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rigida plantati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전남광양지방(全南光陽地方)의 테다소나무의 성장(成長) (Grouth of Pinus Taeda Linn. in Kwang-yang district)

  • 박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6-53
    • /
    • 1965
  • 광양지방(光陽地方)의 식재(植栽)된 11년생(年生), 8년생(年生), 6년생(年生)의 테나 송림(松林)과 리기다송림(松林) 그리고 6년생(年生)의 리기테다송림(松林)에 대(對)하여 성장상태(成長狀態)를 비교(比較) 조사(調査)하였다. 조사(調査)된 각임분(各林分)은 동일입지(同一立地)에 동일수령(同一樹齡)으로 열간혼식(列間混植)을 이루고 있다. (1) 테다송(松)은 리기다송(松)에 비(比)하여 수고성장(樹高成長) 비대성장(肥大成長) 공(共)히 우월(優越)한 성장(成長)을 나타내고 있으며, 리기테다송(松)은 테다송(松)보다는 못하나 리기다송(松)보다는 많은 성장(成長)을 보였다. (2) 수간석해목(樹幹析解木)에 의(依)한 성장경과(成長經過)를 보면 재적성장(材積成長)에 있어 테다송(松)은 리가다송(松)에 비(比)하여 약(約) 배(倍)의 성장(成長)을 나타내였다. (3) 내한성(耐寒成) 약(弱)한 테다송(松)의 조림(造林)은 광양지방(光陽地方)에 있어서는 추위의 피해(被害)를 받는 일이 극(極)히 적었다. (4) 테나송(松)은 식재초기(植載初期)에 있어서 풍해(風害)를 입는 일이 있었으므로 초령기(初齡期)에는 풍해대책(風害對策)이 요망(要望)된다.

  • PDF

도시 근교 조림지인 리기다소나무림과 이차림인 신갈나무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 비교 (Comparison of Insect Community Structures of a Pinus rigida Plantation and a Quercus mongolica Secondary Forest in the Suburban Area, Korea)

  • 정운경;이은선;원희진;김현정;이훈복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4호
    • /
    • pp.291-29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교 산림에서 1960년대 조림한 조림지의 생태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조림지와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이차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를 비교하였다. 2014년 9월 2일부터 11월 6일까지 약 3개월 동안 리기다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5개의 함정 트랩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격주로 곤충을 채집하였다. 리기다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종풍부도는 리기다소나무림에서 약간 높았고 종균등도는 신갈나무림에서 더 높았으며 종풍부도와 종다양도는 두 산림에서 비슷하였다. 두 지역의 곤충에 대한 군집 분석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림 후 40-50년이 경과한 리기다소나무 조림지는 곤충 서식지로서의 생태적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Distribution of Organic Carbon in Pitch Pine Plantation in Kongju, Korea

  • Han, A-Reum;Mun, Hyeong-T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27-31
    • /
    • 2009
  • Organic carbon (OC) distribution in 32-year-old pitch pine plantation at Mt. Hotae in Kongju, Korea, was studied from August 2007 to July 2008.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C distribution, OC in plant biomass, litterfall, litter layer on forest floor, and soil within 50cm depth were estimated. The density of P. rigida plantation was 3,200 trees/ha, average DBH was $18.7{\pm}5.53cm$ and average tree height was $11.1{\pm}1.85m$. Organic carbon stored in plant biomass, litterlayer on forest floor and soil in 2008 was 89.46 ton C/ha (46.09%), 4.32 ton C/ha (2.23%) and 100.32 ton C $ha^{-1}$ 50cm-$depth^{-1}$ (51.68%), respectively. Amount of OC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2.21 ton C $ha^{-1}\;yr^{-1}$. Total amount of OC stored in this P. rigida plantation was 194.1 ton C/ha. Net increase of OC in above- and below-ground biomass in this pitch pine plantation was 4.82 ton C $ha^{-1}\;yr^{-1}$.

Fertilization Effects on Fine Root Biomass, Production, and Turnover Rate in a Pinus rigida Plantation

  • Hwang, Jaehong;Son, Yow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2호
    • /
    • pp.59-64
    • /
    • 2003
  • We examined the effects of fertilization [control (C), 200 kg N ha^{-1} + 25 kg P ha^{-1}$ (LNP), and 400 kg N $ha^{-1} + 50 kg P ha^{-1}$ (HNP)] on fine root (< 2 mm diameter) dynamics using monthly soil coring method in a 39-year-old Pinus rigida plantation of central Korea. The average fine root biomass (live + dead) (kg $ha^{-1}$ $\pm$ SE) during the first growing season for C, LNP, and HNP was 1301 $\pm$ 54, 1084 $\pm$ 47, and 1328 $\pm$ 22, respectively. The fine root production (kg $ha^{-1}$ $\pm$ SE) was 2394 $\pm$ 128 for C, 2048 $\pm$ 101 for LNP, and 2768 $\pm$ 150 for HNP, respectively. Over the same period, fertilization treatments had impact on N and P concentrations of live fine root. Nitrogen and P inputs (kg $ha^{-1}$ $yr^{-1}$) into the soil through fine root turnover for C, LNP, and HNP were 16.6 and 0.9, 17.2 and 0.9, and 24.1 and 1.6,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e root biomass and production during the first growing season after fertilization. However, fertilization increased fine root N and P concentrations, and in consequence resulted in increased N and P inputs into soil through fine root turnover.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인공림의 지역 및 임령에 따른 토양 특성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ith Plantation Regions and Stand Age in Pinus rigida and Larix kaempferi Plantations)

  • 양아람;황재홍;조민석;송선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578-586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침엽수림 면적의 약 1/3을 차지하는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인공림을 대상으로 지역 및 임령에 따른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 인공림의 벌채 후 진행되는 조림 사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두 인공림에 대한 토양 특성은 기존 보고된 문헌자료와 2년(2010, 2011년) 동안 전국 국유림 내에서 조사 분석한 토양 특성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및 임령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리기다소나무 인공림 내 전라남도 지역과 낙엽송 인공림 내 경상북도 지역의 토양 특성이 동일 수종의 임분 내 다른 지역보다 양호하였다. 두 인공림의 토성은 대부분 양토 혹은 사질양토였고, 토양 pH 값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인공림에서 각각 4.86, 4.87로 나타났으며, 토양 pH는 임령 증가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인공림의 전질소 농도(%)는 각각 0.21, 0.28이었고, 유효인산 농도($mg{\cdot}kg^{-1}$)는 각각 11.00, 13.32로 나타났다. 낙엽송 인공림 내 전질소, 유효인산, 유기물 농도 및 양이온치환용량은 리기다소나무 인공림보다 높고, 은, 임령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치환성양이온($Ca^{2+}$, $Mg^{2+}$, $K^+$)은 토양 pH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두 인공림에 대한 토양 특성 분석 결과는 리기다소나무 벌채와 낙엽송 주벌 실시 후 요구되는 조림지 관리에 적용할 수 있으며, 토양 양분 특성 등을 고려한 맞춤형 조림 수종 선정과 조림지 관리에 활용하여 지속적인 산지 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삼림의 생산구조와 생산력에 대한 연구 III. 리기다소나무와 리기테다소나무의 비교 (Studies on the Productivity and the Productive Structure of the Forests III. Comparison between the Productivity of Pinus rigida and of Pinus rigitaeda Plantation)

  • 김준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9권3호
    • /
    • pp.85-91
    • /
    • 1976
  • A comparison betwen the productivity of Pinus rigida which is native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and P. rigitaeda which is F1 hybrid between P. rigida and P. taeda, has been established. For each tree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 and the height of tree (H) were measured in three years. The standard sample trees were down and then weighed each organ. From obtained data the allometric relation between $D_2H$ and dry weight of the trunk (Ws), the branches (Wb) and the leaves (Wl) of P. rigida were approxmated by $$Ws=0.0592 (D^2H)^{0.837}$$ $$Wb=0.0065 (D^2H)^{0.989}$$ $$Wl=0.0447(D^2H)^{0.690}$$ and those of P. rigitaeda were approximated by $$Ws=0.0522 (D^2H)^{0.843}$$ $$Wb=0.0037 (D^2H)^{1.117}$$ $$Wl=0.0207 (D^2H)^{0.856}$$ From the above, the standing crops of above ground of P. rigida were estimated to be as much as 16.93-34.35 ton dry matter per ha, and those of P. rigitaeda were 20.45-45.55 ton per ha. Annual net production was appraised at 8.07-9.35 ton/ha.yr in P. rigida and at 11.59-13.41 ton/ha.yr in P. rigitaeda (1.0:1.4). It is assumed that high productivity of P. rigitaeda stand compared with P. rigida resulted from an increase of the leaf amount with age. Photosynthetic ability under the saturated light of the current and theold leaves of P. rigida were respectively 2.62 and 0.66mg CO2/g. d. wt..hr and those of P. rigitaeda were 1.17 and 0.96mg CO2/g.d. wt.hr. Respiration of the current and the old leaves at $25^{\circ}C$ were 1.00 and 0.90 mg CO2/g. d. wt..hr. in P. rigida and 0.90 and 0.45mg CO2/g.d.wt.hr in P. rigitaeda. It is assumed that photosynthetic longevity of P. rigitaeda leaves was vigorously maintained longer than that of P. rigida.

  • PDF

완도지역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in Wando Island)

  • 박인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06-411
    • /
    • 2012
  • 완도지역의 대표적인 상록활엽수림인 붉가시나무림, 낙엽성 참나무류림인 상수리나무림, 인공림인 약 30년생 리기다소나무림 등 3개 유형 임상의 구조 및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임상별로 10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산림개황, 중요치, 종다양성, 직경분포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교목층 밀도는 각각 2,250본/ha, 760본/ha, 1,560본/ha이었으며, 평균흉고직경은 각각 12.1cm, 14.3cm, 14.1cm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 흉고단면적의 합은 붉가시나무림이 $37.1m^2/ha$, 상수리나무림이 $19.0m^2/ha$, 리기다소나무림이 $29.2m^2/ha$이었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동백나무는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모두 제1의 우점종이었다. 임분 전체의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림이 0.814, 상수리나무림이 0.956, 리기다소나무림이 0.866이었다. 붉가시나무림의 임분 전체 종다양도가 비교적 낮은 것은 출현종수는 비슷하였으나 균재도가 낮기 때문이었다. 붉가시나무림은 붉가시나무-동백나무 복층림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수리나무림은 동백나무 우점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리기다소나무림은 붉가시나무-동백나무 복층림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서울 종여울산의 이차림에 관하여 (On the Secondary Forest of Jongyeoul Hill, Seoul)

  • Yim, Yang-Jai;Woon-Young Bai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43-51
    • /
    • 1987
  • The forest vegetation of Jongyeoul hill, Seoul, was classified into six secondary forests and two plantations by ZM method; Pinus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hirsu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Castanea crenata and Pinus koraiensis plantation. In the herb layer the species richness and total coverage of deciduous broad leaf forest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of evergreen needle leaf forests. The peak in July at Q. acutissima forest and in the middle of June at R. pseudoacacia forest. Simpson's diversity index(Ds) in different stands are as follows: Ds>0.6 in R. pseudoacacia forest, Ds=0.3~0.6 in Q. acutissima forest and Ds<0.3 in P. densiflora and P. rigida forest. It is found that, although dominance rank and importance value were originated from different school each other, two measures can be used exchangablym showing almost linea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in this study.

  • PDF

광주지방(光州地方)의 리기다소나무 및 리기테다소나무조림지(造林地)의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에 관(關)한 연구(研究) (Distribution of Biomass and Production of Pinus rigida and Pinus rigida×taeda Plantation in Kwangju District)

  • 이경재;김갑덕;김재생;박인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28-35
    • /
    • 1985
  • 전남(全南) 광주(光州)에 소재(所在)하는 22년생(年生)의 리기다 및 리기테다소나무임분(林分)에 $200m^2$의 표준지(標準地)를 설정(設定)하고,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및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을 분석(分析) 추정(推定)하였다. 각(各) 표준지(標準地)에 직경급별(直徑級別)로 안배한 9 주(株)의 표본목(標本木)을 벌채(伐採)하여 1m의 계층(階層)으로 절단(切斷)하고 간(幹)(Ws), 지(枝)(Wb), 엽(葉)(Wl) 부위(部位)로 나누어 건중량(乾重量)을 계산(計算), $D^2H$와의 상대생장식(相對生長式)을 이용(利用)하여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을 추정(推定)하였다. 생산구조면(生産構造面)에서 광합성부(光合成部)가 리기다소나무는 지상(地上) 6.2m, 리기테다소나무는 지상(地上) 9.2m 높이에서 시작되었고, 수관(樹冠)의 최대광합성층(最太光合成層)은 각각(各各) 11.2m, 12.2m 높이에서 나타났다.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은 리기다소나무가 71.61 t/ha, 리기테다소나무가 142.32 t/ha이었고,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은 각각(各各) 10.81 t/ha/yr, 10.46 t/ha/yr이었다. 현존량밀도(現存量密度)는 리기다소나무가 $0.56kg/m^3$, 리기테다소나무가 $0.96kg/m^3$ 이었다. 잎의 생산능률(生産能率)을 추정(推定)한 바 NAR은 리기다소나무가 1.32 kg/kg/yr, 리기테다소나무가 1.00 kg/kg/yr이었고, 잎의 간재생산능률(幹材生産能率)은 각각(各各) 0.97 kg/kg/yr, 0.81 kg/kg/yr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