호르몬분비기능없는 종양이 29예($37\%$)였다. 23예의 프로랙틴종 중 15예 ($65\%$)와 20예의 성장호르몬분비종 중 3예 ($15\%$)에서는 방사선치료$2\~3$년 후 정상 호르몬 수치로 전환되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종은 6예 중 1예를 제외한 전예에서 치료 후 모두 정상이되었다. 방사선치료에 따른 부작용으로서 범하수체기능저하증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이 각각 7예($9\%$)씩 그리고 성선기능저하증 2예 ($3\%$) 등이 관찰되었다. 전예 중 15예 ($20\%$)에서는 정기적인 호르몬 추적검사를 실시하지 못하였다.

  • PDF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뇌종양 46예의 뇌정위다방향방사선치료 성적 (Clinical Report of 46 Intracranial Tumors with LINAC 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 윤세철;서태석;김성환;강기문;김연실;최병옥;장홍석;최규호;김문찬;신경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41-247
    • /
    • 1993
  • 가톨릭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1988년 7월부터 1992년 12월 사이에 뇌종양 환자 45명의 뇌내 46개 병소에 대한 뇌정위다방향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영상학적 및 임상적 추적조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뇌종양에 대한 뇌정위다방향방사선치료는 병소가 생명중추에 인접되어 있거나 다른 전신질환과 함께 있어 종양의 수술적 제거가 어려운 경우, 수술후 잔류 병소가 남아 있거나 재발된 경우, 또는 종래 부터 해오던 방사선치료에도 불구하고 잔류병소가 남아있거나 환자가 수술을 거부할 경우 등에서 실시하게 된다. 이는 수술이나 유사한 다른 치료와 비교하여 동일한 치료효과를 얻으면서도 간편하고 비침습적 이며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치료 경비가 소요됨으로, 최근 방사선치료장비 및 치료계획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그 치료성적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환자 분포는 남녀 비가 22:33 이며, 연령 분포는 5-74세 (중앙값 : 43세)이었고, 추적조사 기간은 2-55개월 (중앙값 : 35개월)이었다. 6 MV 선형 가속기를 사용하여 조사야 용적은 $0.13-42.88\;cm^3$(중앙값 : $7.26\;cm^3)$이었으며, 최대치료선량은 5-35.5 Gy(중앙값 : 20.9 Gy)이었다. 종양 별로는 뇌하수체종양15예, 청각신경종 8예, 수막종 7예, 뇌교종 6예, 두개인두종 4예, 송과선종 3예, 혈관아세포종 2예, 및 뇌전이 암 1예 씩이었다. 총 46예 중 18예$(39.1\%)$에서 추적 영상검사상 종양의 소실 및 위축을 관찰하였으며, 10예$(34.8\%)$에서는 종양크기의 정지상태를 나타냈다. 임상적으로는 34예$(73.9\%)$에서 방사선치료 전보다 양호한 전신상태 및 수행능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이중 4예 $(8.7\%)$에서는 추적 검사상 종양 크기가 약간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적으로는 안정된 상태이었다. 영상학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악화된 경우는 2예$(4.4\%)$에서 있었다. 치료에 따르는 부작용으로는 치료 직후, 일시적 두통을 호소하였으나 스테로이드 및 진통제 투여로 개선되었으며 경미한 일시적 탈모를 3예$(6.6\%)$에서 경험하였으며 향후 좀더 정밀 추적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iant Sellar Xanthogranuloma after Surgical Treatment of Symptomatic Rathke's Cleft Cyst

  • Cho, Sung-Min;Cho, Hyok-Rae;Park, Yong-Seok;Chang, Hee-Gyeong
    •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 /
    • 제6권2호
    • /
    • pp.82-85
    • /
    • 2018
  • Extremely massive sellar xanthogranuloma (XG) are rare, and the surgical outcome and prognosis are not well known. XG remain unknown whether they are derived from Rathke's cleft cysts (RCCs) or craniopharyngiomas (CPs) following extensive inflammation and metaplasia, to the point that no epithelium is readily identifiable. These lesions usually tend to occur in younger patients (mean 28.3 years), have a smaller diameter, and remain primarily intrasellar region with infrequent calcification. This 36-year-old man presented our hospital with visual deterioration. At the time of visit, there were no neurological problems other than visual field defect and hormonal disorder. He visited our hospital in 2007 due to headache and decreased vision, and underwent transphenoid surgery for pituitary RCC. Since then, he has received treatment at our hospital for postoperative hormonal disorders. Through preoperative imaging study, the author suspected CP and underwent surgery. During the operation, the adhesion of the tumor to the surrounding major neurovascular structures was severe in the naked eyes, but the tumor could be removed more easily than expected. The postoperative histological findings were confirmed as XG.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Compared to the previous literature, this case is a case where the size of XG is very large in a sellar region and it can be proved that it originated from the RCC. And regular follow-up is necessary to confirm the prognosis after surgery.

THE ELEVATION OF EFFICACY IDENTIFYING PITUITARY TISSUE ABNORMALITIES WITHIN BRAIN IMAGES BY EMPLOYING MEMORY CONTRAST LEARNING TECHNIQUES

  • S. SINDHU;N. VIJAYALAKSHMI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2권4호
    • /
    • pp.931-943
    • /
    • 2024
  • Accurately identifying brain tumors is crucial for medical imaging's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This study presents a novel approach that uses cutting-edge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o automatically segment brain tumors. with the use of the Pyramid Network algorithm. This technique accurately and robustly delineates tumor borders in MRI images. Our strategy incorporates special algorithms that efficiently address problems such as tumor heterogeneity and size and shape fluctuations. An assessment using the RESECT Dataset confirm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thod and yields promising results in terms of accuracy and computing efficiency. This method has a great deal of promise to help physicians accurately identify tumors and assess the efficacy of treatments, which could lead to higher standards of care in the field of neuro-oncology.

GnRH의 맥동성 투여에 의한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의 치료 (Pulsatile GnRH Therapy in Male Patients with Hypogonadotropic Hyprogonadism)

  • 박기현;지용석;이병석;이보연;조동제;송찬호;이무상;최형기;이현철;허갑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9권1호
    • /
    • pp.81-85
    • /
    • 1992
  • The effects of pulsatile GnRH therapy have been studied for the treatment of different forms of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including idiopathic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and hypogonadism developed as a result of treatment with combination of surgery and irradiation for pituitary or hypothalamic tumor. GnRH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in a dose of $10{\mu}g$ every 2 hours with the pulsatile infusion pump. With GnRH therapy, all patients improved secretion of LH, FSH and testosterone. Testicular volumes increased. Spermatogenesis was induced in 8 patients. Pulsatile GnRH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idiopathic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and can have a role in hypogonadism previously treated with combination of surgery and irradiation for pituitary or hypothalamic tumor.

  • PDF

Effects of PTTG Down-regulation on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of the SCL-1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 Xia, Yong-Hua;Li, Min;Fu, Dan-Dan;Xu, Su-Ling;Li, Zhan-Guo;Liu, Dong;Tian, Zhong-W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245-6248
    • /
    • 2013
  • Aims: To study effects of down-regulation of pituitary tumor-transforming gene (PTTG) on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ability of the SCL-1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CSCC) cell line and explore related mechanisms. Methods: SCL-1 cel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untreated, siRNA control and PTTG siRNA). Cell proliferation assays were performed using a CCK-8 kit and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ability were analyzed using Boyden chambers. In addition, expression of MMP-2 and MMP-9 was detected by r-time qPCR and Western blotting. Results: Down-regulation of PTTG could markedly inhibit cell proliferation in SCL-1 cells, compared to untreated and control siRNA groups (P < 0.05). Real-time qPCR demonstrated that expression levels of PTTG, MMP-2 and MMP-9 in the PTTG siRNA group were 0.8%, 23.2% and 21.3% of untreated levels.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expression of PTTG, MMP-2 and MMP-9 proteins in the PTTG siRNA group was obviously down-regulated. The numbers of migrating cells ($51.38{\pm}4.71$) in the PTTG siRNA group was obviously lower than that in untreated group ($131.33{\pm}6.12$) and the control siRNA group ($127.72{\pm}5.20$) (P < 0.05), suggesting that decrease of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ability mediated by PTTG knock-down may be closely correlated with down-regulation of MMP-2 and MMP-9 expression. Conclusion: Inhibition of PTTG expression may be a new target for therapy of CSCC.

불임환자의 고 Prolactin 혈증에 관한 연구 (Clinical Analysis and Investigation for the Infertile Women with Hyperprolactinemia)

  • 강순범;강병문;김정구;이진용;장윤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3권1호
    • /
    • pp.21-28
    • /
    • 1986
  • It is now apparent that many cases of amenorrhea. oligomenorrhea. corpus luteum deficiency, galactorrhea, and infertility are due to hyperprolactinemia.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um prolactin values and factors such as menstrual pattern, frequency of galactorrhea etc, in 135 hyperproIactinemic patient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a period of 6 years, from January, 1979 to December, 1984. The results was as follows: 1. Menstrual pattern changed according to the serum prolactin level. The frequency of amenorrhea is 1.7 percent in patients with serum prolactin levels ranged from $25{\sim}40ng/ml$, whereas 72.4 percent in patients with serum prolactin levels above 100ng/ml. 2. The incidence of galactorrhea in hyperprolactinemic patients was 3.1 percent and the frequency of galactorrhea had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serum prolactin level and/or the frequency of abnormal menstrual pattern. 3. The incidence of pituitary tumor in hyperprolactinemic patients was 104 percent and sixty percent of patients with serum prolactin levels above 100ng/ml had a pituitary tumor . 4. There was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serum prolactin and progesletone value. 5. The frequency of anovulatory menstrual cycle evidenced by basal body temperature is 23.9 percent in patients with serum prolactin levels ranged from $20{\sim}40ng/ml$, whereas 76.9 percent in patients with serum prolactin levels above 100ng/ml.

  • PDF

Chordoid Glioma Originating in the Intrasellar and Suprasellar Regions: Case Report

  • Hwang, Jisun;Lee, Aleum;Chang, Kee-Hyun;Moon, Ah Rim;Hwang, Sun-Chul;Hong, Hyun Sook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2호
    • /
    • pp.117-121
    • /
    • 2015
  • Chordoid glioma is a rare, low-grade brain neoplasm typically located in the third ventricle. Herein,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histologically confirmed chordoid glioma located in the pituitary fossa and suprasellar region, not attached to the third ventricle. A 57-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2-month history of headache and visual disturbance.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n ovoid mass in the pituitary fossa and suprasellar region, compressing the optic chiasm without involvement of the third ventricle. The tumor showed low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s and iso- to high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with strong and homogenous contrast enhancement. Subtotal resection was performed via the transcranial approach, and the patient subsequently received adjuvant gamma knife radiosurgery. However, the residual mass showed disease progression 5 months after the initial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