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for.erecta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9초

Population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t Sokwang-Ri, Uljin-Gun in Southeastern Korea

  • Yun, Chung-Weon;Bae, Kwan-Ho;Hong, Sung-Ch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41-348
    • /
    • 2001
  • Population dynamics of the oldest relic stand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which remains as a status of patch in Sokwang-Ri area, Uljin-Gun, was studi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f the oldest pine stand in Korea. The upper slope site and ridge site including total 12 plots mainly represente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Quercus mongolica. These two tree species showed reverse J-shaped distribution. From this information, it was concluded that intensive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two species could be occurring. Age distribution of P. densiflora for. erecta on the sites above middle slope area was indicated bi-modal type or tri-modal type which was known as an age structure of climax forest.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Pinus densiflora for. erecta population could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each patch above middle slope area. In the valley sites, hardwood species such as Q. mongolica, Q. variabilis, Styrax obassi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occupied most part of the under crown-cover area and their seedlings and saplings were developing into the closed upper layer crown because the height of upper layer crown reached about 35 meters and such a high crown height was more suitable for light utilization by plants of under layer. The growth patterns were mainly fluctuated for the entire life time of the oldest tree caused by frequent disturbance. And the initial growth curves of the mature trees and suppressed juvenile trees showed different tendencies along the sites.

  • PDF

금강소나무 - 유전적으로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 동위효소분석 결과에 의한 고찰 -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Can It Be Treated Genetically as a Distinct Group? - Reconsideration Based on Allozyme Data -)

  • 김진수;이석우;황재우;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166-175
    • /
    • 1993
  •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되고 있는 강원 경북지역의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for. erecta) 8개 집단, 소나무 17개 집단 및 곰솔 13개 집단을 대상으로 공통으로 조사된 16개 동위효소 23개 유전자좌에서의 유전변이를 상호간에 비교 분석하였다. 소나무와 금강소나무 집단에서의 대립유전자 종류와 빈도분포가 매우 유사하고 곰솔에만 출현하는 표식인자가 금강소나무 집단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은 사실로부터 금강소나무가 곰솔의 영향을 받은 이입잡종이라는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계층구조에 의한 Wright의 F 분석 및 Nei의 유전적 거리, 유전자좌별 거리계수 빈도분포를 이용한 여러가지 유전분석 (유집분석, 요인분석, 수지구분석)의 결과로 부터 강원 경북지역의 소나무 집단이 다른 지역의 소나무 집단들과 구분될 수 있는 뚜렷한 유전적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 PDF

소나무와 금강송의 수종식별을 위한 화학계량학적 접근 - 근적외선 분광법과 다변량분석을 이용한 수종 분류 - (Chemometrics Approach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 Species Classification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in combination with Multivariate Analysis -)

  • 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01-713
    • /
    • 2015
  • 소나무와 금강송의 수종 분류를 위해 근적외선(NIR) 분광법과 주성분분석(PCA) 및 부분최소자승법 판별분석(PLS-DA)을 결합하여 수종 분류 모델을 설계하였다. 측정된 모든 NI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PCA를 실시한 결과 소나무와 금강송의 수종 분류는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2차 미분된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시험편의 단면과 심 변재 구분에 따른 수종 분류에서는 변재부에서 수종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특히 방사단면의 변재에서는 명확하게 수종이 분류되었다. 그리고 개발된 PLS-DA 예측 모델을 통해 명확한 수종 분류가 가능하였다. 2차 미분으로 전처리된 스펙트럼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좋은 분류 결과 얻을 수 있었다. 2차 미분 스펙트럼을 이용한 예측 모델은 100%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예측 모델의 $R_p{^2}$ 값은 0.86, RMSEP는 0.38로 나타났다. 전처리하지 않은 스펙트럼과 2차 미분 스펙트럼을 이용한 예측 모델의 신뢰도는 유사하였다. 근적외선 분광법과 부분최소자승법 판별분석을 결합한 수종 분류 모델은 소나무와 금강송의 분류에 적합하였다.

국내산 주요 수종의 가구 및 목공예재 활용을 위한 특성 평가 (I) - 금강송과 소나무를 중심으로 - (Domestic Use of Wood for Furniture and Woodcraft Materials Characteristics Evaluation (I) - Focusing on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

  • 박병호;조원희;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44
    • /
    • 201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sensible characterist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 to estimate value of the craft for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The sensual characteristics of wood are evaluated by wood figure, wood grain, odor,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by weathering, abrasion, surface roughness and hardness. The wood figure of these species were observed at flat grain in the radial section and edge grain in the tangential section. Also, burl's figure was observed in Burl of Pinus densiflora woo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had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Camphene, Thymyl ether, ${\alpha}$-Longipinene, etc. Pinus densiflora wood had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alpha}$-Longipinene, (+)-Cedrol, etc. The moisture soption, abrasion, hardness and roughness were very different between the two species.

  • PDF

소나무와 곰솔간 이입교잡종(移入交雜種)으로 추정(推定)되어온 금강송(金剛松)에 있어서 곰솔 cpDNA 의 부재(不在) (No Trace of Introduced cpDNA of Pinus thunbergii in Pinus densiflor for. erecta Postulated as an Introgressive Hybrid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 홍용표;김규식;노의래;신은명;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43-548
    • /
    • 1998
  • 소나무와 해송으로부터 엽록체상의 두 유전자 psbD와 rbcL를 PCR에 의해 증폭한 후 제한효소 HaeIII를 사용해서 절단했다. 두 개의 종 특이적 엽록체 DNA 단편이 확인되었고, 이 두 개의 표지자를 이용하여 소나무(충북3호)와 해송(남난37호)의 인공교잡 가계로부터 엽록체 DNA의 부계 유전양식이 확인되었다. 인공교잡 가계에 있어서 엽록체 DNA의 부계 유전양식을 근거로 해송으로부터 소나무로의 이입교잡에 의해 생겨났다는 가설(현신규 등, 1967)이 지배적인 금강송 115개체로부터 이입교잡에 의해 유입되어진 흔적을 구명하기 위하여 해송 특이 엽록체 DNA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금강송 전 개체에서 소나무에서 관찰된 엽록체 DNA(psbD와 rbeL)의 절편 분획 양상과 동일한 절편 분획 양상이 확인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는, 금강송에는 해송으로부터 유입된 엽록체 게놈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없었으며, 따라서 금강송을 소나무(♀)약 해송(♂)의 이입교잡종이이라고 간주할만한 확고한 증거를 제시할 수 없었다.

  • PDF

금강형 소나무림에 있어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s)

  • 주성현;정성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9권
    • /
    • pp.31-37
    • /
    • 2001
  • Uyeki(1928) classified Pinus densiflora into six ecotypes(Northeastem type, Middle-southern flat type, middle-southern upland type, Wibong type, Ankang type, and Geumgang type) based on the pine tree type. The bark color of Geumgang type was ash-brown color on the lower parts of stem and yellowed color on the upper parts of stem.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forests to obtain basic data for preservation of exellent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oil texture of th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s were showed nearly as sandy loam, that is, sand, silt and clay were consisted of 72%, 15% and 13%, respectively. Soil acidity(pH 4.6) was lower than Korea average forest soil acidity(pH 5.2). The averag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ate was 11.7ppm at Sokwang-ri, 26.8ppm at Mt. Eungbong, 24.2ppm at Mt. Kumma. It was the lowest at Uljin(4.6ppm). The contents of carbon was 6.2% at Mt. Chungok, 6.1% at Mt. Eungbong. This value was more than average of Korea forest soil.

  • PDF

TWINSPAN과 DCCA에 의한 금강(金剛)소나무 및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Chunyang-typ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by TWINSPAN and DCCA)

  • 송호경;김성덕;장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266-274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금강소나무와 춘양목(春陽木)소나무의 삼림(森林) 식생(植生)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62개(個)의 조사구(調査區)를 설치(設置)하여 식생(植生) 조사(調査)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과 DCCA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금강소나무 군집(群集)에서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금강소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생강나무, 물푸레나무, 개옻나무 등의 순(順)이고, 춘양목소나무 군집(群集)에서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소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 쪽동백나무, 졸참나무 등의 순(順)이다. 소나무의 삼림군집(森林群集)은 Quercus variabilis-Styrax obassia, Quercus variabilis,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Quercus mongolica의 4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금강(金剛)소나무 군집(群集)이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보다 pH,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K^+$, $Ca^{{+}+}$, $Mg^{{+}+}$, cation exchange capacity에서 양호하였으며,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은 유효인산(有效燐酸)에서만 양호(良好)하였다. 소나무 군집(群集)에서 군집(群集)과 환경요인(環境要因)들과의 관계(關係)로 보면 신갈나무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높고,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C.E.C. 등(等)의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는데, 굴참나무 군집(群集)은 이와 반대로 해발고(海拔高)가 낮고,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C.E.C. 등(等)의 양료(養料)가 적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굴참나무 -쪽동백 군집(群集)과 굴참나무-신갈나무 군집(群集)은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군집(群集)의 중간(中間) 부분(部分)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 PDF

구룡산의 산림군집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 Factor in Mt. Guryong, Gyeongsangbuk-Do Province)

  • 이서희;김혜진;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526-537
    • /
    • 201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구룡산 일대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10년 7월부터 2010년 8월까지 72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다.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고, 군락단위에서는 금강소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이 구분되었으며, 인공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금강소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굴참나무군과 금강소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으며, 고로쇠나무군락은 개벚지나무군과 물참대군의 2개 군으로 세분되어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고와 지형의 환경요인이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금강소나무군락(식생단위 1, 2)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층위에 우점치가 높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참나무류에 대한 지속적인 숲가꾸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의 송이발생지와 능이발생지의 토양환경 비교 (Comparison to Soil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at Uljin Sokwang-ri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

  • 허태철;주성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77-82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duce useful material for the forest multiple use and forest protection by physico-chemical soil analysis of studied area in Sokwang-ri Forest Genetic Resource Protection Forest which was divided into in standard plots include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production forest. The result of physico-chemical soil analysis represented as following. The soil type of T. matsutake production forest was Dry brown forest soil(B1), while on the other hand the soil type of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was Moderately moist brown forest soil(B3). Between T. matsutake and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changes in soil pH(5.22-5.60) and soil depth(47cm), but available phosphorus,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were different results. CN ratio of the fairy ring of T. matsutake was quite lower than that in S. aspratus production forests, which indicated that T. matsutake production forest was built up in the relatively immature soils which contain little organic matter. Generally, it was predicted that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succeeded to deciduous tree forest in stable soil environments. To conserve these T. matsutake and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th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cation should be increased by continuous soil environment management and it should be established the secondary growth forests of old age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trees as soon as possible.

  • PDF

중부지방(中部地方) 주요침엽수(主要針葉樹)의 직경성장(直徑成長)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Diameter Increment of Major Conifers in Middle Area of Korea)

  • 정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8권1호
    • /
    • pp.52-59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주요(主要) 침엽수(針葉樹)인 금강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에 대(對)하여 직경성장량(直經成長量)을 추정비교(推定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에 따른 연년직경성장량(連年直徑成長量)은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금강소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2) 직경성장(直徑成長)은 흉고직경(胸高直徑)이 금강소나무 95cm, 잣나무 80cm, 일본잎갈나무 80cm, 젓나무 140cm, 구상나무 85cm에 도달(到達)하면 정지(停止)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3) 수령급(樹齡級)에 따른 흉고직경(胸高直徑) 총성장량(總成長量)은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금강소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4) 직경성장(直徑成長)은 수령(樹齡)이 금강소나무 200년(年), 잣나무 120년(年), 일본잎갈나무 120년(年), 젓나무 260년(年), 구상나무 300년(年)에 도달(到達)하면 정지(停止)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5) 구상나무는 타수종(他樹種)에 비(比)하여 직경성장(直徑成長)이 현저(顯著)히 저조(低調)하였으며 특(特)히 젓나무와 구상나무는 성장(成長)의 둔화현상(鈍化現象)이 늦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