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for.erecta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식재밀도에 따른 강송의 Biomass 생산 및 배분 특성 (Biomass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by Planting Density and Its Allocation Chracteristics)

  • 이돈구;권기철;김영환
    • 임산에너지
    • /
    • 제18권1호
    • /
    • pp.6-10
    • /
    • 1999
  • 식재밀도에 따른 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의 biomass 생산 및 배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 서울대학교 칠보연습림내 12년생 강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재밀도가 1.0m×1.0m, 1.8m×1.8m, 3.0m×3.0m인 강송 조림지에서 각각 6본, 5본, 4본씩 표본목을 선정하여 부위별로 생중량을 측정하고 식재밀도에 따른 임분의 biomass 현존량 및 배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ha당 biomass 현존량은 밀도 순으로 나타났다. (2)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가지와 침엽이 차지하는 biomass 현존량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3) 당년생 가지와 줄기의 경우 밀도가 낮을수록 수분함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침엽과 전년생 가지의 경우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4)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최대광합성부위가 위쪽에 나타났다.

  • PDF

침염수 조림지에서의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The Comparison of Tree Growth by the Residual Stand Density in Artificial Coniferous Forests)

  • 강성기;김완수;이원섭;김지홍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46-57
    • /
    • 2001
  • 이 연구는 강송,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인공조림지를 대상으로 간벌 시업후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생장 비교를 퉁해 침엽수 인공림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보육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존임분밀도별 임목의 직경생장은 강송림과 리기다소나무림, 낙엽송림 (가), (나)소반의 경우, 임분밀도가 감소할수록 직경생장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의 생장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잔존임분밀도별 임목의 수고생장 양상에서는 처리구별로 수고생장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벌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입지조건과 같은 환경요소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각 임분밀도 조절 처리구별로 평균에 해당되는 직경급의 목편을 추출하여 최근 6개년간의 직경생장량을 실측한 결과는 전구간에서 직경급이 클수록, 잔존임분밀도가 낮을수록 직경생장량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금강송림(金剛松林)의 식생유형분류(植生類型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 윤충원;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10-322
    • /
    • 2000
  • 수령 200년 이상 노령의 금강송 유적임분이 발달하고 있는 울진군 서면 소광리와 강원도 응봉산(1,267m), 경북 청옥산(1,276m), 울진, 검마산(1,017m)의 금강송림을 중심으로, 총 230개의 식생자료를 수집하여 식생구조의 정성적 분석 즉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해석하였던 바, 금강송 임분은 산앵도나무군락, 꼬리진달래군락, 떡갈나무군락, 당단풍군락, 전형군락의 5개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떡갈나무군락은 김의털군, 아까시나무군, 전형군의 3개 군으로, 당단풍군락은 산수국군, 애기나리군, 함박꽃나무군, 서어나무군, 전형군의 5개 군으로, 전형군락은 꽃며느리밥풀군과 전형군의 2개 군으로 각각 세분되었으며, 또한 일부 군은 7개의 소군으로 세분되어, 금강송림은 총 16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중 5개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출현하고 있는 산앵도나무군락과 소광리와 청옥산에서 출현하고 있는 꼬리진달래군락은 금강송 분포범위와 조림구역 결정 등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군락으로 판단되었다. 식물사회학적 분석에 의해 분류된 식생단위를 일치법으로 검정한 결과, 해발과의 관계에서는 떡갈나무군락이 해발이 가장 낮은 100m 이하에 분포하고 있으며, 산앵도나무군락, 꼬리진달래군락, 당단풍군락, 전형군락은 해발 350m 이상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산앵도나무군락과 꼬리진달래군락이 사면중부이상에서 산정상부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떡갈나무군락은 사면하부에서 사면상부까지, 당단풍군락은 대부분 사면하부와 계곡부, 전형군락은 사면하부 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조사지역과의 관계에서는 떡갈나무군락이 울진조사구에서 출현하고 있었고, 나머지 군락들은 소광리, 응봉산, 청옥산, 검마산 조사구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방위와의 관계에서 모든 군락이 전방위에 출현하고 있으나 북사면보다는 남쪽사면에 더 많이 출현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금강송 유적임분이 북쪽사면보다는 남쪽사면에 더 많이 잔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금강송림의 식생구조에 관한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Vegetat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 윤충원;홍성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81-291
    • /
    • 2000
  • 금강송림의 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 종조성, 종다양도, 종간결합 등 생태학적 특성들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1) CCA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주로 지형, 해발, 유효인산, 마그네슘 등의 환경요인들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꼬리진달래군락은 해발이 논고 사면상부나 능선부쪽 지형으로 갈수록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었고, 마그네슘과 칼슘이온의 농도는 낮은 입지에 주로 분포하였다. 산앵도나무군락은 칼슘, 마그네슘의 이온농도가 높은 입지에 분포하는 경향이었고, 사면중상부와 능선부로 갈수록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2) 중요치 분석결과 각 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난 종은 금강송,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등이었으며, 관목층에서는 소광리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금강송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즉, 소광리의 금강송 임분이 천연갱신이 가장 잘 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3) 종다양도지수를 보면 울진이 0.6622로 가장 낮았고, 기타지역은 대부분 0.7내외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별 종다양도 지수는 당단풍군락이 높게 나타났다. 4) 소광리지역은 울진과는 군락유사도의 차이가 낮게 나타났으며, 기타지역간에는 군락유사도가 0.6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5) 종간결합관계 분석 결과 크게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한 그룹은 식물사회학적 분석에서의 표징종군과, 또 한 그룹은 식별종군과 거의 일치하였다.

  • PDF

우리나라 소나무속(屬)의 Monoterpene 조성(組成)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onoterpene Composition of the Subgenus Diploxylon of the Genus Pinus in Korea)

  • 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60-169
    • /
    • 1976
  • 한국산(韓國産) Pinus속(屬)의 Diploxylon아속(亞屬)의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 대(對)한 류별(類別)을 알아보기 위(爲)하여 GLC에 의(依)한 monoterpene 조성(組成)을 분석(分析)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의 monoterpene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 terpinolene 외(外)에 2개의 미지(未知)의 조성분(組成分)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소나무와 금강소나무의 주요(主要) monoterpene조성(組成)은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myrcene, terpinolene 이다. 중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beta}$-phellandrene, ${\alpha}$-plnene, terpinolene 이다. 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limonene 이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서 모두 monoterpene 조성분(組成分)은 개체간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중곰솔은 monoterpene 조성(組成)에 있어서 소나무와 곰솔의 중간에 해당되었다. 소나무와 곰솔을 구별(區別)하는 가장 좋은 분류적기준(分類的基準)이 되는 monoterpene의 주성분(組成分)은 ${\alpha}$-pinene, ${\beta}$-pinene, myrcene이었고 소나무는 ${\alpha}$-pinene이 ${\beta}$-pinene보다 항상 많았고 중곰솔을 그 반대(反對)였다. 안면도와 치악산(産) 소나무의 산지별(産地別) 차이(差異)에서는 ${\alpha}$-pinene에서 유이성(有異性)이 보였으나 이는 개체 사이의 변이(變異)가 큰 것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울진 금강송재의 재질: 수지구 및 방사조직의 출현형태 (Property of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 and Ray)

  • 김동우;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78-87
    • /
    • 2014
  • 울진산 금강송재의 재질발현 수령의 판단기준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와 울진금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대표목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울진금강송의 기건밀도는 소나무재보다 약 20% 이상 높았다. 또한 심재율은 70% 이상이었다. 단위면적($1mm^2$)당 수직수지구의 분포수는 0.3개로서 울진금강송이 소나무보다 약 40% 높았다. 수직수지구의 평균 직경은 소나무 $67.8{\mu}m$, 울진금강송 $67.3{\sim}69.9{\mu}m$로서 수종 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연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경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평수지구의 분포수는 울진금강송-1이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 보다 약 55%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의 수지구 분포수는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울진금강송-1은 연륜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방사조직 분포수는 수종 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일 수종 내 조재와 만재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소나무와 울진금강송 모두 방사조직의 분포수가 감소하였다. 방사조직의 세포고는 소나무가 비교적 높았으며, 조재와 만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울진금강송의 재질발현 기준 수령은 약 150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천축산 일대 금강소나무림의 군집구조 및 종조성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in Mt. Cheonchuk)

  • 변준기;박병주;주성현;천광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4
    • /
    • 2020
  •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천축산 일대 금강소나무림을 중심으로 한 군집구조와 종조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지 내 관속식물상은 총 66과 165속 211종 2아종 29변종 6품종으로 24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금강소나무림을 중심으로 신갈나무 군집, 굴참나무 군집, 갈참나무-국수나무 군집으로 3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 간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차이는 유기물층 깊이, 연년생장량, 해발고도, 양이온치환용량, 전질소, pH 등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층식생을 중심으로 한 DCA 분석 결과 P-1, P-2의 조사구가 광범위한 환경에 분포하는 것에 반해 P-3 군집은 두 군집과 비교하여 이질적인 종조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다양도와 지표종 분석결과 P-3군집에서 목본층과 하층식생의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 지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숲틈에 의한 임내 광량이 다량 유입되어 선구종(pioneer species) 및 여러 식물종이 생육하기 용이한 공간을 마련한 결과로 나타났다(Schnitzer and Carson, 2001). 이에 따른 만경류와 같은 수관열림에 의한 수종 유입에 따른 금강소나무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임내 환경과 하층식생의 변화상을 관찰하여야 한다. 특정지역에 대한 생태적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는 곧 서식처로 삼고있는 동물들의 보전으로 이어져 생물다양성과 종간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건전한 생태계를 유지한다. 이를 위한 효율적인 보전방안의 하나는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구축하는 것으로 대면적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경우 공간적 범위가 넓어 인간이 수동적으로 인지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관리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연구대상지 내 수집한 데이터를 정량화 시키고 유기적인 경관보전을 위해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이는 왕피천 유역의 시계열적인 생태계를 이해하는 방법이다.

청옥산(靑玉山) 삼림식생(森林植生)에 관(關)한 연구(硏究) -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분석방법(分析方法)으로 - (A Study on Forest Vegetation in Mt. Cheongok, Kyungsangpuk-do - by the Method of Phytosociological Studies -)

  • 오승환;윤충원;배관호;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27-39
    • /
    • 1998
  • 조림구역(造林區域) 결정(決定), 각종(各種) 임업작업시(林業作業時) 특별히 보존해야 할 군락(群落)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천이(遷移)의 방향(方向)을 밝힐 목적(目的)으로 청옥산(靑玉山) 일대(一帶)의 삼림식생(森林植生)을 종조성(種造成) 차이에 근거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분석법(分析法)으로 삼림군락분류(森林群落分類)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청옥산 일대 삼림(森林) 식생(植生)은 금강소나무군락(群落), 신갈나무군락(群落), 일본잎갈나무군락(群落), 박달나무군락(群落), 졸참나무군락(群落), 물푸레나무군락(群落), 전나무군락(群落), 들메나무군락(群落), 고로쇠나무군락(群落), 층층나무군락(群落), 서어나무군락(群落), 물박달나무군락(群落)으로 구분되었다.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은 꽃며느리밥풀군(群)과 전형군(典型群)으로 구분되었고,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의 꽃며느리밥풀군(群)은 꼬리진달래소군(小群)과 전형소군(小群)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群落)은 생강나무군(群)과 단풍취군(群)으로 구분되었고 신갈나무군락(群落)의 단풍취군(群)은 전형소군(典型小群)과 큰개별꽃소군(小群)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群落)중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의 꼬리진달래소군(小群)과 들메나무군락(群落)은 온대남부지역(溫帶南部地域) 산림(山林)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 군락(群落)이다. 일교법(一敎法)으로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은 해발 450~1,100m 사이의 사면 상부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군락(群落)이 해발 700m 이상의 지역을 우점(優點)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상부와 능선부에 분포하는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은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사면중부이하의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은 낙엽활엽수림(落葉闊葉樹林)으로 천이(遷移)되어 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내산 주요 침엽수재 재색을 통한 공예적 가치평가 (Quality Evaluation for Wood Color of Commercial Domestic Softwoods)

  • 박병호;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13-423
    • /
    • 2010
  • The study has been carried to evaluate the wood color, a typical element of visual and decorative effect, for seven major domestic softwoods using L*a*b* and chrominance ($\Delta$E*ab). The result showed that the values of whitenes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positive at both sapwood and heartwood and there were no wood having a small chrominance difference ranged 0~0.5. There was also no wood having a chrominance difference ranging 0.5~3.0. Ginkgo biloba,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wood showed a little different chrominance, Taxus cuspidata,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Pinus densiflora wood substantial different chrominance, Juniperus chinensis wood largest different chrominance.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y results could be utilized as a data base in areas of wood craft and furniture and could open a way to substitute foreign imported woods.

  • PDF

울진군(경북) 불영사계곡지역의 현존식생 및 식생구조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Bulyeongsa Valley Area in Uljin-gun(Gyeungbuk))

  • 강현미;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08
  • 울진군(경북) 불영사계곡은 자연생태계가 뛰어나고 금강소나무가 분포하는 곳이나 최근 국도 확장에 따라 자연생태계 정밀조사가 필요한 곳이다. 이에 불영사계곡 일대의 식생분포 및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99개 조사구(단위면적 $100^2$)를 설치하고 식생분포 및 구조를 파악하였다.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울진불영계곡 일대의 식생은 소나무가 광범위하게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이 소나무와 경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존식생조사 결과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는 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전체 대상지의 47.75%를 차지하였고, 녹지자연도 분석결과 등급 8이 전체의 69.14%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울진 불영계곡 일대의 식생은 소나무가 광범위하게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이 소나무와 경쟁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